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경로
경과
코스
절차
단계
진행
스페셜
"
과정
"(으)로 총 431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바이오벤처, 산업화 연구의 ‘프로’가 돼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9
자료들을 이용해 과학자들은 또 다른 아이디어를 얻는 단계에 이르렀지요.” 이 ‘선순환
과정
’을 예로 들면서 박 사장이 강조한 점은 다름 아닌 ‘기업체의 역할’ 이다. “바이오 벤처 기업은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PCR 원리나 장비같은 ‘툴’을 만드는 회사와 그 툴을 응용해 사업을 ... ...
“바이오 강국 위해선 아시아 똘똘 뭉쳐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7.03
교수는 “한국 생명공학에서는 앞으로 ‘선택과 집중’이 정말 중요할 것”이라며 “ 이
과정
에서 효율성과 합리성을 모두 갖춰 일관성 있는 기준을 만들고, 연구비 지급 정책 등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이 교수는 이어 “한국의 실상을 보면 일관성이 없고 사람이 바뀌면 기준들도 ... ...
“구슬도 꿰어야 보배…바이오 인재도 마찬가지”
동아사이언스
l
2012.07.02
한다. 정보 네트워크를 위한 인문사회과학자들도 대거 BT 쪽에 들어와야 한다. 이런
과정
을 거치면 5~6년 정도 더 지나면 BT도 기간산업으로서 첫 발을 디딜 것으로 기대된다. ※ 이 좌담회 시리즈는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의 공동기획에 의해 취재, 보도되고 있습니다 ... ...
‘창조성’ 중요한 바이오…한국도 기회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23
기업을 육성할 수 있었던 것은 5~10년 주기로 성과를 평가하거나 중간 연구 산출물 또는
과정
자체만으로도 평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연구개발(R&D)에서 오랫동안 지적된 문제인 중복 투자에 대해 도덕적 해이가 발생하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정 부분 부처간 영역이 ... ...
“BT 연구개발, 부처간 이기주의 심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2.04.18
부처들간 협의는 여전히 이뤄지지 않고 중복 사업은 여기저기서 진행되고 있어요. 이
과정
에서 갖가지 분쟁들이 일어났고 이를 해결하는 데 너무 많은 에너지를 쏟았습니다. 분쟁 원인에는 여러 가지가 있겠지만 효과적인 투자 시스템이 없었던 점이 크게 작용했을 것으로 생각해요. 제대로 된 ... ...
생명공학 발전은 ‘네트워크’에서 시작
동아사이언스
l
2012.03.07
성과를 내기 어렵다. 생명현상이 복잡할 뿐 아니라 데이터 해석, 임상실험 등 여러
과정
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현재 생명공학 연구 평가 잣대는 좋은 학술지에 얼마나 많은 논문을 냈는지, 혹은 단기간에 눈에 띌 만한 성과를 냈는지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1년마다 연구 성과를 내야 하는 ... ...
“바이오 연구, 재구조화로 산업적 성과 이끌어 내야”
동아사이언스
l
2012.02.13
등 산업화까지 가는데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협력과 조율을 병행할 방침이다. “이
과정
에서 기초연구를 담당하는 교과부는 성과 부분에서 손해 보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그것이 교과부의 역할인데 어떡합니까. 어디서 하든 실제적인 성과를 낼 수 있도록 최선의 지원을 다할 생각입니다.” ... ...
“사람에게 목적 맞춘 바이오 연구 필요해”
동아사이언스
l
2011.11.28
연구가 환자에게 도움이 되려면 반드시 임상 연구를 거쳐야 하는데 우리나라는 이
과정
에 대한 지원이 부족합니다.” ● 과학자와 의사, 소통 위한 안팎의 노력 필요 선 교수는 임상 연구에 대한 설명을 하기에 앞서 ‘즐탁동기’(啐啄同機)라는 옛말을 꺼냈다. 이 말은 알 속의 병아리가 밖으로 ... ...
“연구는 고정관념과의 전쟁”
동아사이언스
l
2011.11.07
전달했다. 2007년부터 올해까지 10명의 학생들에게 전달된 이 장학금은 서호주대 학부
과정
등록금 전액(2억원)을 지원하고 있다. 마셜 교수는 “한국 학생들은 창의적이고 활동적이며 재미있다”면서도 “가끔은 너무 지나치게 공부하는 것 같은 느낌도 받고 있는데 이제는 좀 쉬엄쉬엄해도 되지 ... ...
떠오르는 해양생명공학…세계적 수준 따라잡을 것
동아사이언스
l
2011.10.17
것에서 시작해 생체 메커니즘을 분석하는 분야까지 폭이 굉장히 넓다”며 “이런
과정
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야 연구가 한 단계 업그레이드 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 수준의 향상도 결국 사람 문제다. 해양학 분야는 젊은 연구자들이 진출할 수 있는 곳이 그리 많지 않다. 이들에 대한 대책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