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재
오늘
지금
금일
이날
현세
뉴스
"
오늘날
"(으)로 총 1,008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리미엄 리포트] 네가닥으로 꼬였다! DNA 사중나선
2020.10.09
실험실 환경뿐만 아니라 우리 몸속에서도 존재할 가능성이 충분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오늘날
의 연구자들은 4중나선 구조를 살아있는 세포 안에서 실시간으로 촬영해 4중나선 구조가 세포 내에 안정된 구조로 존재함을 실험으로 입증했다. 샹카르 발라수브라마니안 영국 케임브리지대 화학과 ... ...
'간염부터 코로나19까지' 영원한 현역 찰스 라이스
2020.10.06
관해 가장 인상 깊었던 점은 그의 연구의 다양성이었다. 라이스 박사의 연구 대상은
오늘날
노벨상 수상에 이르게 한 C형 간염 바이러스에 국한되지 않았다. 인류에게 치명적인 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인 황열바이러스와 뎅기바이러스, B형 간염 바이러스, 치킨군야바이러스 그리고 ... ...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유전자 다형성 표지자 분야를 개척하고 전장유전체연관분석(GWAS) 개발에 큰 영향을 미쳐
오늘날
다양한 게놈 기반 연구의 기틀을 다진 연구가 대표적이다. 신경과학 분야를 혁신한 기술로 꼽히는 광유전학 분야 기틀을 다진 학자들도 주목 받고 있다. 다수의 신호전달체계에 관여해 암 생물학에 큰 ... ...
[강석기의 과학카페]100억년 뒤 태양계는 어떤 모습일까
2020.09.29
50억 년 뒤 중심핵에서 수소를 소진한 태양이 팽창하기 시작하면 지름이 100배 이상 커져
오늘날
수성과 금성 공전궤도를 넘어서 지구 공전궤도에 육박할 것으로 보인다. 이때 지구가 적색거성 태양에 잡아먹힐지를 두고 논란이 있지만 설사 살아남는다 하더라도 바로 옆 적색거성 태양의 엄청난 ... ...
테슬라 배터리 데이 '전고체 배터리'는 없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23
CEO가 올해 8월 트위터에 “3~4년 안에 훨씬 더 효율적인 배터리가 주류가 될 것”이라며 “
오늘날
의 배터리보다 두 배의 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에 일각에서는 이번 배터리데이에서 전고체 배터리 개발 여부나 기술을 공개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나오기도 했다. 리처드 레인 미국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으로 살빼는 시대 오나
2020.09.22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은 빛 반응 경로가 관여함을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이어서 “
오늘날
인공조명이 표준이 된 선진 사회에서 대사질환이 만연한 건 옵신3과 옵신5가 제대로 자극받지 못하기 때문일지도 모른다”고 덧붙였다. 선탠 기구처럼 파란빛이 나오는 통에 들어가 피하지방조직의 옵신 ... ...
아이온큐 창업자 김정상 교수 "초능력 가까운 양자컴퓨터가 진화한 AI 만들 것 "
동아사이언스
l
2020.09.18
것을 뜻했다”며 “NASA의 컴퓨터와 지금 구글의 컴퓨터가 다르듯 차세대 컴퓨터도
오늘날
생각하는 컴퓨터 모습과 다를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교수는 양자컴퓨터가 활용하는 양자물리학의 특성인 ‘중첩’과 ‘얽힘’을 히어로 영화에서 주인공이 가진 ‘초능력’에 비유했다. 중첩은 관측 ... ...
UV소독로봇 개발자 "기술 과시욕이 로봇 산업 성장 막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9.17
상무이사,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 세계지식포럼 라이브 캡쳐 “
오늘날
많은 로봇이 그 기술을 과시하기 위해 개발되는 것들이 많습니다.” 클라우스 리사거 블루오션로보틱스 공동창업자 겸 최고경영자(CEO)는 17일 서울 중구 신라호텔에서 매일경제신문 주최로 열린 세계지식포럼에서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공식품의 합리적 소비
2020.09.16
그리고 생활화학용품을 부정적인 ‘화학 혐오증’의 온상으로 만들어서는 안 된다.
오늘날
우리의 화학물질을 현명하게 활용하는 ‘화학의 시대’에 살고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한다. 이덕환 서강대 과학커뮤니케이션 교수 ※필자소개 이덕환 서강대 명예교수(화학‧과학커뮤니케이션)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식물 접붙이기의 비밀 풀렸다
2020.09.08
대응책이 개발되지 않았더라면 비니페라 종은 자취를 감추었을지도 모른다.”라고 썼다.
오늘날
와인이 유럽과 북미를 넘어 세계인이 즐기고 있는 술이 된 건 접붙이기 덕분이라는 말이다. 한 개체에서 두 게놈의 장점 살려 접붙이기에서 대목(검은색)은 물과 영양분을 공급할 뿐 아니라 접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