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지
유일
다만
d라이브러리
"
오직
"(으)로 총 699건 검색되었습니다.
탐나는 열성
과학동아
l
2007년 02호
나타나지 않을 확률은 $\frac{63}{64}$으로 거의 1에 가깝다. 하지만 푸른 눈이 나오는 경우는
오직
유전자 6개 모두가 열성일 때뿐이므로 출현 확률은 $\frac{1}{64}$(=$\frac{1}{{2}^{6}}$) 로 매우 작다. 이것이 푸른 눈이 드문 이유다.이화여대 생명과학과 원용진 교수는 “열성과 우성 유전자의 조합에 따라 . ...
안형준 기자의 한국 최초 우주인 도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9호
지켜보며 꼬박 밤을 새웠습니다.①가슴이 설렘은 어쩔 수 없었지만, 그래도 내 마음은,
오직
아름다운 것만을 생각하게 해 주는 그 맑은 밤하늘의 비호를 받아, 어디까지나 ②성스럽고 순결함을 잃지 않았습니다.우리 주위에는 ③총총한 별들이 마치 헤아릴 수 없이 거대한 양떼처럼 고분고분하게 ... ...
또 하나의 달이 된 '아누셰 안사리'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많아요. 가루 화장품은 사용할 수 없죠. 물이 귀해서 샤워도 제대로 못하고 씻을 때는
오직
젖은 수건, 마른 수건으로 번갈아 가면서 닦는 게 전부죠. 무중력에서 마음껏 샤워할 수 있는 아이디어를 내는 사람에게 큰 상금을 주고 싶어요.Q_우주여행으로 달라진 게 있다면?세상을 보는 관점이 ... ...
특집Ⅲ 2006 노벨상을 만나다
과학동아
l
2006년 11호
우주를 가속 팽창시킬 것으로 추정되는 암흑에너지나, 빛을 흡수하거나 방출하지 않고
오직
중력 상호작용만 하는 암흑물질은 여전히 미스터리다.왜 위성을 띄울까우주배경복사를 지상에서 관측할 수는 없을까. 가능하지만 인공위성을 띄우는 편이 훨씬 유리하다. 우주에서 날아오는 마이크로파는 ... ...
붓끝에 수학 듬뿍 묻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이라는 분야가 새롭게 등장했다. 위상(位相)이란 기존의 기하학적인 변환을 거부하고
오직
점이 점으로 옮겨지는 연속함수의 성질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위상수학은 도형에서 면적이나 크기, 길이 등의 고정관념을 무시하는 새로운 기하학이다.미술에서는 어떤 화풍이 등장했을까. 프랑스의 화가 ... ...
3. 빛보다 빠르게 우주를 누비려면?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v)의 제곱에 비례한다. 따라서 물체가 유한한 속도를 얻으려면 유한한 에너지가 필요하고
오직
무한히 빠른 속도를 얻을 때만 무한한 에너지가 필요하다.하지만 특수상대론에 따르면 움직이는 물체의 에너지($mc²/ \sqrt{1-(v/c)²}$)는 물체가 광속(c)이 될 때 무한히 커진다. 무한대의 에너지를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살았다. 그러나 그의 삶은 변혁과 도전의 소용돌이를 외면하지 않았다. 그의 두 눈은
오직
진리의 먼 별빛을 응시하면서 예술과 과학의 역사를 헤쳐 나갔다. 그가 평생 꿈꾸던 이상은 자연이 감추고 있는 궁극의 원리였다. 레오나르도는 그의 노트에 이렇게 기록했다.“별을 붙잡고 있는 사람은 결코 ... ...
똑똑한 인공위성 만들기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할 수 있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그는 1981년 서울대 항공공학과에 입학한 뒤 16년 동안
오직
한길만 걸어왔다. 항공우주공학은 규모가 크고 여러 요소가 복잡하게 얽혀 있어 혼자서 연구하기 어려운 분야다. 연구 성과도 더디게 나타난다.하지만 방 교수는 “어려우니까 도전하고 싶다”고 말한다. ... ...
조지 에어리와 윌리엄 도즈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면 그 눈은 독수리의 눈으로 변했다. 유명한 천문학자 중 눈이 나빴던 근시 천문학자는
오직
두 사람이다. 한 사람은 요하네스 케플러로, 그는 시력 때문에 관측보다 계산과 이론으로 명성을 얻었다. 반면 도즈는 근시임에도 망원경을 사용해 독수리 눈으로 불렸으니 참으로 놀라운 일이다 ... ...
유관순 열사의 마지막 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이길 수 있으나, 나라 잃은 그 고통만은 견딜 수가 없습니다. 나라에 바칠 수 있는 목숨이
오직
하나밖에 없는 것만이 이 소녀의 유일한 슬픔입니다….”유관순 열사는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의 독립을 위해 모진 고문을 견디며 옥중에서 숨을 거두었다. 썰렁 홈즈의 눈에는 눈물이 흘러 내렸다.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