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전
홍보
삐라
프로파
프로퍼갠더
기사광고
기사
d라이브러리
"
광고
"(으)로 총 879건 검색되었습니다.
소음 잡는 알리바이 폰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휴대전화가 울린다.“자기, 어디야?”“나~? 아직 회사지~”LG 싸이언 ‘알리바이 폰’
광고
의 한 장면에서 주변 소음을 완벽히 없애는 휴대전화 덕분에 K씨는 여자친구를 감쪽같이 속인다.휴대전화 소음제거 기술은 지난해 실리콘밸리에서 유망 기술 13개 가운데 투자자에게 주목받는 기술 3위에 ... ...
자동차 타고 떠나는 물리 여행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최고한국 사람들은 차를 고를 때 유독 얼마나 조용한가를 따진다. 그래서 한 때 자동차
광고
들은 저마다 소음이 적다는 내용을 강조하기도 했다. 그런데 소음 없는 자동차는 어떻게 만들까?자동차 소음이나 진동은 모두 엔진에서 나온다. 소리란 공기의 압력 차이가 파동으로 퍼져나가는 현상이다. ... ...
넌센스! 오징어먹물 염색약
과학동아
l
2009년 01호
염색약도 나와 선풍적인 인기를 끌자 식품의약품안전청(이하 식약청)이 ‘허위과대
광고
’라며 공개경고를 하기에 이르렀다. 오징어 먹물의 실체는 무엇일까.머리카락 색소와 같은 멜라닌이 주성분두족류 생물들이 먹물주머니를 갖고 있는 이유는 위급할 때 연막전을 쓰기 위해서다. ... ...
진짜 VS 가짜 음모론의 과학적 해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21호
다른 과학자들에게 검증을 받아야 한다. 다른 과학자들의 검증을 회피하며 일반인에게만
광고
하는 사람은 사기꾼일 가능성이 높다.“드디어 완성이다~! 이 보고서만 있으면 앞으로 사람들이 허황된 음모론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을 거야!”음모론에 관한 완벽한 보고서를 만들었다는 생각에 뿌듯한 ... ...
있다? 없다? 별난 신종 생물을 찾아서 보너스 화보 2007년의 특이한 신종 생물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7호
이 식물은 독특한 모양 때문에 주목할 만한 신종 생물에 선정되었다. 바로 타이어 회사의
광고
캐릭터인 미쉐린맨과 모양이 비슷한 것. 얼마나 비슷하냐고? 직접 비교해 보시라~ ... ...
얍~! 특수 분장으로 체인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3호
비롯해 전시용 형상을 만드는 모든 입체 분장을 말한다구. 지금도 특수 분장은 영화나
광고
등에서 천의 얼굴을 만들어 내고 있단다. 특수 분장의 재구성에서 연예인들이 쓴 특수 분장용 마스크는 어떤 과정을 통해 만들어졌을까? 마스크만 보면 간단해 보이지만 사실 석고나 유성찰흙 등을 ... ...
손해인 줄 알면서 주식 파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년 12호
몰두하는 젊은 남성들이 스포츠카에 ‘미친다’는 것도 알게 됐다.이 연구는 스포츠카를
광고
할 때 자존심이 강하고 자기 일에 몰두하는 젊은 남성들에게 ‘자신감의 표현’이라는 컨셉으로 다가가면 효과적일 수 있다는 사실을 알려준다. 이처럼 어떤 고객을 대상으로 어떤 관점에서 홍보에 신경 ... ...
보톡스 대신할 LED?
과학동아
l
2008년 11호
이제 보톡스 대신 LED로 펴세요.”성형외과에 머지않아 이 같은
광고
가 등장할지도 모른다.독일 울름대 마이크로나노물질연구소 안드레 좀머 박사팀은 고휘도 발광다이오드(LED)가 피부 주름을 펴는 데 효과가 있다는 연구결과를 국제 학술지 ‘결정 성장과 설계’ 온라인판 9월 27일자에 발표했다 ... ...
“세균은 은나노를 싫어해~.”왜?
어린이과학동아
l
2008년 10호
화장품 등
광고
에서 은나노 입자를 이용하면 살균효과가 있다는 얘기, 많이 들어 봤죠? 최근 우리나라 연구팀이 은나노 입자가 왜 살균효과가 있는지를 밝혀 냈어요.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환경기술연구단 상병인 박사팀과 고려대학교 구만복 교수팀이 이끄는 공동연구팀은 DNA, 세포막, 단백질 ... ...
동시 발견과 우선권
과학동아
l
2008년 10호
이에 당황하는 아이 엄마 모습이 나오는데, 소비자에 대한 공감을 주된 기법으로 한
광고
인만큼 ‘처음’만을 중시하는 사회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예라 하겠다. 그러므로 과학자는 자신의 연구 성과에 대한 완벽한 표출을 위해서라도 ‘최초’란 이름을 달아야 한다. 물론 과학적 발견에 대한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