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험
검사
테스트
실습
체험
조사
점검
뉴스
"
실험
"(으)로 총 10,092건 검색되었습니다.
'뇌과학자로 2주 살기'…IBS 고등학생 뇌과학 캠프 참가자 모집
동아사이언스
l
2025.06.18
분자생물학·전기생리학·광유전학·동물행동학 등 다양한 뇌과학 분야 이론 교육과
실험
·세미나·랩미팅·저널클럽 같은 실제 연구 과정 전반을 체험할 수 있다. 참가자들은 첨단 연구 인프라를 활용한 연구 설계와 실습 위주의 교육을 받는다. 이번 캠프 세부 프로그램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활용한 ... ...
밤에도 밝고 뜨거운 도시, 식물 생장기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미국 밴더빌트대 지구환경과학과 교수와 둔산 셰 중국 우한대 국가수자원공학및관리핵심
실험
실 교수 공동연구팀은 야간 인공조명과 도시 열섬 현상으로 도시 식물의 생장기가 길어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16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 시티즈'에 공개했다. 도시화로 전세계 ... ...
AI가 공감 능력도 끌어올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감정을 들여다보도록 돕는 것이다. 연구팀이 다양한 배경을 가진 100명 이상의
실험
참여자들에게 이모싱크를 적용하자 타인의 경험에 대한 감정 이해도와 공감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됐다. 개인 맞춤형 경험 비유가 공감 능력을 끌어올리는 데 효과가 있다는 것을 입증한 것이다. ... ...
빛 공해 제로·열 차감 ‘스마트 윈도우’ 개발…"건물·차량에 적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반사광을 흡수해 외부 눈부심까지 방지한다. 연구팀은 미니어처 모델 하우스를 이용한
실험
에서 기술의 실질적인 열 차단 효과도 입증했다. 일반 유리를 적용한 경우 실내 온도가 45분 만에 58.7도(℃)까지 상승한 반면 RECM 기술의 모드 III를 적용한 경우에는 31.5℃까지만 상승했다. 문홍철 교수는 ... ...
[육아X청년과학자]⑥ "육아 병행 포닥 주변에 거의 없어…유연근무제 꼭 필요"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개발하고 무인 배달 로봇이 원활하게 작동을 하는 데 필요한 원천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실험
스케줄을 크게 얽매이는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육아를 병행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Q. 주변에 육아를 하고 있는 연구자가 얼마나 되나. "대학원생, 박사후연구원은 거의 없다고 보면 된다. 우리가 ... ...
대장암 억제 새 단백질 기능 발견…"암세포 안에서 직접 작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억제함으로써 암세포의 증식을 줄이고 염증 반응을 낮추는 효과가 나타난 것이다.
실험
용 쥐 모델에서도 이러한 결과가 확인됐다. NAG-1 발현이 증가한 쥐에서는 종양 크기가 줄어들고 암세포의 증식은 감소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NAG-1 단백질이 세포 밖에서만 작용하는 것이 아니라 세포 ... ...
21개 화학반응 생성물 동시 분석…"AI 신약개발 병목 해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자동화가 가능하지만 반응 결과 분석은 전통적인 방법에 의존하고 있어 신속한 반복
실험
이 어렵다. 반응 분석 단계가 신약과 신물질 개발에 병목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는 뜻이다. KAIST 연구팀이 개발한 다기질 스크리닝 반응 수행과 불소 핵자기공명분광기 활용 개념도. KAIST 제공 연구팀은 '불소- ... ...
호흡 패턴도 사람마다 달라...정신건강 척도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6
패턴을 갖고 있다는 점이 확인됐다. 연구팀은 2년간 반복적으로 시행한 호흡 패턴 측정
실험
을 통해 96.8%의 정확도로 개인 식별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이는 음성 인식 기술을 이용한 개인 식별 정확도와 유사한 수준이다. 연구팀은 “달리기를 하거나 휴식을 취하거나 공부를 할 때 호흡이 ... ...
비싼 양자역학 계산 대신 생성형AI로 신물질 분석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계산을 직접 수행하지 않고도 전자 정보를 추론하고 물성을 예측할 수 있다. 약 3만 건의
실험
데이터에서 DELID는 분자의 물리, 독성, 광학 등의 성질을 높은 정확도로 예측했다. 세계 최고 수준 AI 모델이 광학 특성 예측 문제에서 31~44%의 예측 정확도를 보인 가운데 DELID는 88%의 정확도를 달성했다.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데는 약 1시간이 걸린 것으로 확인됐다. 복구 능력을 입증한 것이다. (doi: 10.1039/D3DD00245D)
실험
을 이끈 호세 연구원은 서면으로 "자가 치유 소재는 아직 상용화 단계는 아니지만 향후 현실에서 쓰인다면 싱크홀 크기를 획기적으로 줄이면서도 도로 공사 없이 친환경적으로 균열을 메울 수 있을 것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