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존"(으)로 총 1,283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산소 농도에 반응해 몸집을 키우는 정도도 곤충 종에 따라 다르다. 미국 애리조나주립대 존 반덴브룩스 교수팀이 바퀴벌레, 잠자리, 메뚜기, 딱정벌레 등 다양한 곤충을 각각 산소 포화도가 다른 환경에서 키우는 실험을 한 결과, 높은 산소 농도에서 잠자리는 가장 빠른 속도로 큰 개체로 자란 반면, ... ...
- [Knowledge] 누가 이타성 문제를 처음 해결했는가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봤듯이,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반드시 개체군내에 ‘희소하게’ 존재해야만 그 유전자가 선택되는 것은 아니다. 이타적 행동을 만드는 유전자가 드물든지 흔하든지 간에, 해밀턴의 규칙만 충족된다면 그 유전자의 빈도는 증가한다. 실제로 해밀턴은 1964년 논문에서 할데인의 이 글을 ... ...
- [Tech & Fun] 과학은 네트워크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증기기관에 필요한 정밀한 실린더를 만들 공작기계가 없었다. 훗날 제임스 와트는 존 윌킨슨이라는 엔지니어가 발명한 보링머신 덕을 봤다. 영국의 제철 기술이 발전하면서 가능해진 기술이었다.과학을 거대한 네트워크로 치환하면 많은 것이 달라 보인다. 아니, 많은 것이 이상해 보인다. ... ...
- [새 책] "당신들도 그곳에서 행복하길 바랍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구의 속삭임’은 보이저 발사 1년 뒤 앤 드루얀, 칼 세이건, 프랭크 도널드 드레이크, 존 롬버그, 린다 살츠먼 세이건, 티머시 테리스가 골든 레코드 제작 과정을 쓴 에세이를 엮은 책이다.놀랍게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이 프로젝트에 별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심지어 “사용 허가를 다 받고 ... ...
- PART 1. 의식과 무의식이 빚은 1만 개의 언어, 표정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보고 거짓말인지 아닌지 구별할 수 있다. 스위스 제네바대 정신건강의학과 마티유 아르민존 박사팀이 지난해 학술지 ‘플로스원’에 밝힌 연구 결과에 따르면, 사람은 0.1~0.31초 밖에 되지 않는 찰나에도 다른 사람의 표정을 읽고 감정을 파악할 수 있다.하지만 주의할 점이 있다. 표정을 100% 정확하게 ... ...
- [News & Issue] 홍채 고유한 내 안의 우주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한두 살 때 만들어져서 평생 일정하게 유지된다. 물 만난 홍채인식 기술영국 캠브리지대 존 더그먼 교수는 2001년, 사진에 찍힌 홍채만으로 중년이 된 아프간 소녀를 찾아냈다. 홍채인식 기술이 그만큼 역사가 깊다는 뜻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널리 적용되지 못한 데는 크기와 비용 문제가 있었다 ... ...
- [Knowledge] 혈연이 아닌데 ‘혈연 선택’이라고?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아니라 혈연 선택으로 잘 설명된다고 주장했다.자기 자신이 아니라 다른 이웃의 생존을 돕는 형질을 진화시킬 수 있는 과정은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나는 이들을 각각 혈연 선택과 집단 선택이라고 부르겠다. 혈연 선택은 할데인(1955)과 해밀턴(1963)에 의해 논의되었다…. 자식 돌보기의 진화는 ... ...
- A 블록, 올록볼록 진화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건 아니랍니다.블록 장난감이 처음으로 기록된 건 1600년대예요. 1693년, 영국의 철학자 존 로크의 책에 ‘알파벳이 적힌 놀이도구’란 말이 등장하거든요. 이 놀이도구는 육면체 나무블록으로, 알파벳을 익히기위한 교육 도구였죠. 그 뒤에도 나무 블록은 장난감이나, 교육 도구로 많이 쓰였어요. ... ...
- [Knowledge] 거미줄이 강한 비결, ‘포논’과학동아 l2016년 09호
- 고전역학으로는 이를 설명할 수 없다.1957년 미국의 물리학자 존 바딘과 리언 쿠퍼, 존 로버트 슈리퍼는 초전도의 근본 원리를 양자장론으로 해석한 이론을 발표했다(이름의 첫 글자를 따서 BCS이론이라고 한다). 이에 따르면, 초전도는 전자 두 개가 포논을 매개로 짝을 이루기 때문에 일어나는 ... ...
- [News & Issue] 얼굴 전체로 맛을 느낀다?과학동아 l2016년 09호
- 먹으면서도 그때마다 맛을 다르게 느낀다는 실험결과가 있다. ‘미각의 지배’를쓴 존 앨런은, 오랫동안 포유류의 먹이가 곤충이었고 곤충을 먹을 때 바삭거리는 소리가 나기 때문에 이를 좋아하게 됐다고 해석했다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