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아
d라이브러리
"
이빨
"(으)로 총 523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
과학동아
l
2000년 03호
이다. 스테네오사우루스의 등과 배에는 육상 동물의 특징인 비늘이 덮여 있었다.
이빨
이 난 긴 주둥이의 모습은 현재 인도에서 살고 있는 민물 악어 게비알과 비슷하다. 게비알은 물고기만을 먹고 살기 때문에 스테네오사우루스도 같은 식성을 가졌으리라 짐작된다.유럽의 후기 쥐라기 지층에서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분류됐다가 나중에 희미한 깃털 자국이 발견돼 다시 시조새로 확인된 적도 있다.
이빨
을 가진 부리, 긴 꼬리, 날카로운 발톱 등 모든 해부학적 특징은 시조새가 전형적인 새보다는 공룡에 더 가깝다는 것을 보여준다.그러나 이 주장은 1926년 헤일만에 의해 심각한 도전을 받게 된다. 그는 ‘새의 ... ...
재미있는 공룡족보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이르러 턱관절은 치열 아래로 내려가 위 아래
이빨
이 동시에 마주치게 됨으로써, 아래
이빨
은 다른 공룡들과 달리 먹이를 부수고 갈 수 있게 됐다. 조각류의 강건한 뒷다리는 세 발가락만 발달하고 나머지 발가락은 퇴화됐다. 때로 작은 앞발을 땅에 대고 네발로 걸었지만 뛸 때는 뒷발만 사용했다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직접떼기 수법이었다. 이에 비해 후기 구석기시대의 돌날떼기는 몸돌에 날카로운 짐승
이빨
이나 쐐기를 대고 망치를 내려치는 간접떼기 방식이었다. 이를 통해 훨씬 모양새가 좋고 깔끔한 연모를 만들 수 있었다. 단양 금굴에서 발견된 석기제작방법이 바로 간접떼기 수법이다. 약 2만6천년 전에 ... ...
사하라에서 새로운 공룡 발견
과학동아
l
1999년 12호
시카고대학의 고생물학자 폴 세레노가 사하라사막에서 두 종류의 새로운 공룡화석을 발견됐다. 요바리아 티구이덴시스(Jobaria tiguidensis )는 긴 목과 큰
이빨
... 여태까지 발견된 용각류 중 가장 작아 보인다. 비록 몸집은 작지만 6백개에 이르는
이빨
을 가진 큰 입과 독특한 코가 특징이다 ... ...
공룡들의 IQ
과학동아
l
1999년 11호
목과 가벼운 머리뼈는 재빠르게 먹이를 베어 물 수 있는 이상적인 형태이다. 그런데
이빨
들은 입 안쪽으로 향하고 있어 고기를 자르는데는 효과적이었지만 실제 사냥감을 죽이는데는 제대로 역할을 하지 못했다. 진짜 무기는 앞발과 뒷발 발톱의 치명적인 조화에 있다.팔은 긴 갈고리처럼 작용해 ... ...
공룡탐사의 천국 몽골 고비사막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것으로 판단됐다. 아래턱 주위를 조금씩 파들어 가자 아래턱과 굳게 물려있는 위턱의
이빨
들이 보였다. 프로토케라톱스의 머리뼈가 가진 특징인 얇은 프릴(머리뼈 뒤에 확장된 판 모양의 뼈) 부분은 일반적으로 파손되기 쉬운데 이것은 조금도 손상된 곳이 없었다. 그 완벽한 보존상태에 입을 다물 ... ...
태백으로 떠나는 화석여행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좋으면 고사리류의 화석을 발견할 수 있다. 고사리류는 양치식물이기 때문에 잎이 양의
이빨
처럼 오밀조밀하게 박혀 있다. 물론 박물관에서 보는 멋진 식물화석을 찾는 것은 어렵다. 그렇지만 아무것도 없어 보이는 돌덩이를 망치로 두들겨 식물화석의 흔적을 찾는 재미가 쏠쏠하다.화석밭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등장으로 거대한 목긴공룡들은 쇠퇴하고, 그 대신 몸집이 작고 잘 씹을 수 있는
이빨
을 가진 오리주둥이공룡들이 번성해 또 다시 피자식물을 먹기 시작했다. 일방적으로 식물로부터 먹이를 공급받기만 한 공룡들은 중생대가 끝나면서 멸종했지만, 새와 곤충, 포유류들은 피자식물과 공생하면서 ... ...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최초의 인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치아가 활 모양으로 배열돼 있다. 이와 달리 유인원은 턱이 길고, 양쪽으로 늘어선
이빨
들이 서로 평형해 앞니들과 직사각형을 이루고 있다. 하지만 그때까지 발견된 자바인, 하이델베르크인의 화석들은 이러한 유인원의 특징을 조금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1912년 영국의 아마추어 과학자 찰스 도슨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