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료
데이타
정보
data
인포메이션
은행
d라이브러리
"
데이터
"(으)로 총 3,453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개방 동굴에서 박쥐를 만나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돕는 수호자 역할을 한다. 시민과학자들이 활성화돼 실제 연구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데이터
를 확보한다면 어떨까. 시민 과학의 활성화는 생태계 보호의 시작일 수 있다. 지역 생태계에 통찰력을 주는 이른바 ‘풀뿌리 과학’이 더 활성화되길 바란다. ... ...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원숭이 아닌 인간이 주범?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분석이 주요하다. 미국 AP통신에 따르면,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의 염기서열
데이터
분석 결과 미국에서는 서아프리카 계통 원숭이두창에서 서로 다른 변이 2종이 발견됐다. 미국에서 유행하는 원숭이두창 바이러스 대부분은 유럽에서 유행하는 계통과 같다. 그런데 일부는 현재 유행하고 있는 ... ...
[기획]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원자력 정책이 탈원전에서 탈 탈원전으로 다시 뒤바뀌었다. 교차하는 정책 틈에서 통계
데이터
속 숫자가 아닌, 살아 숨 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았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탈원전 5년에 바스러진 원자력 생태계Part1. 떠난 자리에 남은 사람들Part2. 시대에 휘둘린 ‘정치적 ... ...
[이벤트] 취미코딩 참가자를 찾습니다!
과학동아
l
2022년 07호
배워보는 프로그램입니다. 첫 번째 취미코딩 주제는 ‘리그오브레전드’. 인기 게임 롤
데이터
를 분석하면서 파이썬 기초를 배우고 라이엇 게임즈의 API를 수집해 봅니다. 코딩을 전혀 몰라도 참여할 수 있으니, 부담없이 시작해 보세요 ... ...
[특집] 게임의 쓸모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쓸데없이 게임 하지 말고 공부해라”게임을 좋아하는 청소년 5명에게 자주 듣는 잔소리를 물었다. 모두 같은 말을 꼽았다. “커서 뭐가 되려고”도 다섯 명 가운데 네 ... 2 게임도 과학입니다만BRIDGE 대학교에 e스포츠 경기장이?PART 3 돈 버는 중입니다만EVENT. LoL로
데이터
분석할 사람 ... ...
[특집] 게임도 과학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발생하더라도 초기화를 할 수 있다.게다가 현실에서는 AI를 학습시킬 만한 양질의
데이터
를 대량으로 확보하기 어려울 때가 많다. 하지만 게임은 가상세계에서 유저들의 게임 활동이 모두
데이터
로 남는다. AI는
데이터
를 많이 학습할수록 성능이 좋아지기 때문에 이런 게임 환경은 AI를 시험하기에 ... ...
[청소년 연구활동 보고서] ‘논문 한 편 쓰고 끝’ 67% 영재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그의 딸은 고등학교 1학년이었던 2021년 해외 논문을 6편이나 썼습니다. 올해 2월 학술논문
데이터
베이스 ‘사회과학네트워크(SSRN)에 발표한 논문에는 케냐의 한 강사가 대필해 작성했을 것으로 의심되는 정황이 포착됐습니다.좋은 학교에 가기 위해 노력하는 건 어떻게 보면 당연합니다. 하지만 ... ...
[과학뉴스] 통가 화산 폭발, 우주 날씨까지 바꿨다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우주과학연구소 등 공동연구팀이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청(ESA)의 위성
데이터
를 분석한 결과다. doi: 10.1029/2022GL098577통가 화산이 폭발한 압력은 지구 상공 60~ 1000km의 전리층까지 전해졌다. 위성에서 측정한 전리층 바람은 최대 초속 200m를 기록했다. 강한 바람은 전리층에 흐르는 전류에도 ... ...
[특집] 프로게이머가 꿈입니다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프로게이머가 되고 싶다는 말은 대부분의 경우 잔소리를 막기 어렵다. 매해 초등학생들의 장래희망 조사에서 TOP10에 들만큼 흔한 방법이라는 게 첫 번째 이유. 프 ... 팀들은
데이터
전 담팀을 꾸리는 추세예요. 통계나 수학, 컴퓨터과학 분야에 관심 이 있다면
데이터
분석가를 추천합니다 ... ...
점술에도 미래가 있을까?
과학동아
l
2022년 06호
식이다.미국의 한 기업이 만든 점성술 기반의 소셜미디어(SNS) 서비스는 NASA의 관측
데이터
로 점을 친다. 인공지능 기반의 알고리즘으로 사용자의 생년월일과 사는 지역, 천체의 움직임 등을 분석해 그에 맞는 문구를 보여준다. 이 서비스가 성공을 거뒀다는 건 많은 사용자가 그런 문구에 깊은 인상을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