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물학
생명
d라이브러리
"
생명체
"(으)로 총 1,913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미스의 탐구생활] 보석을 채굴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20호
압력과 열을 받아 만들어져요.다이아몬드 원석은 광물의 종류예요. 조개 속 진주처럼
생명체
가 만드는 보석과 달리, 지각 활동에 의해 만들어져 일정한 화학 조성과 결정 구조를 갖는 물질을 ‘광물’이라고 해요. 이중 아름답고 희귀하며 단단해 보석으로 쓰일 가치가 있는 것을 ... ...
[특별 기고] 아르마딜로가 눈 앞을 총총!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5호
지상낙원 그 자체였다. 지구의 허파이자, 생물다양성의 심장인 아마존은 미지의
생명체
와 그 안의 비밀을 간직한 채 이제껏 존재해 오고 있었다. 그러나 최근 대규모 개발과 관광객들 때문에 자연의 평화가 위협받고 있다. 지구상에서 단 한 곳, 이곳만이라도 그들만의 천국으로 남겨두면 안 되는 ... ...
[과학뉴스] 생명의 흔적일까? 화성에서 유기화합물 발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3호
쌓여 딱딱하게 굳어져 만들어진 암석.제니퍼 아이겐브로드 박사는 “이 유기화합물이
생명체
의 흔적인지는 밝혀지지 않았지만, 오래전에 만들어진 유기물이 발견된 만큼 곧 알아낼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어요 ... ...
[Infographic] 비늘에서 깃털까지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진화는
생명체
의 진화와 맞닿아 있다. 양막류는 양서류와 달리 육상에 완벽하게 적응해 껍질이 있는 알을 낳는 네발 동물을 일컫는다. 양막류는 이후 포유류와 파충류로 진화하고, 파충류 중 일부는 조류로 진화한다. 마찬가지로 케라틴의 구조에 따라 양막류의 외피는 포유류의 털(알파 케라틴)과 ... ...
최초의 ‘행성 사냥꾼’ 케플러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표면에는 물(액체)이 고여 있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다. 우주에 인류가 아닌 다른
생명체
가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셈이다. 앨리슨 혹스 NASA 에임스연구센터 박사는 “케플러 우주망원경을 통해 광활한 우주 안에서 지구의 위치를 이해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케플러 이어 ‘테스’ 활동 ... ...
[통합과학 교과서] 아이템을 모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담겨 있는 구조예요. 원시적인
생명체
와 닮았지만, 혼자서는 자라지 못하고 다른
생명체
에 들어가야만 증식할 수 있죠. 몸속으로 들어온 바이러스는 우리 몸의 세포에 자신들의 유전자를 집어넣어요. 그 유전자들이 세포 속에서 자신과 똑같은 모습의 바이러스를 복제하면서 바이러스의 수를 늘리는 ... ...
[과학뉴스] 레이저로 ‘우주 등대’ 만든다?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는 것이다. TRAPPIST-1에는 7개의 외계행성이 있고, 그 중 3개는 외계
생명체
가 서식할 수 있는 조건을 갖추고 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이 최대 2만 광년 떨어진 곳에서도 감지할 수 있는 인공조명을 생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다. 제임스 클락 MIT 항공우주학과 연구원은 ... ...
[과학뉴스] 굿바이! 소행성 탐사선 ‘돈(Dawn)’
과학동아
l
2018년 12호
돈은 지구와 연락이 끊긴 뒤에도 수십 년간 세레스 궤도를 돌 전망이다. NASA는 세레스에
생명체
가 존재할 가능성을 고려해 돈을 추락시키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캐롤 레이먼드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 책임연구원은 “돈의 유산은 이제 시작”이라며 “돈이 남긴 데이터로 향후 태양계 행성과 ... ...
‘하야부사2’ 3년 10개월의 기록 2014년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이뤄져 있을 것으로 추정되기 때문입니다. 소행성에서 이 물질들을 발견할 수 있다면,
생명체
의 기원뿐만 아니라 태양계의 진화 과정도 알 수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소행성을 탐사해 샘플을 직접 가지고 지구로 돌아와 연구를 하기로 했습니다.그런데 C형 소행성은 화성과 목성 사이 소행성대 ... ...
영화 속 기생생물 현실에도 있을까? ‘베놈’ vs. ‘창궐’
과학동아
l
2018년 11호
드라마에서 좀비의 감염 매개체는 바이러스나 세균 등 우리 몸에서 번식할 수 있는
생명체
인 경우가 많았다. 야귀의 특성만 놓고 보면 야귀를 매개하는 병원체는 상처를 통해 감염되며 단시간 내에 사람을 죽일 수 있을 만큼 잠복기가 매우 짧아야 한다. 또 감염됐을 때 감염자는 강한 공격성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