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래
앞날
관망
경관
앞길
전망
차후
d라이브러리
"
장래
"(으)로 총 49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제수학올림피아드출전팀 수학공부의 요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무슨 학문을 해야할지는 아직 정하지 못했읍니다.장-두 김군의 고충을 이해합니다.
장래
를 생각하면 입시문제를 결코 소홀히 다를 수 없겠지요. 사실 이 문제 때문에 학부모님들이나 학생 그리고 학교측에서도 추천을 망설이는 것 같아요. 따라서 이들의 불안을 씻어주어야 국제대회를 대비한 ... ...
국방과학에 활용되는 전문가 시스팀 리얼타임! 작전명령!
과학동아
l
1988년 08호
본성으로 인해 이러한 일들을 수행할 수 있는 전문인력은 더욱 부족하게 된다. 이러한
장래
전쟁의 모습을 예견한 국방부의 판단이 인공지능에의 자원을 가능하게 했던 것이다. 여기에서는 인공지능에 관한 전문적인 검토보다는 실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방관계 연구프로젝트를 로보틱스 및 ... ...
대학생들의 인기직장1위 한국전기통신공사는 어떤 곳인가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수 있을것"이라고 말하면서 틈틈이 책을 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강조햇다.통신공사의
장래
와 관련해 중요한 관심사의 하나가 민영화문제이다. 현재 독점국영체제인 전기통신사업이 내년부터 2,3원화해 본격적인 경쟁체제로 바뀌리라는 것이다.최근 논의되고 있는 민영화방안은 전화 등 ... ...
두가지 역할의 갈등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없었던 것이다. 그리고 대부분의 과 친구들처럼 제2의 아인슈타인을 꿈꾸고 있었다.누가
장래
희망을 물으면 물리학자가 되는 것이라고 대답했다. 왜냐고 물으면, '물리가 좋아서'라는 말을 잊지 않았다. 나는 성실하게 학과공부에 임했다. 무엇을 위한 성실이었는지는 모르겠지만 그날 공부에 ... ...
마지막 정리
과학동아
l
1988년 07호
수학자들이 애호하는 미(未)해결 문제가 가까운
장래
에 해결될 수 있을것처럼 보인다. 여기서 내가 '있을 것처럼'이란 표현을 했음에 주목하기 바란다.먼저 이 미해결 문제(17세기 부터)가 어떤 것인가를 살피는 일부터 시작해보자. 수학에서 제곱수란 어떤 수에 그 자신을 곱해서 이루어진 결과이다. ... ...
빛의 오늘과 내일 제6세대 광컴퓨터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경험이나 자원 그리고 기본적 기술에 있어서 광학보다 앞서 출발했다. 광학은 매우
장래
성이 있지만, 특히 광학적 장치들의 위협은 평생을 전통적인 전자공학에 헌신적이었던 사람들을 더욱 자극할 것이기 때문에 쉽게 따라가지는 못할 것이다 ... ...
곧 실용화할 첨단 비행기들 STOL·VTOL·V/STOL의 삼총사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항공공학에 혁명의 바람을 일으키고 있는 세종류 비행기의 원리와 장·단점을 살펴본다.수많은 항공기 종류중에서 최첨단으로 일컬어지는 V/STOL은 어어떤 항공 ... 앞으로도 보다 새롭고 창조적인 노력은 계속될 것이다. 따라서 V/STOL항공기도 가까운
장래
에 실용화될 것으로 확신한다 ... ...
스푸트니크 충격은 나를 우주세계로…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과학자가 되고 싶은 강한 충동을 받은 것이다. 당시 한국의 항공우주산업의
장래
를 예측하기란 지극히 어려운 일이었다. 전망도 불투명했다. 하지만 재수 일년 동안 고통속에서 내 스스로 정한 결심이었기에 아무런 두려움과 망설임이 없었다. 스스로 택하고 좋아서 간 길이기에 설령 지금까지 아무 ... ...
풍력 발전의 실태 우리나라의 섬지역에 안성마춤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나라들인데, 풍력발전기 박람회를 개최하는 등 열의를 보이고 있다. 특히 일본은 가까운
장래
에 MW급 풍력발전기를 개발해낼 것으로 보인다. 우리나라의 입지조건우리나라는 주에너지원인 석유를 전량 수입하고 있는 반면, 자연조건은 풍력발전에 매우 유리한 입장에 놓여 있다. 즉 풍력발전기를 ... ...
반도체기술의 양대산맥 아이디어의 미국, 고밀도의 일본
과학동아
l
1988년 06호
ASIC메이커가 증가하고 있다. 이번 회의에 참석했던 D램 기술자들 자신도'D램의
장래
'라는 주제로 시간을 내 토론을 벌일 정도. 이 토론에서 서독 지멘스사의 '홀링거'는 "D램의 저가격의 고밀도 표준품임에 비해 특별한 기능을 갖춘 ASIC이야말로 고부가가치의 반도체이다. 앞으로 반도체기술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