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형태
생김새
꼴
외형
모습
모양새
d라이브러리
"
모양
"(으)로 총 8,09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순찰대원 고딱지] 저 멀리 반짝이는 불빛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4호
’그때 저 멀리서 반짝이는 불빛이 보였습니다. 불빛은 점점 가까워지더니 우주선
모양
으로 변했습니다. 그건 바로 해롱 호였습니다!해롱 호로 무사히 들어온 딱지는 대원들과 얼싸안았습니다.“다행이다, 딱지야.”“블랙홀로 떨어지는 줄 알았지 뭐야.”“구해 주셔서 고맙습니다. 해롱 호도 ... ...
[광고]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과자 봉지를 만드는 곳에 다녀왔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작은 병을 만들 수 있어요. 이 병을 ‘프리폼’이라고 불러요. 프리폼을 페트병
모양
의 틀에 넣고 열에 가하면 말랑해지는데, 이때 강한 압력으로 공기를 불어 넣으면 프리폼이 부풀어 오릅니다. 그러면 우리에게 익숙한 페트병이 완성되지요. 완성된 페트병은 외부 물질로부터 음료수나 물 등 ... ...
[냠냠! 어수잼] 선물이 대체 몇 개야?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4호
확인하면 쉬워요. 밑그림은 쌓기나무를 위에서 바라본
모양
과 같으므로, 위에서 바라본
모양
의 각 자리에 쌓기나무가 몇 개 쌓여있는지를 세어도 되지요 ... ...
[특집] 한반도에도 있다! 우리나라 별 지도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비가 오는 등의 이유로 하늘을 못 보는 경우도 있을 거예요. 그때를 대비해서 하늘의
모양
을 그려놓은 것이 별 지도라고 할 수 있어요. 동양에서 천문학은 ‘제왕의 학문’으로서 임금이라면 꼭 해야 하는 학문이었어요. 농사를 잘 짓기 위해선 하늘의 때를 알고 계절 변화를 잘 예측해야 하니 ... ...
[과학뉴스] 소변이 튀지 않는 가장 과학적인 소변기
모양
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흥건하게 젖어 있기 때문이에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남성의 사냥 본능을 자극하는 파리
모양
을 소변기에 넣는 등 다양한 시도를 했지만,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어요. 그런데 지난 11월 22일 캐나다 워털루대학교 자오 판 교수 연구진이 “개와 앵무조개를 모방해 소변 방울이 튀지 않는 소변기를 ... ...
[4컷 만화] 소리로 화학반응을 조절한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100Hz(헤르츠) 이하의 소리로 미세한 상하 진동을 만들었어요. 그러자 용액에 동심원
모양
의 물결이 발생했지요. 이때 여러 물결 파동이 서로 간섭하면서 진동이 상쇄되어 움직이지 않는 ‘마디’와 주기적으로 상하운동을 하는 ‘마루와 골(가장 높은 부분과 가장 낮은 부분)’이 생기는데, 마디를 ... ...
질문하면 답해 ZOOM!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4호
폴리비닐 알코올 같은 고분자 물질로 만들어졌어요. 고분자 물질은 아주 얇게 원하는
모양
대로 만들기 쉽고 접착 강도도 높아요. 그래서 문신 스티커는 오랫동안 튼튼하게 피부에 잘 붙어 있을 수 있답니다. Q 가위눌리는 현상은 왜 일어날까요? 김승주A 잠을 자다가 정신은 깼는데 몸이 ... ...
[출동!슈퍼M] 피자를 다른
모양
으로 나눌 수는 없나요??
어린이수학동아
l
2022년 23호
모양
으로 나뉘어요. 부채꼴은 이름처럼 부채를 닮은
모양
을 말하지요. 피자를 부채꼴
모양
으로 자르는 이유는 나눠 먹는 사람의 수에 따라 쉽게 피자를 나눌 수 있기 때문이에요. 보통 가게에 피자를 주문하면 피자에 4개의 직선을 그어 부채꼴 조각 8개로 나눠서 주지요. 이때 부채꼴 조각의 크기를 ... ...
[특집] 싹트네~ 싹터요~. 머리에 채소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식물이 자랄 때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할 수 있거든요. 다만 머리카락 속 케라틴은 배지
모양
을 유지할 만큼 튼튼하지 못한 문제가 있었죠. 연구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목재 부산물이나 농업 폐기물 등에 있는 식물 섬유인 셀룰로오스를 케라틴에 섞어 구조를 보강했어요. 그렇게 합성한 케라틴 ... ...
[이달의 과학사] 1904년 12월 10일 크리스마스 씰의 시작!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23호
덴마크의 한 우체국 직원이었던 아이날 홀벨은 연말에 잔뜩 쌓인 우편물을 보다 우표
모양
으로 ‘씰’을 만들어 붙여 보내면 당시 많은 어린이들이 앓고 있던 호흡기 질환인 결핵의 치료 기금을 마련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에 1904년 12월 10일, 그는 덴마크 국왕 크리스티안 9세의 지원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