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발견"(으)로 총 10,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사 극장] 세종대왕이 측우기를 만든 게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일식과 월식 계산을 정밀하게 하는 역법이었다. 이순지와 김담은 회회력의 오류를 발견하고 고쳐나가며, 한양의 경도와 위도를 반영해 칠정산외편을 편찬했다. 이 오류 교정은 명나라 천문학자들도 미처 하지 못했던 작업으로, 두 학자가 각별한 노력을 기울였음을 알 수 있다. 이렇게 완성된 ... ...
- [뉴스&인터뷰] IBS 기후물리 연구단 과학동아 랩투어과학동아 l2023년 07호
- 5월호에 실렸던 인터뷰에서도 이를 언급한 바 있었다. 당시 팀머만 단장은 충북 단양에서 발견한 석순을 통해 약 1만 6000년 전, 기온이 5~7℃가량 급격히 하강했던 시기가 있었다는 것을 알게 됐고, 슈퍼컴퓨터 알레프로 이것이 빙하의 영향임을 밝혔다고 설명했다.이날 랩투어에서는 어떻게 석순에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못한다. 그건 내가 해석할 수 있는 영역 밖의 일이있다. 다만 지아의 뒤를 쫓았고, 발견했고, 따라가기로 결정했다. 그뿐이다. 처음 R구역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한 날, 로렌츠는 물었다.“정말 가실 겁니까?”부와 명예, 평화와 안락한 삶. 그 모든 걸 두고. 죽음의 구역으로 가실 겁니까?“가지 말아라 ... ...
- [과학사 극장] 석주명은 나비 ‘박사'가 아니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것이다. 국제학계에는 한반도의 생태에 대해 연구하는 이가 거의 없었고, 신종을 발견했다는 일본인 연구자들의 주장은 그대로 받아들여졌다. 오랫동안 꾸준히 한반도의 곤충을 연구한 석주명이 보기에 이들의 연구는 빈틈이 많았다. 특히 같은 종의 나비를 크기와 색깔 등이 조금 다르다는 이유로 ... ...
- [뉴스&인터뷰] 인류의 질문에 답하는 곳, IBS 중이온 가속기연구소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원리, 라온의 전체 구조까지 살펴볼 수 있었다. 강연이 끝나자 질문이 쏟아졌다. 라온이 발견할 것으로 기대하는 119번째 원소에 대한 질문부터 과학자의 마음가짐에 대한 질문까지 다양한 질문이 나왔다. 김 부장은 과학자를 꿈꾸고 있는 독자들에게 “과학자가 되기 위해선 큰 결심과 주변의 지원이 ... ...
- [가상 인터뷰] 블랙홀, 암흑에너지로 우주를 팽창시킨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변화했는지 관찰했어. 그 결과, 블랙홀의 질량은 90억 년간 8~20배 증가했다는 사실을 발견했지. 블랙홀은 왜 무거워진 거야? 블랙홀의 성장은 다른 은하에 있는 블랙홀과의 결합만으로 설명할 수 없어. 은하와 은하가 합쳐지면 별의 질량도 커지는데, 별의 질량보다 블랙홀의 질량이 훨씬 더 많이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제 역할을 하지 못했던 거지요. 도허티와 칭커나겔의 연구는 킬러 T 세포의 특이성을 발견한 첫 사례였어요. 특정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그에 맞는 킬러 T 세포만 활성화되는 현상을 ‘면역의 특이성’이라고 한답니다. 용어 정리●종두법: 1796년 영국의 의사 에드워드 제너가 천연두를 ... ...
- [핫이슈] 메리 스튜어트 여왕의 비밀 편지, 400여년 만에 암호를 풀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푸는 거예요. 알고리즘이 암호를 30% 해독했을 때쯤, 연구팀은 프랑스어 단어와 문장을 발견했어요. 이로써 편지의 발신인이 프랑스어로 편지를 썼다는 사실을 확신할 수 있었답니다. 컴퓨터 알고리즘으로도 해독할 수 없는 기호들이 있었어요. 바로, 기호의 옆면이나 아래에 점과 같은 부호가 있는 ...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링과 스틱으로 건축물을 뚝딱? 폴리스틱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당시 환경을 유추했죠. 물가에 사는 식물과, 건조한 환경에도 잘 버티는 식물의 꽃가루가 발견된 위치로 지류와의 거리를 추정해 지류 위치를 파악했어요. 연구팀은 과거 물줄기의 이름을 ‘쿠푸 지류’라고 붙였고, 퇴적층 시료를 통해 해당 지역의 수위가 낮아졌다고 분석했어요. 건축 당시엔 ... ...
- 챗GPT 과연 수학자를 위협할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러한 기능을 시험해봤어요. 아직 많이 부정확하지만, 때로는 챗GPT의 짐작 뒤에 우리가 발견하지 못했던 ‘직관’이 숨어 있어요. 수학자와 함께 챗GPT로 수학 문제 풀어봤다! 김재훈 KAIST 수리과학과 교수와 함께 챗GPT 플러스의 GPT-4를 이용해 고등학생도 풀 수 있을 만한 ‘조합론’ 문제를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