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d라이브러리
"
실험
"(으)로 총 9,09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벨트 주요 궁금증 5문 5답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1.08km²(약 32만 평) 용지에 지름 10m의 원형가속기와 길이 약 700m의 선형가속기,
실험
동과 연구동 10여 채 등으로 구성된다. 원형가속기와 선형가속기는 지하 약 10m 깊이에 설치된다.중이온가속기를 활용하면 자연에 존재하지 않는 희귀한 동위원소를 만들 수 있다. 새로운 동위원소를 발견하면 ... ...
안전띠에 대한 궁금증 5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달리다가 사고가 나면? 미국 일리노이주 경찰은 사람이 차 밖으로 튕겨 나올 수 있다는
실험
결과를 공개했다.]정확히 말하면 안전띠는 목이 아닌 쇄골 아래를 지나 가슴을 두르고, 배가 아닌 허리 아랫부분 골반을 두른다.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런 형태의 안전띠를 3점식이라 부른다. 어깨 위쪽에 ... ...
반물질 지구는 어디에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쓸데없는 데 돈을 쓴다”며 마땅치 않게 생각하는 과학자들도 많다고 한다. 이 정도
실험
이라면 검출기를 실은 기구를 띄워서도 충분히 할 수 있다는 것.그러나 AMS는 지금까지 우주공간에 나가는 입자검출기 가운데 가장 정교한 장비다. 내부에는 지구 자기장의 3000배에 이르는 자기장이 형성돼 ... ...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나눔 “대학생 봉사단 6기 모집”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모집할 예정이다.김동건 한국과학창의재단 과학문화사업단 단장은 “아이들이 다양한
실험
을 통해 과학이 얼마나 재밌는지 알 수 있고 대학생들은 지식을 나누는 기쁨을 배울 수 있는 좋은 기회”라고 행사의 의의를 밝혔다. 또 김 단장은 “이 행사가 더 유익하고 보람찬 활동이 될 수 있도록 ... ...
대장암에서 p53 유전자 결손과 돌연변이 발견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이 부분에 돌연변이가 생길 경우 암 억제력을 잃어 암세포로 바뀐다고 가정했다.
실험
을 진행한 결과 이 부분에 p53 단백질의 유전자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p53 단백질은 1979년 동물에서 종양을 유발하는 바이러스를 연구하다가 발견됐다. 즉 이 바이러스가 침입했을 때 양이 많아지는 여러 단백질 ... ...
연료전지가 이끄는 흥미로운 여정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이다. 재생에너지 변환 연구실에서는 연료전지 외에 하이브리드 자동차를 연구하는
실험
실을 따로 만들 정도로 이 분야에 몰두하고 있다.차 교수는 “다른 분야를 계속 공부하면 연구에 필요한 아이디어를 얻을 수 있다”고 말했다. 연료전지의 용량 문제를 해결하지 못했을 때 반도체 연구에서 ... ...
CO2가 피운 눈꽃, 드라이아이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증발이 일어나면서 온도가 낮아져 금속통 내부의 액체가 얼어붙어 고체가 됐다. 이것이
실험
실에서 만든 최초의 드라이아이스이다.요즘의 드라이아이스 제조 방법도 이와 비슷하다. 63기압 정도로 기체를 압축한 뒤 작은 노즐로 이산화탄소를 분사시키면 눈꽃 같은 고체 이산화탄소를 얻을 수 있다. ... ...
환상의 짝꿍 공생 없인 못살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존재라고 생각돼 왔어. 하지만 미국 워싱턴대학교 의과대학 연구팀이 쥐를 이용해
실험
한 결과, 헤르페스 바이러스가 면역력을 높여 주는 공생 관계라는 사실이 밝혀졌단다.환경이 변해서 관계가 변하기도 해. 장 속에 사는 박테리아는 소화를 도와 더 많은 에너지를 얻게 해 주는 공생 친구야 . ... ...
Part 2. 모든 길은 화학으로 통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새로운 기능을 부여한 것이다.1998년 출시된 이래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있는 비아그라도
실험
실에서 만든 화학물질이다. 비아그라는 남성의 삶을 윤택하게 만든 것은 물론 자연보호에도 앞장서고 있다. 비아그라가 판매되자 정력제로 알려진 코뿔소 뿔의 가격, 물개 생식기의 가격이 폭락해 밀렵의 ... ...
천리안은 왜 일주일에 한 번 궤도를 바꿀까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3년 전인 2008년 2월 10일. 과학기술부(현 교육과학기술부)와 항우연은 1999년 발사했던 과학
실험
및 지상관측용 소형 인공위성 ‘다목적실용위성 1호(아리랑 1호)’의 수명이 공식 종료됐다고 밝혔다. 직접적인 원인은 직원의 조작 실수로 밝혀졌는데, 안전모드로 들어가 버린 위성은 태양광 충전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