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류
전심
전념
용병술
전압
전원
뉴스
"
전력
"(으)로 총 2,421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주운전 '꼼짝마'…신속 진단 센서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9
에탄올이 누출됐을 때 즉각적으로 알람을 보낼 수 있다. 특히 소형화가 가능하고 저
전력
으로 작동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장에서 음주운전을 수십초 내에 진단하는 할 수 있어 기대를 모은다. 권혁준 교수는 "연구결과를 차세대 사물인터넷(IoT) 플랫폼에 적용하려면 에탄올 센서 단독 사용에서 ... ...
[과기원NOW] KAIST, 생성AI·VR·3D스케칭 결합 연구 본격화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가능하도록 했다. 연구팀은 무탄소 배출 친환경 신기술의 잠재력과 57% 이상 감소한
전력
사용량을 확인했다. 이번 성과는 친환경 수소경제 확장과 안정적인 에너지 공급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는 국제학술지 ‘에너지 화학’에 지난 7일 게재됐다. ■ 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은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 국제 공동연구 지원사업 신규과제 공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26
생산·공급하는 국영
전력
회사다. 이번 협약으로 양 기관은 앞으로 태국 내 고전압·대
전력
시험설비를 개선하거나 구축하는 다양한 엔지니어링 사업에 참여할 계획이다. 이 밖에 전기연은 시험소 관련 구매발주부터 유지보수 과정까지 이르는 다양한 직원 교육 서비스를 올 2분기부터 제공하는 ... ...
'빛 회절 난제' 극복한 광 디스크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2.23
2022년 기준 중국 전역에서 반도체 기반 저장장치를 사용하는 데이터센터가 소비한
전력
은 2700억킬로와트시(Kwh)에 이른다. 3~10년마다 정기적으로 데이터를 다른 저장 장치로 옮겨 담아야 하는 탓에 이들 장치의 대안이 될 수 있는 차세대 저장 장치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 '빛의 회절' 난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1000만원대 전기차, 어떻게 가능할까
2024.02.21
차츰 떨어지고 얼마 안 가
전력
이 수명 기준선 아래로 내려간다(전압과 전류를 곱한 값이
전력
이다). 마그네슘과 칼슘을 비교하면 원자량이 24인 마그네슘이 40인 칼슘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을 것이므로 배터리 소재로 더 나을 것 같지만 꼭 그렇지도 않다. 에너지 밀도에 영향을 주는 또 다른 ... ...
차세대 반도체 솔리톤 안정화 기술 최초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2.20
해결하고자 하는 연구 분야다. 기존 정보처리 기술을 혁신적으로 발전시켜 초고속 초저
전력
차세대 반도체 기술을 구현할 것으로 기대된다. 솔리톤은 특정한 구조가 주변과 상호작용을 통해 사라지지 않고 계속 유지하는 현상이다. 위상적 솔리톤이라는 구조체를 이용해 정보를 저장하고 전송할 ... ...
[과기원NOW] 포스텍,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용 다공성 전극 제작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데 성공했다. 실험 결과 연구팀이 제작한 전극은 700~750도 고온 환경에서도 전지 최대
전력
밀도를 기존 대비 2.2배 높였다. 전지 효율을 떨어뜨리는 활성화 저항이 60% 감소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메소즈'에 지난달 9월 온라인 게재됐다. ■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20~27일 캐나다 ... ...
곤충처럼 사물 움직임 감지하는 반도체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이용해 물체와 그 동작을 인식한다.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 트래픽 양이 상당하고
전력
이 많이 소모돼 모바일 또는 사물인터넷 장치에 적용되기 어렵다. 곤충은 ‘기본 동작 감지기’라는 시신경 회로를 통해 시각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해 물체를 탐지하고 그 동작을 인식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 ...
전기차 가격 내리고 주행거리 늘릴 과학기술은
동아사이언스
l
2024.02.19
수요는 4TWh(테라와트시)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 전기차 대중화를 실현하려면 배터리
전력
및 경제성, 안전성 등에 대한 최적화 작업이 필수다. ● 리튬이온배터리 대체할 차세대 배터리 리튬이온배터리는 전기차에 가장 많이 쓰이지만 충전 시간이 길고 배터리 용량도 한계가 있다. 리튬이라는 ... ...
AI로 불길 찾고 로봇이 불 끄고...소방관 지키는 과학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4.02.16
개선 효과에 만족한다고 답했다. 연구팀은 또 휴대성을 높이고 장비의 부피도 줄였다.
전력
이 낮아도 실시간으로 정보 처리가 가능한 알고리즘 설계를 통해서다. 전기를 공급하기 위한 장비 부피가 줄인 덕분이다. 불이 일어난 화점을 정확히 찾아내는 열화상 카메라 기술도 개발됐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