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염
경구감염
경구
경귀
자가감염
자가
자가보험
d라이브러리
"
감염
"(으)로 총 1,685건 검색되었습니다.
2009년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주기적으로 유행하는 A형 인플루엔자바이러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세포에 붙도록 한다. NA 단백질은 증식된 바이러스가 다른 숙주세포로 옮겨갈 때 기존에
감염
된 숙주세포와 바이러스 입자 간의 결합을 끊어주는 역할을 한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유전정보를 RNA에 담아 놓은 RNA 바이러스다.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8개의 RNA 분절로 이뤄져있어 복제 시 재조합이 ... ...
코로나19 팩트체크┃사스 코로나바이러스-2의 변종 출현했나?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B계열은 아시아에서 온 계통이다. 그러나 현재까지 분석에 의하면 다수의 계통군은
감염
경로의 역학적 의미를 나타낼 뿐 변종을 의미하진 않는다. 계통상 멀더라도 본질적으로 같은 특성을 가진다는 뜻이다 ... ...
코로나19 팩트체크┃마늘 먹으면 예방 효과 있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했다. 과학적 근거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2009년 신종플루와 2012년 메르스 등 새로운
감염
병이 유행할 때마다 마늘과 바이러스 예방의 상관관계는 꾸준히 거론됐다. 코로나19도 예외는 아니다. 그러나 세계보건기구(WHO)는 “마늘은 향균 효과가 있는 좋은 음식”이라면서도 “마늘이 ... ...
좋은 바이러스도 있을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원리다. 항암 바이러스로 인해 세포가 사멸할 뿐만 아니라 암세포가 항암 바이러스에
감염
돼있는 덕분에 기존 항암제가 이를 더 잘 인식할 수 있어 치료 효과는 배가 된다.한 예로 2018년 미국임상종양학회에서 미국 듀크대 연구팀은 소아마비 바이러스와 면역항암제인 ‘여보이’를 동시에 처방하면 ... ...
STEP ① 숙주세포 탐색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사이토카인 폭풍(cytokine storm)이 일어나지도 않는다. 생물의 면역반응은 바이러스의
감염
을 막아내는 역할을 하지만, 면역 신호 물질인 사이토카인이 과다하게 분비되면 정상세포까지 공격하는 사이토카인 폭풍이 일어나 스스로 위험해질 수 있다. 현재까지 박쥐의 몸속에는 최대 200종의 ... ...
STEP ⑤ 바이러스 전파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택배 상자 같은 종이 박스에서는 24시간이 걸렸다.바이러스가 살아있는 시간을 단축해
감염
예방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구리 표면에서도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양이 절반이 되기까지는 4시간이 걸렸다 ... ...
1954년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배양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고안해낸 조직배양 방법을 응용한 것이었다.연구팀은 이 세포에 멈프스바이러스가
감염
된 소의 혈청을 주입한 뒤 멈프스바이러스의 당단백질 중 하나인 헤마글루티닌의 양을 측정했다. 측정 결과, 시험관의 헤마글루티닌 양은 뚜렷하게 증가했다. 바이러스를 시험관에서 증식시키는 데 성공한 ... ...
1908년 혈청 치료법을 완성하고 포식 이론을 발표하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죽은 병원체를 처리하는 청소부일 뿐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메치니코프가 콜레라균에
감염
된 기니피그 복강에서 식세포와 살아있는 균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습을 보여주면서 그의 이론은 학계에서 인정을 받게 됐다. 메치니코프는 1908년 12월 열린 노벨상 수상 기념 연설에서 “모든 학자가 ... ...
1972년 항체의 구조, Y를 알아내다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콜레라균에
감염
된 동물에서 뽑아낸 혈청은 콜레라균에만 방어력을 갖는다. 혈청 속 항체가 항원 특이성을 갖기 때문이다. 이는 수많은 실험과 연구를 통해 검증된 사실이었지만, 1900년대 중반까지도 항체가 항원과 결합하는 기작은 비밀에 싸여 있었다. 당시 과학자들 사이에서는 항원이 체내로 ... ...
단백질 백신_B형 간염 백신 Hepatitis B vaccine
과학동아
l
2020년 07호
다른 단백질 백신만큼 신뢰할 수 있다. 단백질 백신은 최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증(코로나19)의 원인인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와 같은 새로운 바이러스가 등장했을 때 주목을 받는다. 백신 개발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부작용 탐색 과정이 세포전체 백신에 비해 간단해 개발 기간이 짧기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