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깨알보다 작은 마이크로 거울로 메가번개 잡는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전개되는 양상을 ms(밀리초, 1ms=10-3초) 단위로 분석하고 있다”고 밝혔다.이소연
박사
의 도움으로 여러 경험을 축적한 연구단은 지난해 9월 본격적인 인공위성 실험을 하기 위한 MTEL 탑재체를 완성했다. MTEL은 올해 4월 러시아 과학위성인 ‘타티아나 2호’에 탑재돼 소유스-2 로켓에 실려 우주에 ... ...
토양오염 연구의 일등 주자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하고 있다.이성수고려대 지구환경과학과를 졸업한 뒤 현재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 석
박사
통합과정에 다니고 있다. 분배성 추적자 기법을 이용한 유류 오염의 총량 평가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 ...
세계와 경쟁하는 과학영재의 산실
과학동아
l
2009년 03호
느낄 수 있도록 하겠다는 뜻이다.연구 활동의 비중도 커진다. 학생들은 대학교수나
박사
급 연구원과 팀을 이뤄 R&E(Research and Education) 프로그램에 참여하거나, 자 율연구를 하며1년에두 편의 논문을 작성한다. 특히 올해부터는 총 이수학점은 줄어든 반면 4학 기 동안12학점의 연구학점을 이수하던 ... ...
“아니 벌써~?”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임종환
박사
팀이 연구한 결과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평균 기온이 지난 100년 동안 1.5℃ 올라갔다고 해요.(도시 기준) 겨울철 기온도 올라가면서 봄이 2주 정도 빨리 찾아오는 걸로 나타났지요. 실제로 1996년부터 10년 동안 강원도 계방산, 경기도 광릉, 남해 금산 지역에서는 나뭇잎이 돋는 시기가 5~7일 ... ...
“마음대로 구부리세요~!” 차세대 반도체 소재‘그래핀’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성균관대학교 나노과학기술원 홍병희 교수와 김수근
박사
, 삼성전자종합기술원 최재영
박사
팀이 니켈판에 탄소막을 만드는 방법을 이용해 세계 최초로 그래핀을 대량 합성하는 데 성공했거든요.하지만 성능이 아무리 좋아도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크기를 만들 수 없다면 아무래도 쓰임이 적을 ... ...
집채만 한 파도와 싸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3호
권영인
박사
님이 다윈을 만날 날이 가까워지고 있습니다. 현재 남아메리카를 향해 가고 있는 장보고 호의 항로가 조만간 비글 호의 항로와 ... 위해 권영인
박사
님은 폭풍을 만나고 돛대가 부러지는 난관을 뚫고 항해를 해 왔답니다. 권영인
박사
님의 목숨을 건 항해기에 귀를 기울여 보세요 ... ...
복제기술이 꽃피우는 바이오혁명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아랑곳하지 않고 허연 콧김을 내뿜으며 느긋하게 여물을 먹고 있는 소들을 바라보며 양
박사
가 의미심장한 미소를 지었다.복제동물 탄생의 역사1952년 양서류인 개구리 복제 성공을 시작으로 어류, 포유류의 복제가 성공했다. 지난해에는 16년간 냉동고에 보관 중이던 생쥐의 뇌세포핵을 치환해 ... ...
공룡 최초의 깃털은 과시용?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화석 중 분화되지 않은 깃털을 가진 화석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징 수이
박사
는 “형태학적으로 단순한 초기의 깃털은 보온이나 비행과 같은 기능을 거의 할 수 없다”며 “초기의 깃털은 단순히 과시용이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현재 우리 주변에서 볼 수 있는 새의 깃털은 ... ...
[생물학]배고픔을 견디는 데도 남녀 차이 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변화하는지 연구해 국제학술지인 ‘생물·화학저널’ 1월 23일자에 발표했다. 클락
박사
팀은 실험 쥐 수컷과 암컷의 신경세포 배양액에 72시간 동안 영양분을 주지 않고 신경세포의 반응을 비교했다.그 결과 암컷 쥐의 신경세포가 수컷 쥐의 신경세포보다 더 많이 살아남았다. 24시간이 지났을 때 ... ...
다이옥신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즉 물→플랑크톤→물고기→곰(펭귄, 갈매기, 사람) 순서로 오염량이 늘어난다. 서
박사
는 “공업지역에서 만들어진 다이옥신이 물 분자에 달라붙어 바닷물로 전파되다가 먹이사슬을 거쳐 북극곰에서 검출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런 특성 때문에 다이옥신은 잔류성유기오염물질(POPs)로 분류됐고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