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결
합동
연합
배합
접촉
접속
단결
뉴스
"
결합
"(으)로 총 3,925건 검색되었습니다.
77% 확률로 치매 예측…알츠하이머치매 바이오마커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7.23
보여주는 연결분포 지도를 활용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연구팀은 MRI와 아밀로이드 PET을
결합
한 앙상블 모델을 만들었다. 해당 모델을 이용해 추출한 고도화 백질 패턴만으로 연구팀은 인지장애 여부를 88% 이상, 치매 여부를 77% 이상 확률로 예측하는 데 성공했다. 백질 패턴의 개인 간 변동성은 ... ...
'꿈의 에너지' 핵융합 실현 가속화…민관 프로젝트 시동·산학연 혁신포럼 출범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프로젝트'가 추진된다. 민간의 우수한 엔지니어링 역량과 공공의 핵융합 기술 역량을
결합
하는 민-관 공동 개발체계 방식이다. 핵융합 실증로 건설 단계에서 반드시 필요한 디버터와 증식블랑켓 등 핵심기술을 개발하는 것이 주된 목표다. 민간의 연구성과가 핵융합로 소형화 기술로 연결될 수 ... ...
미토콘드리아로 퇴행성 질환 제어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연구팀은 분자 수준에서의 조절 메커니즘을 확인하기 위해 미토콘드리아 내에서 RNA와
결합
할 수 있는 단백질 발현을 유전자 가위로 억제하는 작업을 한 뒤 미토콘드리아 이중나선 RNA 발현량을 조사했다. 이를 통해 엔썬4(NSUN4)라는 단백질이 이중나선 RNA 발현량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했다 ... ...
초파리 360종 유전체 서열 규명...대규모 분류로 진화 단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7.22
서열화했다. 전통적인 ‘쇼트-리드 시퀀싱‘과 최신의 ’롱-리드 시퀀싱‘ 기술을
결합
한 하이브리드 시퀀싱 접근법으로 저비용 고품질로 유전체 서열화를 진행할 수 있었다. 선행 연구를 통해 확보된 초파리 유전체 염기서열 데이터와 이번에 새롭게 확인한 데이터를 합쳐 연구팀은 총 360종의 ... ...
[과기원NOW] GIST-국립재활원, '휠체어+유모차' 개발 컨설팅 지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국립재활원 보조기기실용화연구개발사업단과 함께 휠체어와 유모차가
결합
된 ‘휠아차’ 개발 컨설팅 지원에 나섰다고 21일 밝혔다. 휠아차는 지난 4월 20일 ‘장애인·노인 일상생활 어려움 스토리 공모존’에서 수상자로 선정된 박진경 씨의 제안이다. 박 씨는 장애를 겪고 있는 남편과 아직 잘 ... ...
[표지로 읽는 과학] 뒤집어 까자 촉매 효율이 증가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21
사용되고 있어 경제적이고 환경친화적인 촉매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금속과 산화물을
결합
한 금속-산화물 촉매의 경우 프로판과 반응하는 촉매 활성 부위로 금속을 쓴다. 대표적인 산화물인 산화티타늄 등은 반응성이 낮아 산업에 적용하기 어려운 것으로 알려졌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 ...
국가마다 다른 규제… 대마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24.07.20
억제해 세포 내에 아난다마이드가 더 오래 머물도록 한다. 아난다마이드가 CB1, CB2와
결합
해 작용하는 과정을 더 오래지속해 통증을 완화하거나 염증을 완화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 고순도 CBD…소아 뇌전증 치료제로 주목받다 쾌감이나 중독성과는 무관한 CBD는 항암이나 항발작, 항불안 치료에 ... ...
1시간 동안 날았다...태양광으로 비행하는 초소형 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4.07.19
태양광 발전 장치를 도입해 지구력을 확보했다. 고전압 전력 변환기와 태양전지를
결합
해 비행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얻는 전략이다. 먼저 태양전지가 전력 손실이 적은 직류 전력을 생산하면 고전압 전력 변환기가 전력의 손실을 줄이는 높은 전압을 가한다. 이렇게 생성된 직류 전력은 작은 모터로 ... ...
"프로포폴, 뇌 흥분시켜 정신 잃게 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뇌의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이자 뇌 인지 기능의 핵심물질인 가바(GABA) 수용체에
결합
해 이 수용체가 있는 신경세포(뉴런)을 억제하는 약물이다. 그동안 프로포폴이 뉴런을 억제한 다음 단계에서 무의식을 유발하는 메커니즘은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에서 프로포폴을 비롯한 ... ...
머스크의 '뉴럴링크' 부작용 해결할 생체 전극
동아사이언스
l
2024.07.16
고분자와 투명한 기판이 맞닿은 계면에 레이저 에너지를 집중시켜 두 소재 사이에 강한
결합
을 만들었다. 전도성 고분자는 전류가 흐를 수 있는 고분자다. 레이저를 조사하자 전도성 고분자 내에서 물질 분리가 일어나며 부드러운 하이드로젤로 변했다. 해상도가 높은 레이저를 통해 기판 위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