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무리
집단
모임
그룹
군체
군
무더기
d라이브러리
"
떼
"(으)로 총 509건 검색되었습니다.
말레이시아 시파단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잭피시(jack fish)
떼
가 무리지어 다닌다. 이에 질세라 꼬치고기의 일종인 바라쿠다(baracuda)
떼
가 날카로운 이를 내놓고 원을 그리며 돌고 이싿. 한쪽에선 커다란 거북들이 한창 사랑에 빠져 다이버가 접근하는 것도 모른다. 시파단섬은 전세계 다이빙 마니아들의 천국이다. 그래서 세계 수중사진가들이 ... ...
유럽을 구한 십자가 방패자리
과학동아
l
1997년 07호
키르흐가 발견했다. 19세기 영국의 유명한 관측자였던 스미스 제독이 “이동하는 물오리
떼
와 닮았다”고 묘사한 후부터 ‘물오리’(Wild Duck)라는 애칭이 따라붙었다. M11은 황색의 8등성을 중심으로 별들이 부채살처럼 퍼져 있다. 성단의 크기는 25'(태양은 30')인데, 이 속에 8-14등급 사이의 별들이 ... ...
1. 동굴벽화에서 디지털 애니메이션까지
과학동아
l
1997년 06호
대리석 기둥의 무늬가 컴퓨터 그래픽으로 처리된 것이다.‘라이온 킹’에서는 들소
떼
가 질주하는 스펙터클한 장면이 2분 30초나 계속되는데, 손으로 그린 배경과 3D로 만든 들소들을 완벽하게 결합시킨 것이다. 8백마리의 들소를 복제하는 작업을 컴퓨터가 해냈다. 8백마리의 들소는 일반인들이 보면 ... ...
Ⅱ. 부드러운 장기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세포는 기아 상태에 시달리게 된다.최근 동물이나 사망한 사람으로부터 췌장세포를
떼
내 배양기에서 기른 인공췌장을 만들고 있다ㅏ. 이 경우 췌장자리가 아니더라도 몸의 아무 곳에서나 인공췌장을 투여하면 기능 발휘에 별 문제가 없다. 예를 들어 배양한 췌장세포를 직접 복강 내에 주입하면 ... ...
Ⅰ. 20세기를 달려온 인공장기6 : 뼈·연골·관절
과학동아
l
1997년 03호
‘재료’가 충분하지 않다. 예를 들어 조그만 뼈의 손상을 대체할 때 환자의 골반뼈를
떼
내 이식할 수 있지만, 손상부위가 크거나 관절을 대체할 때는 불가능한 일이다.1950년대 말 영국의 한 외과의사에 의해 인공관절이 개발되기 시작됐다. 철강재로 모형을 만들어 손상된 관절을 제거하고 이를 ... ...
Ⅰ 포항공대 3가지 자랑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학장으로 내정된 김호길박사는 “가속기를 세워주지 않으면 학장직을 맡지 않겠다”고
떼
를 썼다고 한다. 가속기전문가인 김박사가 자신의 꿈을 포항공대 설립에 얹었던 것이다. 그래서 당시 포철회장인 박태준씨는 “포항공대를 단기간 내에 세계적인 명문대학으로 만들어준다면 그렇게 ... ...
삼지창 모양의 공룡발자국 첫 발견
과학동아
l
1996년 11호
가운데 탐사대는 똑같은 것들을 수없이 발견했다. 해가 기울어가는 상족해안에 공룡들이
떼
를 지어 걸어가는 모습이 눈에 선했다.경상계(영남지역에 분호하는 중생대 지층)는 육성층이다. 그래서 화석이 드물 거라는 잘못된 생각 때문에 조사가 거의 이뤄지지 않았다. 그러나 1970년대 초부터 중생대 ... ...
백두산 곤충
과학동아
l
1996년 09호
북방알락팔랑나비, 함경어리표범나비, 붉은점모시나비 등 희귀한 나비들이
떼
를 지어 지천에 날고 있었다. 붉은점모시나비는 남한에서 5월 중순에 발견되는데, 여기서는 6월 중순에 볼 수 있다니 신기하기만 했다. 이어서 나타나는 늪지에서 북방실잠자리, 진주잠자리, 넉점박이잠자리들이 한창 ... ...
3. 공룡시대 5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6년 08호
것도 알 수 있다.공룡이 다니던 길을 보면 용각룡과 같은 일부 공룡들이 얼룩말처럼
떼
를 지어 이동했다는 사실도 알 수 있다. 발자국을 자세히 살펴보면 큰 놈이 앞장서서 걷고 작은 것들은 일렬로 서서 따라가는 모습을 연상할 수 있다. 이처럼 발자국 화석은 뼈화석이 보여주지 못하는 공룡의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이때 1m 정도의 사시나무 줄기 맨 아래 흙담으로 둘러싸인 움막 속에서 개미들이 진딧물
떼
를 사육하는 광경을 발견했다.그 후 우리는 정기적으로 이들의 행동을 관찰했다. 그러던 어느 날(6월 마지막 주였던 것 같다) 개미와 진딧물이 흔적도 없이 감쪽같이 사라졌다. 우리가 관찰하던 모든 움막들이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