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부산"(으)로 총 1,121건 검색되었습니다.
- 금과 은 나와라, 뚝딱! 내 주변에서 보물찾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지난 11월 28일 금요일, 명예기자인 성훈이와 민주는 ‘보물’을 찾으러 한국지질자원연구원 지질박물관에 찾아갔어요. 두 친구는 번쩍번쩍 빛이 나는 금은덩이를 만날 생각에 전날 잠도 못자고 밤을 꼴딱 새어버렸대요. 성훈이는 금덩이를, 민주는 은덩이를 찾기로 다짐했지요. ... ...
- 총알보다 빠른 혜성에 착륙하라! 로제타 프로젝트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4호
- 문제점1_ 빠른 속도혜성의 속도는 시속 6만 6000㎞로, 총알보다 20~30배 이상 빨라. 서울과 부산을 20초 만에 주파하는 엄청난 속도지. 이렇게 빠르게 움직이는 혜성 위로 탐사로봇을 착륙시키기 위해서는 탐사선이 혜성의 속도에 맞춰 함께 비행하고, 착륙할 곳을 예상해서 탐사로봇을 보내야 해. 마치 ... ...
- 전통과 디지털이 공존하는 아름다운 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친구들, 혹시 ‘신토불이(身土不二)’란 말 아시나요? 몸과 태어난 땅이 하나라는 뜻으로, 우리 몸에는 우리나라에서 자라고 나는 것들이 좋다는 거예요. 그런데 내가 지금 있는 주변을 둘러봐도 우리나라 고유의 물건, 옷, 음식…, 하나도 찾을 수가 없어요! 그럼 어떤 것이 한국적인 걸까요? 최서진 ... ...
- 꿰뚫어 보는 지하철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6호
- 총 320km 이상의 긴 거리(광역 철도 제외)를 달리는 아주 복잡한 구조로 바뀌었어요. 부산, 대구, 대전, 광주 등 지방에서도 각자 지하철이 달린답니다.서울 지하철은 1~9호선으로 나뉘어요. 먼저 지은 1~4호선을 ‘1기 지하철’, 5~8호선을 ‘2기 지하철’, 9호선을 ‘3기 지하철’로 구분하지요. 각 기마다 ... ...
- 사슴벌레 VS 장수풍뎅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하시는 거예요. 장수풍뎅이와 사슴벌레는 똑같아 보이는데, 어떻게 다른 거죠? 김진수(부산 화정초 4)사슴벌레딱정벌레목 사슴벌레과에 속해요. 사슴벌레 수컷은 4.3~7.6㎝로 흑갈색의 맨들맨들한 몸을 갖고 있어요. 반면 암컷은 2.5~4㎝로 몸이 작고 금색 털로 덮여 있지요. 수컷은 장수풍뎅이보다 ... ...
- 동해안 모래 실종사건, 범인을 잡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3호
- 인공구조물까지 부서져 마치 해안절벽처럼 변하기도 했대. 최고의 여름 피서지로 뽑히는 부산 해운대는 백사장을 복원하기 위해 다른 지역의 모래를 가져와 메우고 있다지 뭐야. 우리와 상황이 비슷한 일본은 약 180년 뒤면 해수욕장이 완전히 사라질 수도 있다고 해. 히익~! 해수욕장이 ... ...
- PART3. 핵융합의 장점과 발전과학동아 l2014년 12호
- 들어 있는데 이 양만 으로도 300L의 휘발유와 같은 에너지를 낼 수 있다. 자동차로 서울과 부산을 세 번 왕복할 수 있는 에너지다. 삼중수소는 중수소와 달리 12.3년의 반감기를 갖는 방사성 동위원소다. 수소보다 조금 무거운 원소인 리튬을 이용하면 만들 수 있는데, 리튬은 지표면과 바다에 약 1500만 ... ...
- [과학뉴스] 3년 만의 우주쇼, 개기월식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일어난 것은 3년 만이다.전국 곳곳에서 월식 관찰이 이뤄졌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서울, 부산, 광주 등 전국의 아마추어 및 전문 천체사진가들이 찍은 월식 관측 사진을 공개했다. 이른 저녁부터 월식이 완전히 끝난 뒤까지 극적인 모습을 관찰할 수 있다. 서울 용산에 위치한 ... ...
- 명예기자와 기자단이 만나 제주에서 우주로~!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1호
- 남쪽 바다에서 당당한 자태를 뽐내는 아름다운 섬, 제주도. 올해 4월, 제주도에 새로운 명소가 탄생했다는 소식이 들려왔어요. 하늘과 우주로 자유롭게 날아오를 수 있는 곳이라는데…? 이런 소식을 가 놓칠 리 없죠? 그래~서! ‘제주항공우주박물관’에 다녀왔어요. 모처럼 먼 제 ... ...
- [hot science] 초고층의 저주, 수직도시 안녕할까과학동아 l2014년 10호
- 평균 2분이 더 지나서야 구조가 가능했다. 2008년에도 50층 이상 초고층건물이 밀집한 부산 재송동의 응급구조 기록을 연구한 결과가 같은 학술지에 실렸는데, 역시 층수가 높아질수록 구조 시간이 늘어났다. 초고층 지어야 할까사실 초고층과 관련해 떠올릴 수 있는 문제는 대부분 상식적이다. 큰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