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것을 의심하는사람은 많지 않다. 그러나 단순 소형화에 의존한 전자소자의 개발은 10년 뒤에는 그 한계점에 도달한다. 따라서 새로운 형태의 나노소자가 개발되고, 이를 제어할 논리가 개발되면 지금보다 훨씬 영리하고 편리한 전자제품이 출현할 것이라고 많은 과학자들은 믿고 있다 ... ...
- 동양판 디오판투스 따라잡기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차이와 수량이 서로 반비례의 관계에 있기 때문이다. 이 식을 풀면 상급품의 근수 x = 130이라는 결과를 앞서의 경우보다도 훨씬 수월하게 구할 수 있다.놀랍게도 이 방법이 바로 기율술이니 반기율술이니 하는 구장산술의 풀이법인 것이다. 구장산술이 부정방정식 문제를 제시하고도 답을 구하기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표면 모양을 알 수 있듯이, 이와 비슷한 방법으로 생체분자의 영상을 얻을 수 있다. 1980년대에 소위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 Scanning Tunneling Microscope)의 후임격인 원자력현미경(AFM, Atomic Force Microscope)이라고 불리는 것에 이 방법이 적용됐다. 지레의 한쪽 끝에 달린 날카로운 침이 표본과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발표한 것은 성급했다”고 말했다. 어찌보면 이번 발표내용은 ‘완성본’이라기보다 2000년 작성된 90% 유전자지도와 다름없는 ‘초안’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정확할지 모른다.한편 이번 발표는 인간 유전자에 대한 특허를 급속도로 확산시킬 것이라는 또다른 우려를 낳고 있다. 셀레라처럼 유료의 ... ...
- 킥보드의 물리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제동을 걸면 제동거리가 2.1-2.8m, 8도의 급경사 내리막길에서는 5.2-8.7m였다. 평지의 경우 10m를 달린 후, 제동을 걸면 3-3.8m 가서 멈추었다. 이 조사 결과로 킥보드가 위급한 상황에서 제동을 걸어도 빨리 멈추지 못하고 앞으로 상당한 거리를 나아간다는 점을 꼬집었다.그렇다면 킥보드는 왜 제동거리가 ...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법적 책임이 없다’는 점을 이용해 법망을 피하려는 시도를 하기도 했다.비앙키는 1977년 10월부터 1978년 2월까지 LA 근교에서 무려 12명의 젊은 여성을 살해한 연쇄 살인마다. 경찰로 변장한 그는 창녀나 젊은 여성을 유인해 강간한 다음, 잔인한 방법으로 살해해 할리우드 동쪽 언덕에 버렸다.1979년 1월 ... ...
- 새로운 차원 사냥에 나선 물리학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똑같은 크기와 같은 위치에 10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끌림자가 천천히 한바퀴를 돌면, 10개의 구멍 사이에 있는 구리와의 중력으로 알루미늄 진자가 비틀어진다. 비틀린 정도는 진자로부터 반사돼 나오는 레이저로 측정한다.실험 결과 연구팀은 중력값이 실험 영역에서도 여전히 거리의 제곱에 ... ...
- PART 2. 쓰레기 소각장 다이옥신 제거하는 나노화학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즉 전자 하나를 조절할 수 있다는 트랜지스터이다.현재 이 극미세 장치는 아직 영하 1백20℃의 낮은 온도에서만 구동되고 있다. 따라서 실온에서 사용가능한 트랜지스터에 대한 연구가 요구되고 있다.앞으로 나노과학은 얼마나 발전할까. 지금까지 과학자들이 발견한 나노물질은 빙산의 일각일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3호
- 기복이 가로로 걸쳐 마치 해안으로 밀려드는 파도처럼 보인다.(5)알프스 계곡 (길이 1백80km, 월령 7-22일)달에도‘알프스 산맥’이 있고 그 속에 알프스 계곡이 숨어있다. 계곡은‘비의 바다’북동 해안에 있으며 바로 옆에 플라토가 있다. 알프스 계곡은 거대한 산맥을 자를듯이 어두운 줄기 모양으로 ... ...
- 하늘에서 내리는 미스터리 결정체 눈과학동아 l2001년 02호
- 층을 ‘준액체층’이라고 부른다. 그리고 준액체 층의 두께는 낮은 온도일수록 얇다. -10℃에서는 단지 몇개의 분자로 이뤄져 있을 정도다. 그러나 온도가 높아지면 두께가 두꺼워진다.과학자들은 얼음 표면에 생기는 준액체층의 존재가 여러가지 중요한 환경적 결과를 낳는 것으로 믿고 있다. 예를 ... ...
이전40640740840941041141241341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