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배우자
짝
배필
내외
반려자
동반자
안팎
d라이브러리
"
부부
"(으)로 총 492건 검색되었습니다.
공부밖엔 할 것 없던 시절의 '짧은'여유
과학동아
l
1994년 01호
미모였던 강영자양(뒷줄 오른쪽에서 세번째)은 동기생인 김정욱군과 결혼해 지금은
부부
가 미국 존스 홉킨스대학에서 교수로 있다.이 사진에 들어있는 13명 가운데 앞줄 한가운데 있는 필자와 그 왼쪽의 조성호 고려대 이과대학장 등 9명이 미국이나 우리나라에서 물리학교수로 있으니 외길을 ... ...
인간복제 논란 그후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복제하는데 성공, 윤리적 도전'이라는 제하에 실린 이 기사에서는 이 실험의 결과
부부
가 체외수정을 한 뒤 그 배자를 복제했다가 그중 하나를 자궁에 착상시켜 아기를 낳은 뒤 언제라도 냉동 보관 했던 나머지 배자로 똑같은 아기를 낳을 수 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이 소식은 삽시간에 세계적인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만약 중성자별에 사람이 산다면 어떤 일이 벌어질까? 중성자별에 집을 장만한 신혼
부부
가 있다고 하자. 그리고 새신랑은 산꼭대기에는 있는 사무실에 출근한다. 산꼭대기 남편사무실의 시계는 산밑 아래 시계보다 훨씬 빨리 갈 것이다. 하루하루 남편은 아내보다 빨리 늙어가는 것이다. 그러나 산밑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우라늄의 방사능을 발견한 베크렐, 그리고 우라늄에 섞여 있는 라듐을 분리한 퀴리
부부
등 학자들의 연구 결과로 우라늄 라듐과 같은 원자량이 큰 원소가 방사선을 내면서 일련의 변화과정을 거쳐 납으로 바뀐다는 것을 알아내고 이들 방사선의 정체가 구체적으로 밝혀지면서 보다 과학적인 지구의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다른 수정란에 나쁜 영향을 미친다. 인공수정·착상 이용한 시험관 아기아기가 없는
부부
에게는 아기를 갖는 것만큼 절실한 소망이 없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인공으로 정자와 난자를 수정, 착상시키는 시험관 아기다.■ 남성 불임증남성 쪽에 불임의 원인이 있는 빈도는 25-30명 중 한 ... ...
장기기억은 시냅스에 깊이 새겨져 오랫동안 존재
과학동아
l
1993년 10호
알려진 노인성치매(알츠하이머) 질환이다.지난 해 TV 일일연속극에서 이 병에 걸린 노
부부
의 애틋한 이야기가 방영되어 많은 이들의 관심을 모은 바 있다. 치매란 기억력의 장애를 포함한 정신 및 인식기능의 전반적인 장애가 특징적으로 나타나는 증후군을 말하는데, 그 원인은 매우 다양하다. 이중 ... ...
공해로 사라진 밤하늘, 꿈과 낭만의별하늘로 되살리자
과학동아
l
1993년 09호
관측하지는 못했지만 천문에 관련된 많은 지식을 얻을 수 있어서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부부
가 함께 참석한 김성임씨는 "앞으로 만화를 그리려고 하는데 이번 캠프가 많은 도움을 준 것 같다"고 소감을 피력했다.다음날은 별사랑회 회원들과 함께 조별활동으로 초보자가 아마추어 천문단체에 ... ...
화석속의 DNA추출, 1억년전 공룡 되살릴 수 있나
과학동아
l
1993년 08호
그때를 이렇게 회상했다.이 표본을 좀더 강력한 전자 현미경으로 옮긴 포이나 박사
부부
는 경탄의 소리를 질렀다. 이들은 각다귀의 근육세포를 선명하게 관찰할 수 있었던 것이다. 그들은 흔히 세포의 유전자를 지닌 것으로 알려진 염색질이 포함된 핵과 미토콘드리아를 볼 수 있었다.그러나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년 07호
더 나아가서는 '우주 베이비'가 탄생하지 않을까 하는 억측을 낳기도 했으나, 실제로 이
부부
는 업무 자체가 맞교대이기 때문에 성관계가 불가능했던 것으로 밝혀졌다.88년 11월 첫 무인 비행에 성공한 옛소련의 우주왕복선 부란호는 정원이 10명이며 길이가 60m로 덩치가 미국것보다 크다. 고장난 ... ...
아인슈타인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3년 06호
신경세포당 글리어 세포의 수가 늘어난다는 사실을 밝혀낸 바 있다.그러나 이
부부
는 막상 매스컴에 보도된 이들의 연구결과에 대해 뒤에 상당 부분이 왜곡돼 있다고 밝혔다. 즉 이는 아인슈타인의 두뇌조각과 일반인 11명의 두뇌를 비교해본 결과에 불과하므로 '73%'라는 수치는 정확한 것이 될 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