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사
상사
사업
업체
기업체
그룹
상회
스페셜
"
기업
"(으)로 총 405건 검색되었습니다.
“바이오는 기다림의 산업…글로벌 네트워크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09.07.07
인프라 등을 높이 평가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신생 소자본 바이오 벤처
기업
은 초기 자본이 부족할 뿐 아니라 신기술의 상용화 과정에서도 많은 시행착오를 겪는다”며 “노바티스의 벤처펀드를 통해 투자금은 물론 연구개발 노하우까지 전수해 한국 내 R&D 네트워크 구축으로 ... ...
“신약 개발 성공하려면 변리사부터 뽑아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16
GSK) 연구원으로 취업해 미국 제약업계에 발을 들여 놓았으며, 2004년부터 암 치료제 전문
기업
인 제넨테크 책임연구원으로 근무하고 있다. ※ 이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기사는 향후 생명공학 정책 수립을 위한 연구 자료로 활용됩니다. ※ 기사의 무단 전제와 ... ...
타미플루 개발자 “한국 신약사업, 아이디어로 승부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3
조절하는 약품을 개발하는 것이다. 김 부사장은 “그러나 이런 전통적인 방법을 고집한
기업
중 사업화에 크게 성공한 곳은 드물다”면서 “기초과학을 하지 말라는 뜻은 아니지만 좀 더 시장 지향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김 부사장은 최근 유행하고 있는 신종인플루엔자(H1N1)에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2
②김유중 박사 = “신약개발의 주체는
기업
이지만 한국
기업
규모로는 어려워… 외국
기업
들의 역량을 충분히 활용해야” ③남인영 박사 = “정부와 기초과학연구자간의 소통을 강화해야… 정부의 창구를 일원화가 관건”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 ...
“기초과학 맹신말고 산업화 능력키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9
박호용 생명연 박사(인섹트바이오텍 대표)는 “경기침체라지만 실질적 기술력을 갖춘
기업
들은 모두 활발히 투자를 벌이고 있다”면서 “우리도 사업화를 고려한 기술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 ...
“생명과학기술과 생명윤리는 동전의 양면”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조언한다. 연구계획 설정과 연구비 분배, 연구원 활용 등을 책임지는 과학계 리더는
기업
을 이끄는 경영자와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그는 또 생명과학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의 연구개발(R&D) 지원정책이 유기적으로 좀 더 통합돼야 한다는 견해도 덧붙였다. “생명과학 분야의 경우 현재 기초기술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얻어 국내
기업
과 연구기관에 공급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 그는 “현지에 한국 BT
기업
지사를 늘려 나가야 한다”며 “현지인을 적극적으로 고용해 상호협력 체제를 만들어 나가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에서 현지 의사로 근무하고 있다는 한 한국인은 “미국은 임상의사와 ...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09.05.19
단체는 총 3개. 그 중 2개가 캘리포니아에 있다. 샌프란시스코 인근, 바이오벤처
기업
들이 모여있는 베이(BAY) 지역 한국인 과학기술인들의 모임인 베이커스(BAKAS)와 대학 연구원 및 박사과정 학생들의 모임인 콜리스(KOLIS)가 그것이다. 심포지움은 콜리스 주최로 버클리 대 세미나실에서 진행됐으며 ... ...
“바이오는 ‘타이밍’… 산업 흐름 알아야 성공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09.05.14
평가시스템 필요=정량적 바이오 비즈니스 모델 수립, 공신력 있는 기관을 중심으로
기업
가치 평가시스템 마련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으로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이정진 대웅제약 바이오연구소 소장도
기업
과 정부부처의 협력을 강조했다. 그는 “
기업
연구소의 입장에서 기술료는 부담스러운 부분”이라며 “기술료 정책을 바꾼다면 사업화 성공율이 높아질 것”이라고 했다. 또 “정부의 과제별 규제가 까다롭기 때문에 연구자들의 참여가 어렵다”고 ... ...
이전
36
37
38
39
40
4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