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필자"(으)로 총 1,57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기묘한’ 2차원 세계를 설명한 개척자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논문은 그 이후 피인용 횟수가 폭발적으로 증가해 작년에만 400회 가까이 인용됐다. 필자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된 날 저녁, 지도교수 사울레스 교수와 맥주집에서 찍은 사진. 대학원생 시절, 외부에서 방문한 교수가 사울레스 교수와 연구실에서 토론하는 모습을 본 적이 있다. 두 사람은 칠판에 ... ...
- [Editor’s Note] 화성 몽상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번 나올 것이다. 그래도 이해가 가지 않는다면 11월 12일 열릴 ‘노벨상 카페’(38쪽)에서 필자들을 직접 만나보시라.이영혜 기자는 두 주 동안 유럽을 누비며 드론을 연구하고 개발하는 최전선을 취재했다. 이번 호와 다음 호 두 호에 걸쳐서 놀랍고 생생한 세계를 보여줄 예정이다. 지난 달 ... ...
- Part 2. 가장 작은 기계를 합성하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분자기계 연구의 현황과 문제점,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논의가 이뤄졌다. 필자도 초청돼 간단히 우리의 연구를 소개하고 토론에 참여했다.솔베이 콘퍼런스에서 나눴던 이야기 중 꼭 기억해야 할 것이 있다. 분자기계가 처음부터 응용을 떠올리고 시작한 연구는 아니었다는 점이다. 분자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유전자가 어떻게 정착할 수 있을지 가늠하기 어렵다(할데인, 1955년, 40쪽, 강조는 모두 필자).왜 이리 ‘작은 개체군’이 자주 나온담? 할데인이 이 글을 쓴 목적은 이타적 행동이 어떻게 자연 선택됐었는지 밝히는 일반 이론을 제안하기 위함이 결코 아니었다. 할데인은 그저 작은 개체군이 이타성의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별 반향도 일으키지 못한다. 최신 유행은 정치판 바깥의 인사와 대담집을 펴내거나, 전문 필자가 자신을 인터뷰하게 만드는 것이었다.말하자면 『안철수의 생각』 같은 책이다. 이 책은 세명대 저널리즘스쿨대학원의 제정임 교수가 던지는 질문에 안철수 씨가 답하는 구성이다. 책이 나올 당시에는 ... ...
- [Photo] 자연이라는 화가가 남긴 푸른색 팔레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짙은 남색 망토에 깨알처럼 찍혀 있는 공작석 반점이 지금까지도 생생하게 남아있다. 필자도 바티칸의 성 베드로 성당에 소장된 라파엘로의 ‘아테네 학당’을 살펴볼 기회가 있었는데, 남동석 안료의 색이 보존돼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광물은 딱딱한 무기물이지만, 예술품의 작품성에도 큰 ... ...
- [Knowledge] 치아와 쇄골은 ‘뼈의 신분증’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파괴돼 있었다. 신원확인에 어려움을 겪고 있던 상황에서 쇄골의 가치는 더욱 빛났다.필자가 아는 한 흉부 엑스선 검사와 DNA 검사를 모두 한 경우, 두 검사 결과가 불일치한 경우는 한 번도 없었다. 현재 DPAA 감식소에서는 흉부 엑스선 검사의 정확성을 인정해 이를 DNA 검사, 치아 엑스선을 이용한 ... ...
- [News & Issue] 전 우주에 고한다 외계문명 응답하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빨리 진화했다는 뜻이 된다.지구는 특별하다, 우주는 훨씬 더 특별하다서두에 말했듯, 필자는 처음에 지구의 특별함에 관해 이야기하는 다큐멘터리를 보고 우주 연구에 대한 꿈을 키웠다. 물론 지구는 매우 특별한 행성이지만, 우주는 그 특별함을 아무것도 아닌 것으로 만들어 버릴 정도로 ... ...
- [Tech & Fun] 무한한 손짓을 흉내 내기 위하여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어지럽게 들어차 있는 작은 기계 부품들이었다. 이 장면에 어찌나 큰 충격을 받았는지, 필자는 당시 일기장에 멋졌던 광선검 전투장면이나 우주선 이야기가 아니라, 이 팔 이야기를 가득 썼다. Human Hand 인간의 손은 일상에서 매우 다양한 행위를 한다. 손은 29개의 뼈와 29개의 관절, 34개의 근육, 12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포논도 잘 알아야 한다.이런 연구를 응용하면 새로운 소재를 개발할 수도 있다. 예컨대, 필자는 앞서 소개한 파이얼스 왜곡 원리를 이용해 고체 안의 전자와 포논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를 통해 전기는 잘 통하면서 열은 흐르지 않는 새로운 물질을 개발했다(Nature 459(7249)965~968,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