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academe
학구생활
뉴스
"
학계
"(으)로 총 2,605건 검색되었습니다.
라그랑주점이 뭐길래...문 연 우주청, 탐사목표 제시한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지구 정지궤도 안쪽을 통과할 것으로 예상된다. 2만 년에 한 번 일어나는 드문 현상이다.
학계
에선 아포피스가 지구에 근접해 통과할 때 생기는 다양한 물리 작용에 주목하고 있다. 소행성 탐사는 태양계 탐사 미션 중에서 가장 도전적인 과제로 여겨진다. 우주 공간을 수억 km 비행해 지름이 1km도 ... ...
수
학계
대통일 이론 '랭글랜즈 프로그램' 한발짝…30년 난제 해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랭글랜즈 프로그램이 이같이 확장하고 영향력을 인정받으면서 랭글랜즈는 2018년 수
학계
노벨상으로 불리는 '아벨상'을 수상한다. 뉴욕타임즈는 당시 그의 수상을 보도하며 '1967년 랭글랜즈가 수학의 상이한 분야를 서로 묶는 '대통일 이론'을 증명하기 위한 길잡이를 마련했다'고 썼다. 신 ... ...
가뭄에 살아남으려 배아 때 신체 구조 바꾸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수 있다. 킬리피쉬가 이처럼 건조한 환경에서도 어떻게 오랫동안 살아남을 수 있는지는
학계
의 수수께끼였다. 이번 연구에서는 킬리피쉬의 생존 전략이 배아 상태일 때 시작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분석 결과 킬리피쉬는 초기 배아 단계에서 배아 세포가 스스로 조직화해 신체 구조를 형성하는 ... ...
조류독감 H5N2 첫 인간 감염·사망 사례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앞서
학계
에선 살균하지 않은 우유는 활성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들어있을 수 있어 그냥 마시면 안 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JackF/게티이미지뱅크 제공. H5N2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사람이 감염되고 사망한 사례가 처음으로 확인됐다. 환자는 증상이 나타나고 일주일 만에 사망한 ... ...
영국·인도·에티오피아 대기오염, 디지털 작품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6
센서를 활용해 3개국 도시의 대기오염 수준을 디지털 작품으로 발표하면서
학계
의 주목을 받았다. 전세계 대기오염 문제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디지털 작업물로 환경오염에 대한 경각심을 환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국 버밍엄대 등 9개 기관이 참여한 국제공동연구팀은 ... ...
1년 반 동안 새 수장 못 찾던 고등과학원 신임 원장에 노태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새로운 학문 분야를 창출하는 연구 환경을 조성하겠다”면서 “고등과학원이 국제
학계
를 선도하는 연구소가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임 고등과학원장 취임식은 14일 고등과학원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노태원 고등과학원장. 고등과학원 제공 ... ...
올여름 80년만의 '신성 폭발' 맨눈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세기의 신성폭발'을 앞두고 이보다 강력한 빛을 내뿜는 초신성 폭발의 관측 기회도 천문
학계
의 관심사다. 초신성 폭발은 태양보다 10배 가량 무거운 별이 수명을 다하고 폭발할 때 일어난다. 태양이 100억년 동안 방출할 에너지를 한꺼번에 방출하며 태양 10억개 밝기로 빛난다. 현재 초신성 폭발이 ... ...
우주청이 소행성 '아포피스'·라그랑주점을 탐사하려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소행성의 움직임은 2만 년에 한 번 일어나는 드문 현상으로
학계
에선 이때 예측되는 다양한 물리 작용에 주목하고 있다. 소행성 탐사 자체도 태양계를 연구하는 과학 임무 중에서도 가장 도전적인 과제로 여겨진다. 우주 공간을 수억 km 비행해 지름이 1km도 되지 않는 ... ...
벌새 뇌 속엔 3D 지도…빠르게 나는 이유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움직이면서도 꽃에 부딪치지 않은 채 꿀을 빠는 정교한 비행을 할 수 있는지는 그간
학계
의 관심사였다. 비행하는 벌새의 뇌는 특수한 3차원(3D) 지도를 만들어 장애물을 신속하게 피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날개 앞쪽과 다리 깃털에 닿는 공기돌풍을 통해 수집된 정보를 전뇌에서 빠르게 ... ...
KAIST 이상엽 교수, 합성생물학 개척자 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개척자 상을 받은 것이다. 5월 6일부터 9일까지 미국에서 개최된 신바이오베타 2024는
학계
와 연구계뿐 아니라 기업과 투자자들이 모여 토론, 전시, 투자 네트워킹 등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됐다. 인간 게놈 서열을 처음으로 밝힌 크레이그 벤터 박사 등 600여 명이 참석했다. 이 교수는 콘퍼런스에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