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필즈상 인터뷰 ➍] 위고 뒤미닐-코팽 교수 “확률은 복잡한 우리 세계를 이해하는 도구예요”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있다는 거예요. “실수는 새로운 아이디어로 이어지는 창조의 과정”이라며, “실제로 수
학자
들은 수많은 실수를 한다”고 밝혔어요. 수학 교육에서 실수할 수 있는 여유를 준다면 더 많은 학생이 수학에 관심을 가질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필즈상을 탄 이후에도 저는 계속 많은 논문을 쓸 ... ...
[천상] 수
학자
들의 존경받는 스승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천상은 평생 동안 순수수학 분야에서 최고의 업적을 남긴 수
학자
에게 주는 공로상입니다. 2022 천상의 주인공인 배리 메이저 미국 하버드대학교 교수는 60년 넘 ... 열정은 메이저 교수의 나이를 잊게 했습니다.앞으로도 활발히 연구를 이어가며 많은 수
학자
의 멘토가 되어주시길 바랍니다 ... ...
[킹앤포] 이론물리학과 현대수학의 만남 에드워드 위튼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물리학과 고체물리학 전반의 토대를 이루는 탁월한 연구를 통해 수학에도 큰 영향을 준
학자
예요. 현재 저는 물리학을 전공하고 연구하며 위튼 교수가 ‘쉬운 방법’을 통해 어려운 결론을 ‘당연해지도록’ 이끌어 내는 것에 놀라곤 해요. 여러분도 위튼 교수의 연구를 통해 수학과 물리학이 ... ...
[특별기획] 시인을 꿈꾸던 고등학생 수학의 난제를 해결하다
과학동아
l
2022년 08호
: 매트로이드에서 유추되는 다항식 계수도 로그-오목 성질을 가진다. 1971년 미국의 수
학자
잔카를로 로타가 리드 추측을 일반화해 제시한 문제다. 허준이 교수는 대수기하학의 ‘호지 이론’을 통해 로타 추측을 증명했다. ※오목로그란.로그-오목은 계수에 로그를 씌웠을 때 오른쪽 그림과 같이 ... ...
[특집] 위성과 드론, 시민들까지 출동! 식물계절 연구방법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이후 기후변화와 식물계절의 관계가 연구되기 시작했습니다. 1853년 벨기에 식물
학자
찰스 모렌은 논문을 통해 겨울철 이상고온으로 꽃이 두 번 피는 현상을 발표했는데, 이때 ‘식물계절’이라는 단어가 처음 쓰였어요. 1900년대부터 평균 기온 상승이 봄철 식물 활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가 ... ...
[기획] ‘가라앉지 않는 배’ 타이타닉 어쩌다 가라앉았나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탑승 인원의 절반에도 못 미치는 700명 정도만 탈출할 수 있었습니다.2020년 미국의 천문
학자
밀라 진코바는 타이타닉호 출항 당시 발생한 지자기폭풍●을 빙산 충돌 원인으로 지목하기도 했습니다. 타이타닉호 항해 도중 발생했던 강력했던 지자기폭풍의 영향으로 내부에 설치된 나침반이 제대로 ... ...
[파고 캐고 지질
학자
] 우리나라 최고의 화석 지층, 제주도 서귀포층!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8호
결과에 의하면 지금까지 지구 역사상 5번의 대량멸종 사태가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지질
학자
들은 어쩌면 지금이 6번째 대량멸종 시기일지도 모른다고 우려합니다. 인류가 환경을 파괴하면서 수많은 생물을 멸종의 위기로 몰아넣고 있기 때문이죠. 지층에 플라스틱 쓰레기가 잔뜩 쌓인 새로운 지질 ... ...
[필즈상 시상식 취재기] 허준이 교수, 필즈상 수상! 그 뜨거운 현장 속으로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들어오기 시작했어요. 30분 남았을 땐, ‘지각’이란 단어를 모르는 듯 200여 명의 수
학자
가 벌써 자리를 꽉 채우고 앉아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무대 뒤에서 시상식은 카를로스 케니그 국제수학연맹(IMU) 회장과 사울리 니니스퇴 핀란드 대통령의 개회사로 시작됐습니다. 기자들은 요리조리 좌석을 ... ...
[과
학자
가 해설하는 아바쿠스상] 컴퓨터의 연산 불가능 연구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컴퓨터과학 분야의 대표적 난제입니다. 이 문제가 어려운 이유는 컴퓨터과
학자
와 수
학자
마다 컴퓨터에게 실수를 계산하게 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에요. 그런데 브레이버먼 교수님은 대학원 시절 컴퓨터과학 분야에서 많이 응용되는 실수 연산 모형 두 개가 일치한다는 것을 증명했습니다. ... ...
[릴라바티상] 3D 수학 애니메이션으로 수학의 대중화를 선도하다!
수학동아
l
2022년 08호
r로 같은 원기둥과 반지름이 r인 구의 부피 비는 3 : 2라는 사실을 밝혔습니다. 후대
학자
들은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기둥과 밑면의 반지름과 높이가 r인 원뿔의 부피 비는 3 : 1임을 발견했지요. 이 사실을 이용해 양팔 저울 실험을 해 봅시다. 우선 저울의 한 쪽 팔에 높이와 반지름이 r인 원기둥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