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질병
질환
단지
재앙
우환
병환
항아리
스페셜
"
병
"(으)로 총 804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화학상 수상자 "코로나 봉쇄, 생명 구하기보다 희생시켜"
연합뉴스
l
2020.05.25
모델링의 기초를 마련한 공로로 2013년 노벨화학상을 공동 수상했다. 그는 감염
병
전문가가 아니라는 지적엔 "신경 쓰지 않는다"면서 "나는 그저 수치와 사례를 관찰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난 4월 거리에서 마스크를 쓴 채 신문을 읽는 영국 시민. [EPA=연합뉴스 자료사진] / ... ...
인류는 코로나19로부터 벗어날 수 없을 듯…"면역력 생겨도 80일뒤 재감염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0.05.22
코로나19를 일으키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전자현미경 사진이다. NIAID 제공 면역은 몸이 외부에 있는
병
원체에 대항하는 항체를 만들어 독소를 중화하 ... 정책 입안자, 과학자들 모두의 관심사”라며 “코로나19 면역 수준을 아는 것은 질
병
의 확산을 통제하는데 중요하다”고 말했다. ... ...
"한국인들 코로나19 감염되면 건강보다 주변 비난을 더 걱정"
동아사이언스
l
2020.05.20
9 이전을 100으로 봤을 때 어느 정도 수준이냐는 질문에 국민들은 코로나19 환자가 처음 발
병
한 이후인 1월 말엔 58.4라고 답했다. 이는 신천지 사태가 발발한 2월 말엔 48.3으로 떨어졌다. 가장 최근 조사인 이달 15일에도 52.7에 머물렀다. 유 교수는 “아직도 국민들의 일상은 처음 측정에 비해 여전히 ... ...
트럼프 탈퇴 엄포 놓은 WHO, 코로나19 대응 지켜본 국내 전문가들 평가는
동아사이언스
l
2020.05.20
일원으로 참가하기도 했다. 이 교수는 “조직을 참여해서 봤을 때도 중국이 1월 19일에야
병
을 보고하는 등 WHO의 현장대응 능력이 떨어지는 걸 볼 수 있었다”며 “WHO가 약한 조직임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하지만 국제적인 공중보건에 대한 중요성은 전 세계가 공유해야할 의식인 ... ...
여름되면 아이들 안전해질까…전문가들 "코로나19 확산 안꺾일 것"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전파를 늦추지 않는다”며 “기후가 전염
병
의 규모와 시기에 영향을 미치지만 사람들이
병
에 얼마나 걸리기 쉬운지가 더 중요하기 때문에 기후와 관계없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확산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베이커 연구원은 “온도와 습도가 바이러스의 전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아직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 헌혈·수혈로도 코로나19 걸릴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등의 강화된 문진 절차를 운영하고 있다. 대한적십자사는 “대한적십자사 직원들은 질
병
관리본부에서 안내한 감염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하고 있다”며 “헌혈의 집 혹은 헌혈 버스 근무자들은 모두 마스크 착용, 손위생을 철저히 하고 있으며 물품들은 모두 일회용으로 사용한다”고 말했다. ... ...
3일 이상 열나고 염증 수치 높고 저혈압 증세...WHO '어린이 괴질' 정의 담은 보고서 내놔
동아사이언스
l
2020.05.17
“전체 특성이 명확하지 않고 유럽과 미국에만 국한된 것인지 아니면 다른 곳에서 이
병
을 인식하지 못한 것인지를 알 수 없는 상황”이라고 밝혔다. WHO는 어린이 괴질 환자를 분류하기 위한 사례 정의를 처음 발표했다. 환자는 우선 3일 이상 열 증상을 보이는 19세 이하 환자여야 한다. 발진이나 ... ...
"미국·유럽서 확산 '어린이 괴질' 코로나 영향 크지 않아"…정은경 "국내 사례 없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5.15
말했다. 국내에서는 아직 어린이 괴질과 같은 사례가 보고된 적이 없다. 정은경 질
병
관리본부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국내 전문가, 소아감염 전문가들과 확인을 한 결과 아직까지는 유럽과 미국에서 보고되고 있는 어린이 괴질과 유사한 사례는 보고되지 않고 있다”며 “코로나19와의 관련성 ... ...
[사이언스N사피엔스] 미생물의 발견
2020.05.14
프랑스의 루이 파스퇴르와 독일의 로베르트 코흐에 이르러서야 특정 미생물이 특정 질
병
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정립할 수 있었다. 이들에게도 가장 중요한 무기는 바로 현미경이었다. ※참고자료 -Alan Chodos, Lens Crafters Circa 1590: Invention of the Microscope, APS News, March 2004 (Volume 13, Number 3); https://www.aps ... ...
“페이스북에선 백신 무용론자 목소리가 더 크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4
소리다. 최근에는 질
병
을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을 두고 오히려 백신으로 인해
병
에 걸릴 수 있다며 ‘안티 백신’ 운동을 펼치는 단체도 나왔다. 이런 잘못된 정보들을 퍼뜨리는 그룹이 방역당국이나 다른 전문가 그룹보다 의사결정을 하지 않은 사람들에게 끼치는 영향이 크다는 연구결과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