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고뿔
풍
한질
유행성감기
유행성
물레 돌리기
cranking the reel
d라이브러리
"
감기
"(으)로 총 450건 검색되었습니다.
오진, 불가항력인가?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해서 오진이라고 말할 수는 없다는 뜻이다.실례로 진단당시에는
감기
였으나 환자자신이
감기
치료를 소홀히 해서 며칠후 급성폐렴으로 이행된 경우, 처음부터 폐렴진단을 내리지 않았다고 해서 이것을 오진으로 간주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다. 또 시험개복(試驗開腹)과 같이 일종의 진단적 의미를 ... ...
시리우스가 간직한 두가지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열의가 있다면 말이다. 하지만 만용은 금물! 두꺼운 옷을 입고 목도리를 걸쳐야 한다.
감기
라도 걸린다면 그 감동은 아픈 추억으로 퇴색해 버릴 수도 있기 때문이다. 가장 외로운 별자리긴 겨울밤 동안 밤하늘은 전하늘에서 가장 밝은 별 시리우스(Sirius)에 의해 압도되고 있다. 남쪽하늘 외로이 ... ...
오래씹어도 단맛 잃지 않는 껌 등장
과학동아
l
1992년 02호
안심하고 일상생활을 할 수 있고 '식후 3회'라는 번거로운 약 복용지침을 지키지 않아도
감기
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1986년에 문을 연 컬럼비아연구소는 위스콘신주에 위치하고 있으나 플로리다주에 본사를 둔 한 제약회사의 재정지원을 받는 일종의 기업연구소다. 개소 당시 이 연구소의 개발담당 ... ...
91년 국내 화제의 발명품 총집합
과학동아
l
1991년 12호
시간이 걸렸던 단점을 보완했다.따라서 이 제품은 8비트(bit)짜리 컴퓨터를 내장, 정지 되
감기
재생기능이 동시에 이뤄지도록 했다.또 카세트테이프의 내용중 반복해서 듣기를 원하는 구간을 설정, 필요한 횟수만큼 자동반복해 들을 수 있도록 했다. 아울러 응답을 해야만 작동되는 기능을 부가해 1대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컴퓨터 바이러스의 또다른 특징중의 하나는 면역성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가령
감기
는 평생에 걸쳐 여러번 걸리지만 홍역 같은 것은 한 번밖에 걸리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예방주사를 맞음으로써 면역성을 가질 수 있다. 컴퓨터 바이러스도 마찬가지다.어떤 바이러스는 한번 걸리면(바이러스 ... ...
영계백숙과 개장국은 건강의 담보물인가?
과학동아
l
1991년 11호
그랬더니 23%의 환자는 효과가 있었다고 말했고, 32%는 상태가 좋아진 것 같다고 얘기했다.
감기
환자의 절반 이상에게 효과를 보인 것이다. 반대로 더 나빠졌다고 불평을 터뜨린 환자는 18%에 불과했다고 한다.요컨대 위약 그 자체는 약리학적으로 전혀 효력이 없지만 "이것을 먹으면 곧 낫는다"는 ... ...
더 빠르게 더 강력하게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하는 동안 뒷사람도 연이어 어떤 서비스를 받게 된다. 모든 손님이 줄줄이 이발-면도-머리
감기
단계를 거쳐가므로 보다 빠르고, 이발소의 관점에서는 쉬는 사람없이 일하므로 보다 효율적이 된다. 이것이 파이프라인방식의 기본원리다. 이에 비해 벡터처리는 아예 이발의자와 세면대를 몇개 더 ... ...
여름휴가를 차안에서 망치지 않으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감기
약을 복용한 병사만이 배멀미를 거의 하지 않았는데 이것이 실마리가 되었다. 즉
감기
로 인해 혹은 스트렙토마이신 등 약물의 부작용때문에 전정기능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는 멀미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아낸 것이다. 이 발견은 얼마 뒤 멀미약의 탄생으로 이어지게 된다.멀미의 ... ...
돈없이 사장되는 지름길 보통머리로 발명왕이 되려면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되었다.주말이면 어김없이 등산 또는 낚시를 즐기는 임씨는 야영을 하는 도중 비를 만나
감기
에 걸려 병원신세를 진 적이 한두번이 아니었다. 그래서 그는 야영 때마다 따뜻한 담요가 있었으면 하고 생각했다. 이것이 야외용 스팀담요를 발명하게 된 계기다.버너 하나로 장시간 온돌방의 기분을 ... ...
잘못 알고 있는 「코피상식」많다
과학동아
l
1991년 04호
손가락이나 장난감같은 이물질이 코에 상처를 냄으로써 일어나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감기
를 비롯한 호흡기감염도 어린이에게 쉬 코피를 유발한다. 노인은 노화로 인해 대개 코혈관벽이 헐어 있다. 여기에 담배연기와 환경오염물질 같은 자극물질이 축적돼 있기 때문에 쉽게 코피가 난다.코피가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