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개수"(으)로 총 1,328건 검색되었습니다.
                                            
                                                            
                                                             - [로보트 재권V] 로봇팔을 달까, 말까?과학동아                                        l2019년 03호
 
                            - 움직이는 방향의 수, 즉 하드웨어로 보면 구동기(주로 전기모터가 사용됩니다)의 개수를 말합니다. 공간은 6개의 방향(X, Y, Z 3개의 수직방향과 α, β, γ 3개의 회전방향)으로 이뤄져 있습니다. 3차원 공간에서 모든 곳에 닿을 수 있는 최소의 숫자가 6이거든요. 6개의 방향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 ...
                            
 
                        
                        
                                            
                                                            
                                                             - [알고리듬 시그널]가장 많이 쓰이는 클러스터링 알고리듬, κ-평균 클러스터링수학동아                                        l2019년 03호
 
                            - 프로그램이나 컴퓨터 언어를 다룰 줄 몰라도 쉽게 익힐 수 있거든요. 나누려는 집합의 개수 즉, 클러스터 수를 정하고 두 점 사이의 거리만 구할 수 있으면 돼요. 거리 구하는 법을 모른다면 위의 ‘두 점 사이의 거리’ 소개에서 방법을 익히고 직접 k-평균 클러스터링에 도전하세요! 그림을 따라 ... ...
                            
 
                        
                        
                                            
                                                            
                                                             - [수학체험실] 블록으로 만드는 프랙털 세상수학동아                                        l2019년 02호
 
                            -  프랙털은 전체 구조와 같은 모양의 작은 구조가 반복되며 전체 모양을 만드는 기하학적 형태를 말합니다. 브로콜리부터 유리에 생기는 성에까지 자연에서 쉽게 관찰 ... 을 서로 다른 색 블록으로 채우기 때문에 전체 개수에서 남는 부분을 빼는 방식으로 없어지는 부분의 개수를 구한다 ... ...
                            
 
                        
                        
                                            
                                                            
                                                             - [알고리듬 시그널] 완벽한 답을 찾기 어려울 땐 근사 알고리듬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문제’는 클러스터를 나누는 방법을 찾는 알고리듬이에요. 전체 점을 원하는 개수의 집합으로 나누고 집합마다 중심이 되는 점을 선택하는 문제죠. 다만 점을 선택할 때 가장 큰 집합의 지름이 최소가 되도록 점을 골라야 해요.  클러스터링 개념을 충분히 이해했다면 다음 시간에는 클러스터링 ... ...
                            
 
                        
                        
                                            
                                                            
                                                             - [수학뉴스] 머신러닝에도 괴델의 정리가?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연속체 가설이란 정수 집합보다 원소의 개수가 많고 실수 집합보다는 원소의 개수가 적은 집합은 없다는 추측입니다. 그런데 최근 아미르 예후다요프 이스라엘 테크니온공과대학교 수학과 교수팀은 ‘최대 추정’이라는 새로운 머신러닝 모형을 설계했는데, 이것이 불완전성 정리와 관련 있다는 ... ...
                            
 
                        
                        
                                            
                                                            
                                                             - 새로운 도형이 나타났다!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수학동아                                        l2019년 02호
 
                            - 뫼비우스 칼레이도사이클이냐고요? 연구팀은 새로운 칼레이도사이클에 사용하는 사면체 개수를 무한대로 늘리면 3번 꼬인 뫼비우스 띠가 나타나는 것을 우연히 발견했습니다. 의도한 것은 아니지만, 유닛을 연결하는 각도가 90°보다 작아지면서 자연스럽게 뫼비우스 띠처럼 꼬인 칼레이도사이클이 ... ...
                            
 
                        
                        
                                            
                                                            
                                                             - Part 3. 세기의 난제 ‘짐 쌓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상자에서 어떤 면을 바닥에 닿게 쌓는지는 무시한 경우의 수입니다. 그런데 상자의 개수를 10개로만 늘려도 경우의 수가 362만 8800가지(10!)로 걷잡을 수 없이 커져요. 보통 이사를 할 때 쓰는 박스는 적게 잡아도 10개가 넘으니까 풀기 어려운 NP 문제라고 볼 수 있겠죠? 이건호 숭실대학교 ... ...
                            
 
                        
                        
                                            
                                                            
                                                             - [서술형 완전정복] 수학의 기초 집합 이해하기수학동아                                        l2019년 02호
 
                            - 사건 또는 포함되지 않는 사건 두 가지로 나눕니다.② 곱의 법칙을 이용해 부분집합의 개수를 구합니다.● 서술형 문제 채점 기준아래 조건에 따라 부분적으로 채점합니다. 예를 들어 예제가 10점 만점인 문제라면① 각 원소를 조건에 따라 제대로 나누고, 곱의 법칙을 이용해 바르게 설명한 경우:  ... ...
                            
 
                        
                        
                                            
                                                            
                                                             - [과학뉴스] 우주 역사 137억 년간 별빛 총량은?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사이언스’ 2018년 11월 3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그간 우주에 방출된 광자의 개수를 모두 더하는 방식으로 별빛의 총량을 계산했다. 그중에서도 파장이 매우 짧고 고에너지를 지닌 감마선을 측정했다. 연구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페르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이 9년간 수집한 데이터를 ... ...
                            
 
                        
                        
                                            
                                                            
                                                             - [이달의 PICK] 한반도에서 자취 감춘 호랑이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9년 01호
 
                            - 종을 사이에 두고 분화했다). 또 고양잇과 동물은 서로 게놈 서열이 비슷하고 염색체 개수가 같아 교배도 가능하다.  국내 연구진이 호랑이 게놈 지도를 이용해 백호랑이, 사자, 설표범의 게놈 지도를 ‘리시퀀싱(한 종의 게놈 지도를 기준으로 유전적으로 가까운 다른 종의 게놈 지도를 간접적으로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