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노트북"(으)로 총 4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창조경제 박람회 '속 빈 강정'?동아사이언스 l2013.12.15
- 이뤄진 시연회에서 박사과정 최종관 씨가 NIRSIT를 피실험자 머리에 씌우자 옆에 놓인 노트북 화면에 피실험자의 뇌 활성화 정도가 색깔로 나타났다. 최 씨는 “파란색의 범위가 넓게 나타나면 뉴런 활동에 필요한 산소량이 부족하다는 의미고, 빨간색의 범위가 넓으면 산소량이 많다는 의미”라고 ... ...
- 스마트폰 배터리 걱정없이 쓰고 싶어요?동아사이언스 l2013.10.30
- 2차 전지는 이미 우리 생활에 깊숙이 들어와 있다. 특히 최근 휴대폰, 태블릿 PC, 노트북 휴대용 전자기기 사용이 늘어나면서 활약상이 뛰어나다. 요즘은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도 들어가 있다. 문제는 2차전지의 용량. 스마트폰의 배터리가 반나절도 못돼 닳아버리는 것도 CPU 성능의 발달을 ... ...
- [노벨화학상 특집] 제3의 고체, 준결정의 발견과학동아 l2013.10.11
- 수 있는 것이다. 새로 설계한 준결정 강화 마그네슘 합금을 휴대전화나 MP3 플레이어, 노트북, PC 등 소형 전자제품의 외장재로 개발했다. 가벼우면서도 튼튼하기 때문에 안성맞춤이었다. 앞으로는 초경량 비행기와 자동차에 쓸 예정이다. 그 밖에 이 합금은 대전차 미사일, 우주왕복선 등 ... ...
- [스마트 넷 전쟁]일상생활 노리는 해킹동아일보 l2013.09.25
- 회원들의 누적 포인트, 최근 거래기록까지 나타났다. 그는 “POS 시스템에 접속한 내 노트북으로 회원들의 포인트를 조작하는 것은 물론이고 가격정보도 바꿔놓을 수 있다”고 말했다. 예컨대 한 잔에 5000원인 카페라테의 가격을 2000원으로 조작해 3000원의 이득을 챙길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 ...
- 스마트폰 아침에 충전했는데, 20%만 남았다고?동아사이언스 l2013.09.09
- 있다보니 내 스마트폰 배터리 수명이 얼마나 남은지 알 수도 없다. 스마트폰과 노트북, 전기자동차 등에는 충전으로 반영구적으로 쓸 수 있는 '2차 전지'가 필수적으로 들어가는데, 이 부품의 수명을 알려주는 알고리즘이 개발돼 주목받고 있다. 한국기술교육대 전기전자통신공학부 노대석 ... ...
- 2차 전지 성능 크게 개선한 과학자 인촌상 받다동아사이언스 l2013.09.02
-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전자부품이다. 충전과 방전을 반복하며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컴퓨터, 전기자동차 등에 전원을 공급한다. 외부에서 전류가 들어오면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산화·환원 반응이 일어나 전기가 만들어진다. 조 교수는 탄소나노튜브 촉매를 개발해 2차 전지의 효율을 높였다. ... ...
- 기후변화 얼마나 알고 있니?동아사이언스 l2013.09.01
- 사물에 숨은 과학지식(와쿠이 요시유키·와쿠이 사다미 共著, 어젠다 刊) 사람들은 노트북 컴퓨터로 일을 하고, 휴대전화에 들어 있는 MP3파일로 음악을 듣는다. 운전대를 잡고 자동차를 운전하고, 겨울철 야외에서 손이 시리면 일회용 손난로로 손끝을 녹인다. 우리가 자연스럽고도 당연하게 ... ...
- ‘황금주파수’ 경매 첫날 1조9460억까지 올라동아일보 l2013.08.20
- 이동통신 3사 관계자들이 속속 들어섰다. 방문을 열고 들어선 이들 앞에 인터넷이 끊긴 노트북 1대와 팩스 1대, 그리고 휴대전화 1대가 놓여 있었다. 테이블 위에선 탁상시계가 째깍째깍 소리를 내며 돌아가고 있었다. 2013년 이동통신업계의 최대 관심사인 ‘신규 주파수 경매’가 드디어 시작됐다. ... ...
- 서양의 대항해시대를 가져온 대포, 시계 덕분이라고?동아사이언스 l2013.08.11
- 쓰는 것들 다르게 한 번 보는 것은 어떨까. 어떻게 하다가 이런 것들이 발명됐을까하고. 노트북, 쇼핑 카트, 현금자동지급기, 횡단보도, 미끄럼틀, 종이컵, 신용카드, 운동화, 껌, 비누, 토스터와 통조림……. 우연일까, 천재적인 아이디어 덕분일까. 이 책은 사무실과 공적인 삶, 놀이와 여가, 살림과 ... ...
- 지문인식-후면터치 ‘베가 LTE-A’… 팬택, 보안성-편리성 승부수동아일보 l2013.08.07
- 통해 판매한다고 밝혔다. 베가 LTE-A는 뒷면에 달린 ‘시크릿 키’가 가장 큰 특징이다. 노트북의 터치패드처럼 시크릿 키에 손가락을 대고 움직이면 직접 화면을 터치하지 않고도 화면을 스크롤하거나 클릭할 수 있다. 특히 시크릿 키를 눌러 원 터치로 전화를 받고 볼륨도 조절할 수 있어 이용이 ... ...
이전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