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굴대
중심축
회전축
핀
머리핀
못
장식핀
d라이브러리
"
축
"(으)로 총 981건 검색되었습니다.
움직임의 지혜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축
구공의 속도와 각도에 따른 움직임을 방정식으로 계산해 최적의 각도를 발표했다.
축
구공은 두 손으로 잡고 머리 뒤에서 던지기 때문에 30°로 빠르게 던질 때 가장 멀리 날아간다는 것이다. 이때 공에 역회전을 걸어 주면 몇 m 더 나갈 수 있다 ... ...
안정한 움직임
수학동아
l
2010년 06호
도 마찬가지다. 좌우대칭뿐 아니라 상하대칭도 있다. 이미. 피디, 이이피 등은 가운데
축
을 기준으로 위아래가 대칭을 이룬다. 이처럼 직선을 기준으로 양쪽이 완전히 겹치는 것을 선대칭이라고 한다. 봄이면 한 해의 행운을 기리며 대문에 써 붙이는 문장 '立春大吉(입춘대길)'은 네 글자 모두가 ... ...
1400년 전 신라의 밤하늘을 찾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그리면서 약 2만 6000년마다한 바퀴를 돈다. 이것을 세차운동이라고 부른다. 즉 자전
축
의 느린 회전 때문에, 지구에서 관측할 때 하늘의 별들은 1년에 50″(1″는 3600분의 1°) 정도씩 황도(천구 상에서 태양이 움직이는 길)를 따라 동쪽으로 움직인다. 그리고 이 세차운동 때문에 오늘날 춘분 저녁에 보는 ... ...
거울 나라의 앨리스
수학동아
l
2010년 05호
보세요. 여러분은 x
축
위에 있습니다. 이 때 거울에 비치는 여러분의 모습은 똑같이 x
축
위에 있으면서 거울면의 반대쪽에 있습니다.이제 이해가 가나요? 거울에 비친 물체의 모습은 원래 물체와 좌우 대칭이 아니라 거울면에 대해 대칭인 겁니다. 그래서 좌우가 바뀌었다는 표현보다는 앞뒤가 ... ...
실내에서 즐기는 포뮬러원(F1) 드래그레이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알파트랙 750만 원보급형 다운힐레이스 300만 원자동차 제작용 오동나무(오동나무와 바퀴,
축
포함) 1만 원올해 10월 전남 영암에서 자동차 경주 레이스 ‘포뮬러원(F1) 코리아 그랑프리’가 열린다. F1 레이스의 박진감 넘치는 스피드를 맛볼 수 있는 드래그레이스(단거리 직선 자동차 경주) 키트가 ... ...
뇌신경 연결지도 커넥톰 나온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신경세포를 촬영하는 방법을 개발 중이다. 그는 컴퓨터 비전 기술로 대뇌의 연결선인
축
색 조직을 추적하는 연구를 한다. 하지만 데이터만 얻는다고 해서 능사는 아니다. 결국 알고 싶은 것은 데이터 자체가 아니라 연결망 하나하나를 찾아내는 것이다.MRI로 신경세포 간 정보 흐름 본다 “안개 낀 날 ... ...
김연아 선수와 함께하는 2010친환경 동계올림픽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잘게 쪼개 이어 붙여 경기장 천장을 만들었다. 이렇게 나무를 재활용한 덕분에 건
축
비를 30% 이상 줄였다. 슬로프가 구불구불한 이유는?오래된 나무는 되도록 베어 내지 않으면서 습지를 피해 만들어 구불구불한 슬로프가 됐다. 나무가 땅의 열을 흡수해 슬로프의 눈이 잘 녹지 않는 효과를 얻었고, ... ...
무엇이든 바꿔 주는 함수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그래프가 함수인지를 알아보는 이 방법을 영어로 vertical line test라고 한다. 그래프에 x
축
과 평행한 직선을 그었을 때 직선과 점이 한 곳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일대일함수다. 만약 두 점 이상에서 만나면 이 함수는 x에 대해 같은 값을 갖는 원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일대일함수가 아니다. 일대일 ... ...
전자의 또 다른 얼굴 ‘스핀’으로 정보 쌓는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회전’이 아니라고 설명했다. 스핀이라는 이름은 고전역학에서 전자나 원자핵이
축
을 기준으로 자전한다고 가정한 데서 유래했다. 하지만 현대에 오면서 이런 기본 입자들이 양자역학적으로 여러 상태가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김 교수는 “스핀은 ‘업(up)’과 ‘다운(down)’ 두 가지 ... ...
빅뱅 직후 우주에는 쿼크가 흘렀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에 따르면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물체는 진행 방향으로 길이 수
축
이 일어난다. 따라서 입자의 부피가 줄어 밀도(단위부피당 핵자의 개수)가 늘어난다.정면으로 마주보며 매우 빠르게 움직이는, 밀도가 높은 두 중이온이 충돌하면 온도가 엄청나게 높아진다. 상대론적 중이온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