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테마
제목
화제
과제
테에마
이야깃거리
논제
d라이브러리
"
주제
"(으)로 총 2,50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동아천문대와 함께하는 이달의 우주 날씨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03호
어떤 위험이 될지 모르기 때문이에요.” 2021년 두 번째 별빛미션
주제
는 ‘우주 쓰레기를 어떻게 할까요?’입니다. 우주 개발은 앞으로 더 활발해질 거예요. 그만큼 우주 공간을 떠도는 인공 물체들이 점점 늘어나겠죠. 그런데 이 인공 물체들의 수명이 다 되면 어떻게 될까요 ... ...
태양계 옆집엔 이웃이 살까요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곳이라면 다른 어디보다 살기 좋은 확실한 매물 아니겠어요? 태양계의 외계생명체라는
주제
로 책을 엮는다면 가장 긴 파트를 차지할 부분은 화성에 대한 부분일 것입니다.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까지는 화성에 운하가 있다는 소문이 퍼지기도 했죠. 1877년 망원경으로 화성을 관찰한 이탈리아 ... ...
에디터토크 2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황새 이야기해….소연: 다 했는데.편: 소연: 따따따따따(=황새 울음소리). 2.편: 진중한
주제
로 특집을 한 서동준 기자와 발랄한 기획을 한 이영혜, 박영경, 이영애 기자를 모셨다. 기획의도는?서동준 기자: 인공지능(AI) 이루다 사태로 촉발된 AI의 편향성과 공정성 논쟁을 윤리·기술·법 측면에서 ... ...
승리호, 과학으로 탑승할 준비됐나?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구현하는 것이다. 1961년 미국의 천문학자 칼 세이건은 테라포밍을 진지한 연구
주제
로 삼았다.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한 논문에서 금성 대기에 광합성을 하는 조류를 뿌려 이산화탄소를 산소로 바꿀 수 있다고 주장했다. doi: 10.1126/science.133.3456.849이어 1973년 그는 화성의 환경을 바꾸는 ... ...
폴리매스 정보통! 모두가 푹 빠진 폴리매스미궁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문제’에서 문제 내는 것을 좋아해서 스토리를 더한 미궁을 만들어보고 싶었어요. 문득
주제
를 흑백으로 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고, 세상이 흑백이라는 것에 설득력을 더하기 위해 색맹에 관한 스토리를 만들었죠. 문제를 만들 때는 참신하면서도 흰색과 검은색을 이용해 풀 수 있는 문제가 어떤 ... ...
[이달의 책] ‘남성 전용’ 우주에 맞선 위대한 패배자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기자인 저자는 아기 코끼리를 만나게 됐다. 이후 전쟁, 집단 학살 등 인간 사회의 암울한
주제
를 다루는 불행을 상쇄하고 균형을 이루고자 시간이 날 때마다 독특한 동물들을 취재하기 시작했다.그는 이런 자신의 끈질긴 집착은 어렸을 때부터 시작됐다고 말한다. 사자랑 호랑이가 싸우면 누가 ... ...
[수학 고민 상담소 수담수담] 우리가 사는 사회 수학으로 풀어봅시다!
수학동아
l
2021년 02호
관심도 많아서 ‘친구 연결망의 크기가 중학생의 친구관계의 질에 미치는 영향’ 등을
주제
로 연구했습니다. ‘가짜뉴스’ 잡고 ‘팩트체크’까지 돕는 수학무수한 정보 속에서 우리는 때때로 알고 있던 기존 정보가 잘못됐다는 것을 깨닫고 생각을 바로잡는 경험을 합니다. 최근 강 교수님은 ... ...
‘복·붙’ 즐기다 복구 못할 나락으로 '연구부정행위'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시대가 되며 논문의 모양새도 바뀌었다. 엄 교수는 “1980~1990년대 논문들은 서론에서 연구
주제
의 전반적인 내용을 다루는 만큼 서로 겹치는 내용도 많다”며 “이 당시 논문의 표절 여부를 심사할 때는 서론보다는 결과를 위주로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같은 내용을 쓰더라도 학술지의 성격에 ... ...
[과동 키즈]잘 살고 있지? 지켜 줄 연구는 내가 할게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살아가고 있는지 사전지식이 전혀 없었다. 장비를 살 연구비도 없었다. 그래서 연구
주제
를 제주 남방큰돌고래가 서식지를 어떻게 이용하는지와 행동 패턴이 무엇인지를 밝히는 것으로 결정했다. 110마리가 넘는 것으로 알려진 한국의 남방큰돌고래는 제주도 주변 바다를 서식지로 삼는다. 그러나 ... ...
[KAIST 50년] KAIST 탐구보고서, 괴짜라고 불린 최초의 시도들
과학동아
l
2021년 02호
한쪽에서 연구
주제
를 제안하기 쉽지 않다”라고 말했다. 이 교수는 “새로운 분야는
주제
선정부터, 연구 전개, 결과를 내기까지 많은 리스크를 감당해야 하는데 KAIST만의 도전적인 분위기 덕에 미개척지를 탐험할 수 있게 됐다”며 “앞으로도 한국에는 정착하지 않은 분야를 시도하는 분위기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