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몬스터를 잡아라!] 지워서 없애버리자~
0
·뺄셈 몬스터의 변신!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
[기획] 새로운 문제의 등장! 타르스키 문제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가위로 자를 수 있는 조각’으로는 이 문제를 풀 수 없다는 것을 보였어요. 199
0
년에는 헝가리 수학자 러츠코비치 미클로시가 원을 가위로 자를 수 없는 조각, 즉 점의 집합으로 쪼개면 이 조각들로 정사각형을 채울 수 있음을 보였어요. 이로써 타르스키 문제는 해결됐어요. 하지만 이 연구를 ... ...
[2
0
22 필즈상 예측] 함수의 뿌리를 탐구한 알렉산드르 로구노프 교수, 베일에 싸인 미분기하학 고수 쑨쏭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면적을 예측한 ‘야우 추측’ 중 하나를 증명한 거예요. 여기서 마디 집합은 함숫값이
0
이 되는 원소들의 모임이에요. 함수를 연구할 때 다양한 함수들을 성질에 따라 분류하는 게 중요해요. 그러기 위해서는 ‘고유함수’를 잘 알아야 하는데요. 고유함수의 성질은 마디 집합을 관찰하면 알 수 ... ...
[수학으로 발사! 누리호] 지구를 떠나자! 한국형 발사체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의 2차 발사일이 6월 15일로 결정됐어요. 날씨 변화 등에 대비해 설정하는 발사 예비일은 6월 16일부터 23일 사이에요. 2차 발사 때 ... 크면 운동에너지가 위치에너지보다 더 커서 지구를 탈출할 수 있어요. 따라서 역학적 에너지가
0
일 때의 속도가 탈출 속도가 된답니다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좋아해요. Q 꾸준히 폴리매스에서 활발하게 활동하게 된 계기가 궁금해요. 2
0
2
0
년 6월호에서 폴리매스를 소개하는 기사를 보고 재밌을 것 같아 가입했어요.폴리매스에는 심화 문제집에 나올 법한 문제와 논리력과 사고력을 요구하는 문제도 많고,제가 좋아하는 퍼즐과 인공지능 관련 ... ...
내 최애는 개념돌이야! 수학 개념 + 아이돌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04호
빌보드 2
00
은 미국의 음악 잡지 빌보드에서 앨범의 재생 수와 판매량을 바탕으로 매주 2
00
위까지 매기는 인기 순위야. 그런데…, NCT랑 NCT 127이 다른 거냐고? 좋은 질문이야. 그게 바로 NCT가 ‘개념돌’인 이유거든.NCT는 ‘무한’의 아이돌이야. 기본 콘셉트가 ‘무한 개방’과 ‘무한 확장’이거든. ... ...
[특집] 콘텐츠 인기 순위, 수학으로 예측!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종속변수 y, 관객 수를 만드는 다양한 요인들을 독립변수 xi로 나타낸 신경망 함수 y = b
0
+ b1x1 + b2 x2 + bnxn으로 AI 모형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볼게요. 한편 일각에서는 수학으로 흥행을 예측하는 시도에 우려를 표해요. 기존 데이터만 활용하면 미래의 문화적 환경이나 관객 취향 변화 등은 고려할 수 ... ...
[드론으로 본 제주] 자연이 빚어낸 절경 ③ 동부
과학동아
l
2022년 04호
수차례 간 끝에 얻은 것들이다. 우도 촬영의 경우 사람들이 없는 시간에 가기 위해 7시 3
0
분 첫 배를 탔다. 신호 교신이 끊기면 안 되니 늘 시야 안에 드론을 두는 것도 중요하다 ... ...
[스티브쌤코딩-마인크래프트] 파쿠르 게임 2탄 복불복 요소를 넣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4호
12 ‘코드시작’ 버튼을 누르고 Alt+Tab을 눌러 마인크래프트로 돌아가 채팅명령어 ‘
0
’을 실행하세요. ‘복불복’의 변숫값이 1부터 3까지의 수 중에서 무작위로 정해져요. 흰색과 달리 다른 색깔 콘크리트 블록들은 어떤 효과가 부여될지 모르기 때문에 조심해서 이동해야 해요. 각 블록의 ... ...
[폴리매스 수학자를 만나다] "수학으로 인공지능을 연착률시킬래요!" 현윤석 인하대 교수
수학동아
l
2022년 04호
작은 명제를 확장시켜 문제를 만드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면 ‘제곱수를 4로 나누면
0
과 1밖에 안 나온다’는 명제가 있어요. 여기에서 시작해 ‘제곱수 2개의 합이 과연 1
0
2가 될 수 있을까?’ 같은 문제를 생각해 낼 수 있지요. 아예 다양한 연구 자료를 조사해서 새로운 문제를 만들 때도 있어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