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민중
서민
군중
백성
집단
민생
국민
d라이브러리
"
대중
"(으)로 총 1,760건 검색되었습니다.
[서울대 공대] 우주항공공학전공주임 여재익 "공학으로 국격 높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시키는 항법기술 등을 연구한다. 이들 연구 분야 가운데 최근
대중
적으로 가장 많이 알려진 주제가 제어 분야의 드론 연구다. 무인비행체인 드론을 안전하고 정밀하게 제어하는 기술 등을 연구한다. 김현진 교수팀은 드론을 위한 지능형 의사결정기술을 개발해 ... ...
[시사기획 Part 1] “진원이 시추공 깊이와 거의 같아”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큰 규모의 지진이었으며, 가장 큰 피해가 발생한 지진이다. 지진의 크기를 측정할 때
대중
에게 친숙한 리히터 규모를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되는 에너지의 크기를 측정할 때는 모멘트 규모를 사용한다. 미국지질조사국(USGS)이 발표한 경주지진의 모멘트 규모는 5.4이고 ... ...
[서울대 공대 재학생 인터뷰] 우주항공 엔진 달고 꿈을 향해 비상
과학동아
l
2018년 06호
연관성을 살려 기술했다. 예컨대 강의 동영상 촬영 경험은 우주항공공학을
대중
에게 잘 알릴 수 있는 콘텐츠를 만드는 데 접목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했다. 유 씨는 “자기소개서를 작성할 때 자신이 놓인 환경에서 꿈을 이루기 위해 어디까지 노력했는지를 잘 기술하는게 중요한 것 같다”고 ... ...
신과람 교사가 직접 들려주는 5대 핵심역량 키우기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이슈가 되는 과학 관련 정보를 찾고, 이에 대한 해설과 논평을 신문이라는
대중
매체로 제작해 봄으로써 올바른 과학적 가치관을 형성하는 활동입니다. 과학신문을 제작하기 위해서는 이슈가 되고 있는 사안에 대해 객관적인 과학 정보 등 지식을 찾아 수집하고 분석하면서 각 지식에서 중요한 핵심 ... ...
[서울대 공대] 창의공학 인재가 모인다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새내기 김소현 씨는 성공한 ‘과학동아 덕후’다. 중학생 때 과학동아에서 개최한 과학
대중
강연인 사이언스 바캉스에 참여했는데, 김호영 서울대 기계공학전공 교수의 생체모방기술 강연에 매력을 느꼈다. 김 교수는 수면 위에서 점프하는 소금쟁이로봇 등 생체모방기술을 적용한 흥미로운 로봇을 ... ...
[DJ CHO의 롤링수톤] 가상현실로 듣는 동요
수학동아
l
2018년 05호
조금 다릅니다. 보통 3분 정도로 길며, 형식도 훨씬 더 다양합니다. 우리나라에서
대중
가요로 잘 알려진 ‘검은 고양이’도 1969년 제키노도로 대회에 나왔던 이탈리아 동요입니다. 원래 제목은 ‘수상한 검은 고양이가 갖고 싶었어’로, 상대에게 속아 검은 고양이를 갖지 못했다는 내용의 ... ...
[Culture] 새 책
과학동아
l
2018년 05호
산하 정부출연연구기관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이 2006년부터 발간하고 있는 과학
대중
서 ‘이지 아이티(Easy IT)’ 시리즈의 51번째 책이다.이번 시리즈는 정보통신기술(ICT) 산업에 얽힌 50개의 연구 주제를 그림과 함께 풀어냈다. 특히 이번 책은 ETRI의 연구 성과를 국민에게 알리는 역할을 해온 ... ...
과학동아 주제가 ‘빛처럼(Virtual Love)’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평소 가야금과 현대음악을 융합한 ‘크로스오버 클래식’ 음악을 만들어왔다. 국악이
대중
과 더 친숙해졌으면 하는 마음에서다. 평소 어머니가 좋아하던 시에 멜로디를 붙이고 친구의 목소리를 빌려 어머니의 생일선물로 노래를 선사하기도 했다. 임 양은 과학동아 송의 작사가로 참여하게 된 것에 ... ...
[Origin] 지구가 주사위 모양이라면?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호기심 차원에서는 충분히 연구할 만한 가치가 있다”면서 “특히 청소년과 일반
대중
에게 물리에 대한 흥미를 불러일으키기에 알맞은 소재”라고 밝혔다 ... ...
[DJ CHO의 롤링수톤] 마이클 잭슨의 ‘배드’ 눈으로 보는 음악
수학동아
l
2018년 04호
그저 미끄러지듯 뒤로 걷는 동작만 했지만, 이후 옆으로 가거나 회전하는 동작을 추가해
대중
에게 다양한 모습을 선보입니다. 스릴러 앨범이 나온 1980년대는 기술도 상당히 발달했던 시기입니다. 이것은 잭슨의 최고 전성 기를 이루는 발판을 만들어줍니다. 덕분에 몸을 30° 가량 기울이는 묘기에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