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능
힘
역량
재간
자격
기능
기술
d라이브러리
"
능력
"(으)로 총 5,761건 검색되었습니다.
2. 호주머니 속의 발전소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부각되고 있다. 수년 전까지만 해도 일반건전지와 호환성이 있고 5백회 이상의 재충전
능력
이 있어 소형 2차전지 시장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그 수요가 정체돼 있다.인공위성 전원 니켈-수소전지전지가 일상생활에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우주공간에 떠있는 인공위성의 심장 ... ...
2. 불로불사의 꿈, 영생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세포학자가 내세우는 첫번째 이론은 세포안에 있는 유전 메커니즘이 낡아져 자체 수리
능력
을 잃고 쇠퇴한다는 내용이다. 여기서 ‘예비 유전자’라는 개념이 등장하는데, 유전자 중에 잘못된 부분을 제거하고 성한 것으로 대체하려는 특성을 지닌 유전자를 말한다. 오래 사는 종이란 예비 유전자가 ... ...
나무는 베어서 써야한다.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단위면적당 임목 축적량이 증가한다. 또 낙엽과 뿌리의 양이 많아지기 때문에 물 저장
능력
이 더 커진다. 단순한 숲보다 다양한 수종이 모여 사는 복합적인 숲이 10% 이상 물을 더 저장하므로 현재의 단순림을 여러 수종이 모여 사는 복층 혼효림으로 개량해야 할 필요가 있다.간벌은 환경파괴?가꾸지 ... ...
모차르트 42번 교향곡은 컴퓨터 작품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창조적 프로그램은 가능한가호프스태터가 카피캣을 개발한 목적은 예술가의 창조적
능력
을 모방하는데 있지 않고, wyz라는 답을 내놓는 것처럼 창조성에 필수적인 사고의 유동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카피캣이 알파벳 연속체를 판단하는 기능은 그림이나 음악을 평가하는 것과는 거리가 멀다. 그러나 ... ...
밤하늘의 유혹, 숨겨진 짝별 찾기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지표 중에는 ‘분해능’이라는 것이 있는데, 가까이 붙어있는 물체를 분리해 볼 수 있는
능력
을 각도로 표시한 것이다. 망원경의 구경이 커질수록 분해능은 커지지만 같은 구경이라 할지라도 망원경에 따라 차이가 있다. 또한 분해능이 좋더라도 한쪽 별이 너무 밝은 경우는 어두운 별의 별빛이 밝은 ... ...
Ⅲ 생활속으로 파고드는 우주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따르면 운동 초기 스포츠 브래지어를 착용할 경우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30% 정도 운동
능력
이 향상된다고 한다. 이쯤되면 베이노트도 우수한 선수겠지만, 스포츠 브래지어의 역할도 과소평가할 수 없다.베이노트가 처음 착용한 스포츠 브래지어는 형상기억합금과 여성우주비행사가 착용했던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않았다면 생리기능에 이상이 올 수 있다. 사람에 따라 땀흘리는 정도나 더위에 견디는
능력
이 다르다는 점도 밝혀졌다.쉘레 - 꼼꼼한 성격 탓에 독극물 중독과학자 중에는 체계적인 교육을 받지 못한채 독학으로 실험에 임해 뛰어난 업적을 남긴 사람이 많다. 독일의 대실험가 칼 빌헬름 쉘레는 ... ...
북한 로켓 미스터리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분명하다.정지궤도든 저궤도든 지구궤도에 인공위성을 올릴 수 있는 나라는 8개국. 그
능력
을 굳이 순위로 매기자면 러시아 미국 프랑스 영국 일본 중국 인도 이스라엘순. 여기에 작년 7월 브라질이 VLS로켓에 3백50kg급 인공위성을 발사했으나 1단 로켓에 문제가 생겨 실패한 적이 있다. 결국 공인된 ... ...
철통같은 방어진 구축한 인체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어지간한 병원균은 우리 몸에 들어와도 옴싹날싹 못하게 돼 있으니 내 몸의 자연 치유
능력
을 믿고 약을 남용하는 일이 없었으면 한다. 약은 몸이라는 생체계를 간섭하는 물질로 특히 항생제에 대한 저항 세균이 자꾸 생겨난 학자들의 걱정이 태산같다. 독이 아닌 약이 없는 것이다. 아무튼 우리 몸의 ... ...
인조인간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2백살을 맞은 사나이’는 로봇의 미래에 중대한 시사점을 던지는 작품이다. 외형이나
능력
면에서 인간과 똑같은 로봇이 등장한다면 인간의 정체성이나 휴머니즘은 어떻게 될까?‘2백살을 맞은 사나이’는 인간이 되려고 글자 그대로 필사적인 노력을 기울이는 로봇 얘기다. 그는 모든 면에서 ... ...
이전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41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