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직
시스템
기구
관례
체계
조직망
규칙
d라이브러리
"
제도
"(으)로 총 1,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도시의 밑그림을 그리는 사람들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위한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종합 관리가 되면 지역마다 작은 시설을 설치하는 등
제도
적으로 빗물을 이용하기 쉬워질 겁니다. 빗물 활용 기술은 특히 개발도상국에서 큰 힘이 됩니다. 가장 사랑받는 적정기술 중 하나죠. 저는 8년 정도 학생들과 함께 베트남을 찾아가 빗물관리 봉사활동을 했습니다. ... ...
700년 만에 깨어난 씨앗의 꿈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6호
큰 에어컨이 온도를 유지시켜 주고 있대. 저장고는 북위 78° 북극권에 있는 스발바르
제도
에 있는데 여름에도 평균기온이 6℃일 만큼 추운 곳이라 위급한 상황으로 전기가 끊겨도 자연냉동이 가능하대. 또 해발 130m에 있는 영구 동토층에 있는 단단한 바위산의 120m 아래에 지어져 있기 때문에 ... ...
35.9% 지지율로 서울시장?
과학동아
l
2014년 05호
주장은 틀렸다”며 “수학적으로 완벽한 선거
제도
를 찾기보다 상황에 따라 어떤 선거
제도
를 이용할지 고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민주주의의 꽃이라 불리는 선거. 그 어떤 선거 방법도 공정성 기준에 합격하지 못한다는 점이 다소 실망스럽다. 이처럼 선거 방법이 원천적으로 완벽하지 못하다는 ... ...
북극에 피는 꽃은 어떤 향기가 날까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북극다산기지가 있는 노르웨이 스발바르
제도
에 가면 ‘북극이끼장구채’라는 분홍색 작은 꽃들이 한자리에 모여 피어 있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영구동토 지역의 알록달록 예쁜 꽃들을 담은 사진전이 서울에서 열린다.극지연구소는 4월 15일부터 20일까지 6일 동안 서울시 종로구 ... ...
사물인터넷 사이보그 세상 연다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상호작용하는 이종네트워크에서는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더욱 근센서본적인 문
제도
제기된다. 정보와 상호작용만을 기준으로 삼으면 인간과 사물의 경계가 불분명해지기 때문이다. 영화 ‘코드명J’에서 주인공 키아누 리브스의 직업은 대용량의 데이터를 뇌에 저장해 다른 사람에게 전달해 ... ...
첨단과학무기의 산실! 국방과학연구소
수학동아
l
2014년 04호
예능 프로그램 ‘진짜 사나이’에는 매주 신기하고 놀라운 무기들이 등장한다. 과연 이 무기들은 어디서 개발하고 있으며, 또 어떤 원리가 들어가 있는 것일까? 이번 달에는 두 ... 이상자 중 군미필자에 대한 병역특례 혜택으로, 연구소에서 3년 근무한 것을 병역으로 대체하는
제도
다 ... ...
장거리 출퇴근, 병드는 현대인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특히 마음이 우울해지지 않도록 긍정적인 사고를 갖고 극복해가는 자세가 중요하다.
제도
적인 개선도 필요하다. 출퇴근자가 많은 위성도시는 직행열차, 전용도로 등을 통해 왕복시간을 줄일 수 있도록 도시 설계를 해야한다. 또 향후 신도시 등을 설계할 때 출퇴근자의 복지를 처음부터 염두에 둬야 ... ...
[Knowledge] 히틀러는 왜 계속 태어나는가?
과학동아
l
2014년 04호
뇌도, 겉보기에는 우리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다. 결국 합리성을 기반으로 한 각종 사회
제도
와 광적인 리더의 출현을 막을 수 있는 여론의 비판 기능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방법일 뿐이다 ... ...
후궁이 700명인데…, 사람이 ‘1부1처’라고?
과학동아
l
2014년 03호
바뀌고 있는 실정이라고 덧붙였다.인간은 어떨까. 현재 주변을 둘러보면 결혼
제도
로 대표되는 1부1처가 흔한 것 같다. 하지만 지금 이 순간에도 한 명의 남성이 여러 명의 아내를 두도록 허용하는 일부 부족이나 국가가 분명 존재하고(1부다처), 반대로 여성이 남성을 선택하는 모계사회도 존재한다. ... ...
프랑스의 실패한 달력 혁명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그레고리력의 환산표를 보면서 날짜를 일일이 해석하는 고생을 해야 했다.이처럼 특정
제도
가 불합리한 면이 있더라도 널리 퍼져 있어 바꾸기 어려운 현상을 ‘선점(qwerty)효과’라고 한다. 타자기가 만들어질 당시 자판의 왼쪽 윗단은 ‘qwerty’ 순서로 배열했다. 이는 우리 몸과 잘 안 맞았지만,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