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감염"(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 2019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예측 어려운 신종 괴물의 출현과학동아 l2020년 07호
- 2019년 12월 8일 중국 후베이성 우한시에서 원인을 알 수 없는 폐렴 환자가 발생했다. 뒤이어 한 달만에 같은 증상을 보이는 폐렴 환자가 연달아 59명이 발생 ... WHO의 6월 14일자 코로나19 상황보고서(Situation Report)에 따르면 세계적으로 769만708명이 감염됐고, 이 가운데 42만7630명이 사망했다 ...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원리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돼있는 덕분에 기존 항암제가 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는 배가 된다.한 예로 2018년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소아마비 바이러스와 면역항암제인 ‘여보이’를 동시에 처방하면 ... ...
- 바이러스가 우주에서 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바이러스가 살고 있는지는 알지 못하지만, 달이나 화성으로 향하는 우주인이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을 염두에 두고 사전 예방이나 격리를 위한 연구는 계속 이뤄지고 있다.2019년 미국항공우주국(NASA)은 어린 시절 수두를 일으키거나 성인에게는 대상포진을 유발할 수 있는 수두대상포진바이러스 ... ...
- STEP ④ 새로운 바이러스 조립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않는다. 숙주세포는 끝까지 바이러스를 붙잡으려고 한다.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에 감염된 백혈구는 테더린(tetherin) 단백질을 분비하는데, 이 단백질은 세포 밖으로 빠져나가려는 바이러스를 붙잡는다. 면역세포가 도착할 때까지 잡아두는 것이다. 일단 바이러스가 숙주세포 탈출에서 성공하면 ... ...
- 수지상세포...바이러스 정체 알리는 전령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을 일으키는 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는 수지상세포의 여러 수용체와 결합해 인체를 감염시키는 것으로 확인됐다.현재는 단핵구가 수지상세포로 분화하도록 유도하는 등 질병치료를 목적으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단핵구는 골수의 줄기세포가 분화한 세포다. 단핵구에 세포 내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뒤, 두 그룹을 대장균에 감염시켜 박테리오파지를 복제했다.이들은 박테리오파지를 감염시킨 박테리아 현탁액을 원심분리했다. 그 결과 황 표지는 상층액에서, 인 표지는 박테리아 세포가 포함된 침전물에서 각각 발견됐다. 단백질은 박테리아 세포로 들어가지 않고 DNA만 세포 내로 침투해 새로운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병원체를 죽이는 형태로 변한다고 추측했지만, 보르데의 생각은 달랐다. 병원체에 감염된 동물로부터 얻어낸 면역 혈청은 저온 살균 처리 과정을 거쳤다. 루이 파스퇴르가 고안한 방법으로, 이 과정에서 병원체의 독성이 약해지고 부패를 막을 수 있었다. 보르데는 이때 혈청에서 열에 약한 특정 ...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콜레라균에 감염된 동물에서 뽑아낸 혈청은 콜레라균에만 방어력을 갖는다. 혈청 속 항체가 항원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었지만, 1900년대 중반까지도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기작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항원이 체내로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져왔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와 정상 세포를 구별하는 방법을 발견한 공로로 1996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했다.칭커나겔은 1996년 12월 10일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우리가 지금 (노벨상 시상식이 열리는) 스톡홀롬에 있을 ... ...
- Chapter 06. 백신┃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과학동아 l2020년 07호
- 감염병이 나타날 때마다 백신을 개발하기란 만만치 않은 일이다. 최근 50년간 등장한 감염병 중 백신이 개발된 경우는 에볼라 백신인 ‘어베보(Ervebo)’ 한 건에 불과한 현실이 하나의 방증이다. 에볼라는 전 세계에서 약 1만5000명의 사망자를 냈다.그럼에도 백신 개발을 멈출 수 없는 이유는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