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생물
병원
뉴스
"
병원미생물
"(으)로 총 411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게 궁금해요]성인 감염병 백신 어떤 것 있나?
동아일보
l
2015.06.15
[동아일보] 《 Q. 요즘 메르스 때문에 하루하루 불안하게 보내고 있는 50대 직장인입니다. 혹시 메르스를 예방할 수 있는 백신은 없나요? 또 성인을 대상으로 한 감염병 예방접종이 있다고 하던데 어떤 백신들을 언제 맞아야 할까요? ―김규태 씨(회사원·경기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 안타깝게 ... ...
메르스 확진 판단, 오래 걸리는 이유
2015.06.02
2009년 신종플루 유행 당시 심증은 있지만 실제로 신종플루에 걸렸다고 확진을 받는 경우는 드물었다. 바이러스 감염 확진은 바이러스의 유전자가 환자의 체내에서 발견될 때에 한해 사용되는 용어다. 해당 바이러스의 항체가 핏속에 있는지 확인하는 혈청 검사에서는 바이러스가 존재한다고 확 ... ...
메르스 치사율, 한 자리 숫자일 듯
2015.06.01
코로나바이러스가 일으키는 질병에 대해 특별한 치료법이 없는 이유는 증세가 워낙 미미해 그동안 아무도 관심을 보이지 않았기 때문이다. - 재스퍼 챈, 홍콩대 미생물학자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SF 재난영화의 도입부로도 손색이 없을만한 경악할 일이 두 건이나 발생했다. 미국의 군연구소에 ... ...
미군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 실수로 오산기지에 보냈다. 규정에 따라 파기”
동아닷컴
l
2015.05.28
[동아닷컴] ‘탄저균’ 미군이 살아있는 탄저균을 다른 연구기관으로 보내는 사고를 일으켰다. 주한미군 기지로도 탄저균 표본이 보내진 것으로 파악됐다. 27일(현지시간) 스티브 워런 미국 국방부 대변인은 “유타 주 군 연구소에서 부주의로 살아있는 탄저균 표본이 캘리포니아와 메릴랜드 등 9 ... ...
생명 현상을 연구하는 생생한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5.04.07
우리나라가 생명과학 연구의 중심국가라는 사실을 알고 계신가요? 우리나라는 2015년 현재 세계적으로 상용화된 줄기세포 치료제 5종 중 4종이 국산일 정도로 생명과학 분야에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번 동아사이언스 이공계 진로찾기 프로젝트 4월 현장 취재는 모든 생명체의 생명현상을 ... ...
방선균에 대사공학 접목해 새로운 항생제 개발 시도
2014.12.28
iStockphoto 제공 병원균의 항생제 내성은 심각한 의료 문제가 됐다. 따라서 학계에서는 새로운 항생제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이 한창이다. 최근 이상엽 KAIST 생명화학공학과 특훈교수팀은 덴마크공대 노보 노르디스크센터 연구팀과 공동으로 방선균에 시스템 대사공학을 도입하는 방안을 ‘트렌 ... ...
에볼라, 감염 초기에 찾아낼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12.24
전자현미경으로 촬영한 에볼라 바이러스. - 미국 CDC 제공 에볼라 바이러스는 감염 초기에 증상이 없어 발견하기 힘들다. 10월 초 미국 텍사스의 한 병원에서는 에볼라에 걸린 환자를 알아보지 못하고 집으로 돌려보내는 실수를 저질렀을 정도다. 발견이 어려운 데는 이유가 있다. 우리 몸에 침투한 ... ...
노로바이러스가 장(腸)을 지킨다는데…
2014.11.23
노로바이러스는 바이러스 입자 몇 개만으로도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하지만 지속감염을 일으키는 종류의 쥐 노로바이러스가 쥐의 장내균형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확인됐다. - CDC 제공 우리 장(腸) 속에는 우리 몸의 세포 수보다 10배나 많은 미생물(장내 미생물)이 ... ...
미래에는 어떤 에너지를 사용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4.08.28
미세조류를 이용해 바이오석유를 생산할 수 있다. 이렇게 만들어진 바이오석유는 천연석유와 마찬가지로 자동차 연료는 물론 화학제품을 생산하는 데 사용 가능하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우리의 생활을 지탱하고 풍요롭게 해주는 에너지, 화학제품은 대부분 석유를 비롯한 화석연료를 이용해 생 ... ...
1976년 에볼라 역병은 어떻게 시작되었나
2014.08.04
어머니는 늘 저에게 ‘웅변은 은이고 침묵은 금’이라고 가르치셨죠. 하지만 전 차마 말로 할 수 없는 광경을 너무나 많이 보았습니다. - 페터 피오트, 에볼라 바이러스를 처음 관찰한 바이러스학자. 필자가 단골로 가는 카페에서는 주인장이 커피 마니아라서인지 매주 스페셜 커피를 내놓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