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로"(으)로 총 1,507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2D 어드벤처] 클라인 병이 사각형?수학동아 l2018년 05호
- 그래서 클라인 병을 원환면을 비튼 거라고 말하지요. 이제 이 위를 걸어 볼게요. 가로로는 언제나 똑바로 걷게 돼 있어요. 그런데 왼쪽 변과 만나면 오른쪽 변으로 나오고 오른쪽 변과 만나면 왼쪽 변으로 나와요. 세로로는 항상 대각선으로 걷게 돼요. 윗변으로 들어가면 마주보는 대각선 ... ...
- [과학뉴스] 작은 새우가 해류를 바꾼다과학동아 l2018년 05호
- 어떻게 변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형 수조를 제작했다. 존 다비리 기계공학과 교수팀은 가로 세로 길이가 각각 1.2m, 2m인 수조를 만들어 바닷물로 채웠다. 그리고 소금새우(Artemia salina)를 넣고 이들의 움직임을 조사했다. 새우에게 빛을 쪼여 움직이도록 자극한 뒤, 새우의 움직임에 따라 수조 속 ... ...
- Part 3. 우주에서 날아온 유성체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04호
- 10년간 약 940개의 운석을 찾아 세계 5위의 남극 운석 보유국이 됐답니다. 지난 2014년에는 가로세로 각 21cm, 높이 18cm, 무게 11kg에 달하는 대형 운석을 발견하기도 했지요. 이 운석은 태양계 생성 과정의 초기 물질들을 포함하고 있는 ‘카보네이셔스 콘드라이트’로, 태양계 생성 과정을 알아내는 ... ...
- [Future] DNA에 사진 담고 원자에 영화 담는 차세대 메모리과학동아 l2018년 04호
- 여지가 많다(There’s Plenty of Room at the Bottom)’의 내용을 원자에 입력했다. 이렇게 하면 가로, 세로 6.5cm 크기의 정사각형 칩에 500TB(테라바이트·1TB는 1조 바이트)의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국내에서도 원자를 활용한 메모리 연구가 한창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홀뮴 원자의 . ...
- 동해광희중학교 ‘수학자의 꿈’수학동아 l2018년 04호
- 마방진 만들기에 몰두하곤 했다. 1부터 625까지의 수를 가로, 세로, 대각선의 합이 같게 가로세로가 25칸인 표에 수를 적는 마방진에 도전한 것이다. 그런데 300칸 정도를 채웠을 때 문제가 생겼다. 마방진이 되지 않아 검산해보니 초반에 틀리고 말았다. 두 학생은 결국 마방진을 완성하지 못했지만, ... ...
- 놓고, 밀고, 넘어라! 9명의 모리스수학동아 l2018년 04호
- 위의 첫 번째 그림처럼 점이 9개인 판에서 게임을 합니다. 9명의 모리스와 다른 점은 가로세로뿐 아니라 대각선 방향으로도 밀을 만들 수 있다는 거예요. 3명의 모리스는 말을 모두 놓아도 밀을 만들지 못할 때가 많은데, 그럴 때는 앞서 소개한 밀기, 뛰어넘기 중 하나를 선택해 승부를 가리면 됩니다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내 자리는 어디에!? 15 퍼즐수학동아 l2018년 03호
- 않았어요. 1986년 미국의 컴퓨터 과학자인 다니엘 라트너와 맨프레드 바르무트는 가로세로가 각각 n개 타일로 이뤄진 n2-1 퍼즐에서 가장 적은 수의 타일만 옮겨서 표준 배열을 만드는 방법을 찾는 문제가 NP-하드★에 속한다는 사실을 밝혔지요. NP-하드★ 문제를 푸는 알고리듬의 복잡도가 비슷한 ... ...
- 오일러를 앞선 최석정수학동아 l2018년 03호
- 그 유명한 ‘직교라틴방진’이 담겨있습니다. 직교라틴방진을 담은 최초의 문헌, 구수략가로세로 개수가 n개인 빈 칸에 n개의 서로 다른 숫자나 그림이 어느 행이나 열에도 한 번씩만 나오게 배열한 것을 ‘라틴방진’이라 합니다. 이런 라틴방진 2개를 합쳐 놓았을 때도 라틴방진이 된다면 이를 ... ...
- [Origin] 비브라늄으로 무장한 슈퍼히어로, 블랙팬서과학동아 l2018년 03호
- 가공해 메타물질을 만들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평면렌즈 표면에 배열해서 가로세로 1mm인 정사각형 모양의 ‘메타표면’을 만들었다. 이 메타표면은 가시광선을 휘어지게 만들어 뒤에 있는 물체를 보이지 않게 할 뿐 아니라 홀로그램을 만드는 데 활용할 수 있다. 연구팀은 이 메타물질을 ... ...
- [DGIST] 생체신호만 포착 세계 최고의 전자칩과학동아 l2018년 03호
- 여러 신호를 동시에 읽어도 정밀도가 떨어지지 않았다.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칩은 가로 2.3mm, 세로 1mm로 면적이 약 2.3mm2에 불과하다. 엄지손톱의 50분의 1쯤 된다. 이 교수는 “앞으로 크기와 발열량을 더 줄여서 인체에 무해하게 삽입할 수 있는 수준으로 만들 계획”이라고 말했다 ... ...
이전36373839404142434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