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본관
모범
무늬
본보기
bone
bonn
bonne
d라이브러리
"
본
"(으)로 총 4,975건 검색되었습니다.
고기능 사운드카드 옥소리 VS 사운드블라스터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완벽한 것 같아 현재는 별도의 미디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이상에서 살펴
본
32PnP카드의 각종 기능은 사운드카드를 수동적으로 사용하는 사람들에게는 불필요한 것일지도 모른다. 그러나 다양한 면으로 사운드카드를 활용하면서 진보된 기능을 원하는 사용자라면 후회하지 않을 것이다 ... ...
서양인이
본
동양의 생약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인수하기 시작했다.또 하버드대학이나 런던대학 등의 의과대학에서는 이미 중국 일
본
인도의 전통의학에 관한 임상의학과가 설치됐다. 심지어 기존의 약제에 식물약제를 첨가하는 것이 유용하다고 생각해 아리조나 의과대학의 의사들은 식물약제를 사용하는 법을 배우고 있다. 5년전만 해도 ... ...
잇따른 외계행성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어떤 답을 내릴 수 없다. 만일 생명체가 있다면 진화하는 동안 한번도 땅을 딛고 서
본
적이 없는 부유생물일 것으로 추측된다.외계행성의 발견은 여러가지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다. 지구만큼 작은 행성이 있을 수 있고, 행성의 달에 바다가 존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천문학자들은 두 행성이 ... ...
1. 공통과학 재미있게 공부하는 법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포괄적인 의문을 갖게 된다.산성비의 원인물질 중 하나인 배기가스에 관한 실험을 해
본
사람은 다른 원인물질로 어떤 것이 있는지 알고 싶을 것이다. 그러나 탐구에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그만 그 자리에서 포기하고 마는 경우가 많다. 한 문제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야말로 공통과학에서 배우게 될 ... ...
2. 산성비에 대한 탐구학습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또 대기의 이산화황 농도가 0.03ppm 이상인 날 비가 온 경우 피해가 잘 나타나므로 유의해
본
다. (자료3)은 나팔꽃의 피해를 조사할 때 사용하기 편리하도록 만든 표다.지금까지 공통과학을 재미있게 배우기 위한 조건을 찾아봤다. 또 그 방법에 의해 산성비 단원에 대한 탐구방법도 알아봤다. 이것을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31일 새로운 혜성이 나타났다고 발표했다. 이 혜성의 이름은 '하야쿠타케'또는 C/1996 B2. 일
본
의 아마추어 전문가 유지 히야쿠타케가 겨우 25×150쌍안경으로 이 혜성을 발견해냈다.히야쿠타케혜성은 3월부터 5월 사이에 가장 밝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3월 26일쯤 지구에 가장 근접하는데, 지구와 혜성과의 ... ...
평생비서 오!K vs 오거나이저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이유도 아마 이 점일 것이다. 물론 PC를 오랜 기간 이용하면서 수많은 프로그램들을 접해
본
사람이라면 화면의 색다름보다는 기능이 우선되겠지만 다이어리를 PC에 옮겨놓은 듯한 구성은 친숙함을 주기에 충분하다. 기능으로 봐서도 오거나이저는 막강하다. 특히 무엇보다도 필자를 기쁘게 해준 ... ...
전륜과 후륜의 차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4바퀴 타이어의 공기압을 동일하게 해준 후 평평한 곳에서 타이어의 눌림 정도를 살펴
본
다. 만일 앞쪽으로 중량이 많이 실려있다면 앞쪽 타이어가 많이 찌그러져 보인다. 다른 차에 비해 지나칠 정도로 많이 눌려 있으면 중량배분이 잘 안돼 있다고 볼 수 있다. 차에 짐을 많이 실을 경우 트렁크에 ... ...
공룡부활에 가려진 카오스 이론 쥬라기 공원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그러나 관객들은 다시 살아난 공룡들에게 전폭적인 관심을 쏟은 반면, 이 영화가
본
래 하고자 했던 이야기에는 별로 주목하지 않았다. 그것은 원작의 의도를 충분히 살리지 못한 영화에도 책임이 있다.이 영화의 주제는 '공룡 공원' 이 가능한가 하는 점이다. 공룡들을 다시 살려내는 문제가 아니라, ... ...
1. 1백명 여론조사 KAIST 학생들의 천태만상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아무래도 교수들의 출근 시간을 의식하는 듯 늦게 자도 일찍 일어난다고.과학동아를 읽어
본
사람은 1백명 응답자 중 83명이었다. 38명이 고등학교때 처음 과학동아를 접했고 22명이 중학교때, 국민학교때 접했다는 사람도 4명이나 됐다. 나머지는 대학교와 대학원 때 처음 봤다고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