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장사
직업
중독
애용
뉴스
"
상용
"(으)로 총 3,351건 검색되었습니다.
[푸드테크 뜬다]③ 도축 없이 고기 먹는 시대…배양육 강점은 '안전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선점할 수 있다“며 ”세포 배양부터 배양육 가공까지 고도화된 기술력을 확보하고
상용
화할 수 있도록 보다 적극적인 규제 완화 및 지원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 ...
[사이언스게시판] 칠레와 리튬 기술협력으로 공급망 다변화 앞당긴다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활용을 위한 연구자-기업 간 1:1 기술매칭·상담과 함께 출연연 우수기술 및 유관기업의
상용
화 제품 전시 및 체험, 출연연 유관 벤처·스타트업 피칭무대 운영, 기후테크 솔루션 컨퍼런스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김복철 NST 이사장은 "이번 행사를 통해 출연연 우수 연구성과를 산업계에 ... ...
ETRI, CDMA
상용
화 공로로 IEEE 마일스톤 등재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KAIST 교수의 CDMA 개발 역사 소개 등의 프로그램이 이어졌다. ETRI 7동 명예의 전당에 CDMA
상용
화 기술 IEEE 마일스톤 등재 기념 동판을 다는 현판식도 진행됐다 ... ...
레이저로 열에너지 정밀 제어…고효율 AI반도체 공정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교수는 "열에너지를 최소화한 레이저 어닐링 기술은 강유전체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상용
화 가능성을 높이는 새로운 접근법"이라며 "기존 고온 공정의 한계를 극복해 기술 혁신을 주도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권혁준 교수는 "기존 실리콘 공정과도 호환성이 높다"며 "다양한 소자를 포함하는 ... ...
실내조명 활용해 초고감도로 이산화질소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및 집적화 문제를 해결할 수 있어 향후 실내조명 및 기기와의 결합을 통한 가스 센서의
상용
화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6월호 속표지 논문으로 게재될 예정이다 ... ...
차세대 원자력 기술개발·실증에 2조5000억원 투입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계획이다. 미국, 영국 등과 차세대 원자로 실증을 위한 국제협력을 진행하고 신속한
상용
화를 위해 민간 중심 산업생태계를 구축한다는 내용도 이번 추진방안에 담겼다. 정부는 추진방안에 따라 향후 차세대 원자력 산업에서 민간 영역이 크게 확장되고 전력공급뿐 아니라 수소 생산, 신재생에너지 ... ...
수면 방해하는 코골이, 집에서 스마트폰 앱으로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울산과학기술원(UNIST) 연구팀이 개발한 수면무호흡증 진단기기. 스마트폰 앱(APP)과 연동하면 간단하게 수면무호흡증을 진단할 수 있다. UNIST 제공 스 ... 되며, 실제로
상용
화되어야 과학기술의 가치가 창출된다"고 강조하며 "앞으로도 연구 성과를
상용
화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 ...
그린수소 생산 고성능·고내구성 수전해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영국 화학연 원장은 "음이온교환막 수전해 기술이
상용
화까지 이어져 핵심 소재 국산화와 수소 경제 달성에 이바지할 것"이라며 "국내 기업의 글로벌 시장 진입을 통해 일자리 창출에도 기여할 것으로 생각한다"고 밝혔다. ... ...
SMR 포함 원전 4기 신설되나…신규 원전 설립계획 발표
동아사이언스
l
2024.06.02
이번 실무안에는 현재 개발 중인 SMR의 건설 및 실증 계획도 처음으로 포함됐다. SMR
상용
화 실증을 통해 0.7GW를 확보하는 방안이 담겼다. 현재 한국이 개발하는 SMR 노형은 1개 모듈당 0.17GW다. 4개 모듈을 합한 SMR 1기의 용량이 약 0.7GW다. SMR은 2034∼2035년에 걸쳐 모듈별로 건설을 마치고 운영을 ... ...
손 하나에 엄지 둘 로봇
상용
화 합격점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인지 능력만으로 로봇을 쉽게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게 몸에 착용하는 웨어러블 로봇
상용
화의 필수 조건이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케임브리지대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에게 세번째 엄지손가락을 활용해 물체를 이동시키는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13명을 제외한 참가자 약 98%가 지시를 받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