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행
수반
문신
문관
합류
군중
집단
d라이브러리
"
동반
"(으)로 총 55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물도
동반
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년 06호
이미 포유류에서 발견된 것이었다. 램박사는 “여러가지 유사성을 생각할 때 이런
동반
자살이 진화 초기 단계부터 발생했다고 생각한다” 고 말하면서 “지금 발견한 현상은 원시적 방어 메커니즘의 최신 버전인 셈” 이라고 설명했다 ... ...
숙식제공받고 보초선다. 수도머멕스 개미
과학동아
l
1996년 05호
Janzen) 박사는 다음과 같은 야외 실험을 통해 이 개미들이 아카시나무에게 없어서는 안될
동반
자임을 입증했다. 잰슨 박사는 개미의 보호를 받던 아카시나무들을 골라 살충제로 개미들을 제거한 후 그 주변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관찰했다. 더 이상 개미의 보호를 받지 못하는 아카시나무 주변에는 ... ...
DOHC 엔진 힘좋다고 마냥 좋은 것은 아니다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기름을 연소시켜 열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전환하는 장치다. 연소에는 불가피하게 열을
동반
한다. 이 열을 식혀주기 위해 냉각계통이 필요하다. 하지만 배기파이프와 머플러 부분도 고열을 낸다. 도로를 주행하다 날아다니는 비닐봉투 등이 엔진이나 배기파이프에 붙어 눌러버리는 경우도 주의해야 ... ...
인간 버금가는 낙농의 대가
과학동아
l
1996년 04호
것이다. 그 기원은 확실치 않지만 개미와 진딧물은 오랜 세월 동안 공진화해온
동반
자들이다.뿔매미 중에는 간혹 개미의 서비스 정신을 교묘하게 이용해 그들로 하여금 자기 자식들까지 돌보게 하는 종들도 있다. 새끼들을 낳아 기르다 자기들을 보호해줄 충실한 개미를 만나면 아예 자식들을 다 ... ...
아름답게 빛나는 행성상성운
과학동아
l
1996년 03호
어떻게 발생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자세히 알려지지 않았다. 단지 옆에 어두운
동반
별이 있어서 적색거성과 상호작용을 일으켰을 것이라고 추측할 뿐이다.NGC7027도 다른 행성상성운처럼 별의 최후를 간직한 화석과 같은 존재다. (사진3)을 보면 거성의 대기가 처음에는 구모양으로 천천히 퍼졌다는 ... ...
3. 일반상대성 이론의 예언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10의 수십제곱분의 1정도로 약하다.미국의 테일러와 헐스는 1974년 보이지 않는
동반
성과 쌍성을 이루고 있는 펄사(pulsar, 강한전파를 내는 중성자별)를 관측했다. 이 두 별은 불과 해의 반지름 거리 정도밖에 떨어져 있지 않아서 초속 약 3백km의 엄청난 속도로 약 8시간마다 서로 공전하고 있다. 이 ... ...
1. 물체를 움직이는 정신작용 염력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금속재료의 연화(軟化)현상이 일어난 것으로 밝혀졌다.이처럼 실제적인 물리적 힘을
동반
하는 초자연현상을 가리켜 염력(psychokinesis)이라고 한다. 이는 여러 초자연현상 중 확실하게 물증을 보여주기 때문에 가장 많은 호기심을 끌어왔다.염력현상에 대한 객관적인 연구는 1930년대 미국 듀크대학 ... ...
잠 꼭 자야만 하나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한다. 어떠한 경우라도 호흡근육까지 마비돼 호흡이 정지되는 경우는 없다. 다른 증상과
동반
되지 않으면 심각한 상태는 아니며 정상인에게도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수면 시간을 정확히 지키고 심한 정신적 신체적 스트레스를 피하면 대체로 예방가능하며, 필요하다면 약물을 단기간 투여해 볼 ... ...
허블통신 크리스마스 특선
과학동아
l
1995년 12호
연상시킨다. (사진4)의 오른쪽에 나타난 이 별은 GL 105A(화면을 채우고 있는 밝은 별)의
동반
별로, 고래자리 방향으로 27광년 떨어져 있다. 천문학자들이 계산한 결과에 따르면 GL 105C라고 불리는 이 왜성은 GL 105A보다 2만5천배 어둡다. 만일 GL 105C가 태양 거리만큼 떨어져 있다면 지구에서 보는 밝기는 ... ...
11월의 밤하늘 페르세우스자리의 보석들
과학동아
l
1995년 11호
수수께끼로 천문학자들이 한동안 골치를 앓은 적이 있다. 알골은 청백색 주성과 노랑색
동반
별로 이뤄진 쌍성계다. 사흘에 한번 질량 중심을 공전하기 때문에 밝았다 어두워졌다 하는 변화가 빠르게 되풀이된다. 재미있는 사실은 두 별의 밝기 차이가 1등급이 넘는다는 것. 알골의 변광을 '메두사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