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방
마음
젖
젖가슴
흉곽
앞가슴
중흉
d라이브러리
"
가슴
"(으)로 총 1,546건 검색되었습니다.
[2030 인류, 화성에 가다] 화성 올림픽 폐막 파티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얇고 활동성이 뛰어나다. 파티의 꽃 우주 음식축제는 순식간에 막을 내렸다. 그러나
가슴
한편에 자리 잡은 이 벅찬 감동은 앞으로도 계속 될 것이다. 4년 뒤 다음 올림픽이 벌써부터 기다려진다. 폐막 파티는 바로 이런 아쉬움을 달래고, 그간의 노고를 자축하기 위해 열렸다. 비좁은 실내에서 ... ...
뇌과학으로 해결하자! 굿바이 학교폭력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오랜 시간 동안 경험을 쌓으면서 계속 발달한다.3 남성호르몬이 급격히 분비사춘기에는
가슴
이 커지거나 음모가 발달하는 ‘2차성징’이 나타난다. 성호르몬이 급격하게 나오기 시작하기 때문이다. 특히 남자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급격하게 분비된다. 우리 반 남자애들이 ... ...
공룡의 역사 흔들 대발견을 꿈꾸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년 전의 땅을 밟고 파내다 보니 땅 속에 웅크린 공룡의 모습이 하나둘 보이기 시작했다.
가슴
뛰었던 여정을 소개한다.처음엔 잘 눈에 띄지 않았다. 손가락 마디 두 개 정도 되는 크기에 짙은 갈색을 띤 얇은 돌 하나가, 주위에 흩어진 다른 사암 조각처럼 땅에 비죽 솟아 있었다. 하지만 주워보니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40m가 훤히 보이는 거예요. 무척 깨끗해서 이런 바다에 들어온 것만도 행복하다는 생각에
가슴
이 벅찼죠.”독도 바다에서도 가장 아름다운 곳으로 꼽히는 곳이 앞서 말한 독립문바위의 ‘천국의 문’이다. 골목길을 걷는다고 표현했지만 실제로는 잠수복을 입고 골목길 바로 위를 유영하며 남쪽으로 ... ...
INTRO. 110km에서 슈퍼맨처럼 날아오르다
과학동아
l
2014년 09호
천천히 우주공항으로 활강해 내려왔다. 2시간에 걸친 짧은 여행이 끝났다. 지금 내 왼쪽
가슴
에는 ‘민간 우주인 뱃지(Commercial Astronaut Wings)’가 달려있다. 직접 우주선을 조종한 것은 아니지만, 대기 밖을 다녀온 전 인류의 0.00001%도 되지 않는 사람 중 하나임을 증명하는 것이다. 이제 나는 ... ...
우주 로또? 우주 타임캡슐! 운석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과연 진짜 운석인지 감정을 의뢰하기 위해서지요. 어과동 편집부 기자들은 모두 떨리는
가슴
을 부여잡고 운석 감정 결과가 나올 때까지 기다렸답니다. 그리고 그 결과…!운석에는 돈보다 중요한 가치가 있다!지금도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의 많은 과학자들이 운석을 찾고 연구하는 데 힘을 쏟고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과학자들은 파르반코르니아 또는 이와 비슷한 동물이 머리와 꼬리의 골격을 분리하고
가슴
마디를 추가하면서 눈을 발달시켜 삼엽충으로 진화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멸종 두 번 견딘 놀라운 생존력과 눈날지 못하는 공룡들은 약 6500만 년 전 중생대 백악기 말 대멸종 시기에 지구상에서 사라졌다. ... ...
[시사] 수학의 고수, 수학자를 꿈꾸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해석학 관련 강연은 꼭 참여할 생각입니다.”수학자들의 자리에 함께하는 것만으로도
가슴
벅찬다는 박종호 군을 세계수학자대회에서 수학자로 만날 날이 멀지 않은 것 같다.수학계의 작은 보석을 만들고 싶어요. 백진언 학생에게 수학이란?수학은 ‘삶의 방식’이다! 수학적 진리를 향해 탐구하는 ... ...
양자컴퓨터 최강자는 누구?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바로 옆에서 본 고수의 이야기는, 수십 년이 지난 지금도 듣는 사람은 물론 노인의
가슴
까지 두근거리게 만든다. 지금 양자컴퓨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을 바라보는 기자가 나중에 그런 심정을 느끼지 않을까. 역사가 바로 그곳에서 만들어지고 있으니까 말이다.양자컴퓨터는 양자역학의 성질을 ... ...
[이석영 연세대 교수] "우리 모두는 별에서 온 그대"
과학동아
l
2014년 07호
때 학교에 있는 망원경으로 서울 한복판에서 토성 고리를 봤을 때예요. 얼마나 신비하고
가슴
이 뛰던지…. 별은 단 10개를 봐도 좋은 경험을 했다면 충분한 거예요.”미국 예일대에서 박사 학위를 받은 이석영 교수는 미국 항공우주국(NASA), 캘리포니아공대(칼텍), 영국 옥스퍼드대 등 천문학에서는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