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소니
f 88
smu
삼성
소니 mp3
소니mp3
뉴스
"
바이오
"(으)로 총 4,849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2024] 'AI 생화학 무기' 나올까…화학상 수상 베이커 교수의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9
제조하기 전 DNA 합성 스크리닝을 개선하기 위한 새로운 전략 개발을 한다' 등 AI
바이오
연구로 인한 위험 가능성을 낮추기 위한 조항들이 포함돼 있다. AI를 기반으로 한 단백질 설계는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고 새로운 단백질을 디자인하는 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줄여 신약 개발 기간을 크게 ... ...
[사이언스게시판] 국립과천과학관, 가을학기 정규 과학교육과정 운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간 협력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서는 세계 시장 진출 전략과 원자력 및
바이오
, 로봇, 도심항공교통(UAM) 분야 최신 기술개발 및 기업 사례 발표가 진행된다 ... ...
고성능 잉크젯 프린트 헤드로
바이오
프린팅 생산성 높여
동아사이언스
l
2024.10.08
시도해 실제 이식 치료 및 독성 평가에 적용이 가능한 장기를 만들 수 있는 3차원
바이오
프린터를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센서와 액추에이터B:화학' 10월호에 게재됐다. - doi.org/10.1016/j.snb.2024.13619 ... ...
[노벨상 2024] 암·신경질환 열쇠 'miRNA' 발견 앰브로스·러브컨 생리의학상(종합)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진행에 마이크로RNA가 관여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이는 마이크로RNA 발현 패턴이 질병
바이오
마커로 활용돼 진단 및 치료 전략에 응용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송기원 연세대 생화학과 교수는 "마이크로RNA는 mRNA 발현이 안 되게 하거나 잘라서 없앨 수 있다"면서 "암세포를 발현하는 유전자를 ... ...
[의학
바이오
게시판] 연세대, 치매 유발 ‘타우 단백질’ 응집 기전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바이오
융합공학과 박사과정생(제1저자). 연세대 제공. ■ 연세대는 김영수 약학과 및
바이오
융합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알츠하이머병 주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진 타우 단백질 R3 반복 구역의 병인성 특성을 최초로 규명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타우 단백질의 R3 반복 영역이 자발적으로 응집해 ... ...
[과기원NOW] 포스텍, 소규모 대학 평가서 세계 2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산학협력성과에서 만점을 기록했다. ■ KAIST는 박지호
바이오
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유전자 폐치료에 최적화된 나노 전달체를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연구팀은 mRNA 전달에 활용되는 지질나노입자가 에어로졸화 과정에서 불안정해지고 폐 미세환경에서 전달 효율이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韓-글로벌 합성생물학 협력주간 개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07
등 해외 20여 개국 80여 명 등 세계 각국 석학 및 산업계 리더를 포함한 합성생물학 및
바이오
파운드리 분야 전문가 190여 명이 참석한다. ■ 국립중앙과학관은 10월과 11월 사이언스홀에서 ‘미래 신기술 특강’을 연다. 이번 강연은 도심항공교통, 자율주행 버스를 주제로 한다. 오는 9일에는 2025년 ... ...
바이오
기술 개발 6개국 공동연구에 한국 5개 팀 선정…5년 간 250억원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밝혔다. 유상임 과기정통부 유장관은 “기술의 복잡성이 증가함에 따라 첨단
바이오
분야의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글로벌 선도국과의 협력이 필수”라며“이번 글로벌 공동연구 프로그램에 선정된 연구자들이 해외 우수 연구자들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세계 최초, 최고 수준의 성과를 창출할 ... ...
오징어에서 영감 얻었다…신개념 방한의류 만들 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색을 바꾼다는 점에 착안해 열을 조절할 수 있는 천을 개발했다고 1일 국제학술지 ‘APL
바이오
엔지니어링’에 발표했다. 오징어 피부는 빛을 조절하고 색과 패턴을 변화시킬 수 있는 여러 층으로 구성돼 있다. 이 중 일부 층에는 ‘색소체’라는 소기관이 포함돼 있다. 색소체는 확장 및 수축이 ... ...
과학계 난제 '불균일 확산' 160년 만에 풀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4.10.02
현상의 물리적 원인을 160년 만에 규명했다. KAIST는 김용정 수리과학과 교수와 최명철
바이오
및뇌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불균일한 환경에서 일어나는 물질의 분류 현상을 설명하는 새로운 확산 법칙과 실험적 증명을 제시하는 연구결과를 8월 30일 국제학술지 '미국화학회지(Journal of the American Chemical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