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침윤
삼출
관통
침탄
침입
삼투
잠입
d라이브러리
"
침투
"(으)로 총 578건 검색되었습니다.
1. 당신의 정보는 안녕하십니까
과학동아
l
199606
자신이 쉽게 감춰진다. 이 때문에 책상 위 컴퓨터 앞에 앉은 해커에게는 세계 컴퓨터망에
침투
하는 것이 컴퓨터 한 대를 다루는 것처럼 쉽게 느껴진다. 그래서 이들은 자신의 행위가 발각된 뒤 "그냥 호기심으로 해봤다"는 어처구니없는 말이 전부다.지난 87년초부터 88년 7월까지 독일 하노버의 ... ...
2. 해커로부터 온 편지
과학동아
l
199606
것은 기본이고, 걸프전 때는 각기 미국이며 이라크를 편드는 사람들이 상대방 전산망에
침투
해서 미사일 발사 소프트웨어를 망가뜨리기도 했어요. 지금은 기업간의 전쟁에 동원되는 친구들도 있지요.신문에 안나서 그렇지, 기업들 간의 해커 전쟁은 급격히 확전되는 분위기입니다. 오죽하면 일부 ... ...
식물도 동반자살한다
과학동아
l
199606
과산화수소(H₂O₂)를 방출, 주변 세포에 신호를 보낸다. 이때 주변 세포는 이 물질의
침투
에 대비해 세포벽을 단단하게 만들고 항생물질을 만들기 시작한다.그러나 미국 캘리포니아주의 한 생물연구소에 근무하는 램박사는 콩의 생리를 관찰한 결과 이 신호가 또다른 효과를 일으킨다고 주장했다. ... ...
뇌 필름 끊기는 이유
과학동아
l
199606
면역세포(T 임파구)의 20% 정도가 활성화돼 있는 것이 정상인데, 오염물질이 몸에
침투
해 항상 80-90%까지 활성화된다"고 설명한다. 특별한 병원균이 몸에 침입한 것도 아닌데 면역 기능이 최대로 가동되고 있는 것이다. 이때 염증을 만드는 물질인 싸이토카인(cytokine)이 면역세포에서 대량으로 ... ...
4. KAIST 해커 구속 사건이 남긴 이야기 "배우면 써보고 싶은 게 사람심리"
과학동아
l
199606
빠져나오려 하는 과정에서 생긴 우발적 행위라는 것이다. 또한 이화여대의 경우는 불법
침투
가 아니고, 당당히 정식 절차를 거쳐 시스템 보안 점검을 해주는 대가로 시스템관리자의 권한을 획득한 것이라고 주장한다."변명의 여지 없다"KAIST내에는 현재 KUS와 SPARCS 외에도 HUG, PROCESS 등 6-7개의 전산 ... ...
3. 의약품 '붙이는 약' 전성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603
변화시키는 물질을 총칭하는 것으로, 그 성질과 용도에 따라 유화제 가용화제 습윤제
침투
제 세정제 기포제 등으로 부른다. 의약품의 유용성을 보다 높게 발휘하기 위한 보조 첨가제로서 계면활성제는 필수품이다. 가슴에 붙이는 심장약의약품에서 계면활성제는 유화기능을 목적으로 가장 많이 ... ...
2차 세계대전의 승패를 좌우한 최초의 항생물질 페니실린
과학동아
l
199601
다르게 백혈구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는 것을 알아냈으나, 페니실린은 상처부위까지
침투
하지는 못했다. 토끼에게 주사후 혈액을 확인한 결과 너무 빠르게 항균력이 소실돼 버렸다. 이것은 현대과학적으로 판단하면 그리 치명적 문제는 아니였으나 당시 플레밍의 지식으로는 낙심할 만했다.1929년 1월 ... ...
컴퓨터 바이러스 응급처치
과학동아
l
199510
페르시아만에서 전쟁중일 때 미국은 이라크의 공군사령부에 컴퓨터 바이러스를
침투
시켜 한때 이라크의 레이더망을 무력화시킨 적이 있었다. 또 중국의 이붕 바이러스는 컴퓨터 스위치를 올리면 바로 화면에 '이붕이 퇴진해야 합니까?'라는 질문을 던지는데 Yes라고 답하지 않으면 컴퓨터를 제대로 ... ...
6 DNA 컴퓨터 시대 곧 온다
과학동아
l
199509
그 실험을 하는데 넉달이 걸린다.물론 그레이엄 박사가 지적한 대로 과학자들이 DES에
침투
한다 하더라도 암호화 체계를 사용하는 은행이나 정부기관은 그보다 몇 발짝 앞서 나갈 수 있다. 메시지를 DES로 암호화한 후 두번째 DES 열쇠로 암호를 다시 암호화하고 이를 세번째 열쇠로 다시 암호화하면 ... ...
페스트, 왜 지상에서 사라졌나
과학동아
l
199507
시발을 아프리카 원숭이의 전염병으로 보며 우연한 기회에 그 주변 원주민에 바이러스가
침투
하면서 에이즈와 인간이 서로 악연을 맺게 됐다는 것이다. 그래서 일부 학자들은 에이즈를 이 아프리카 원주민과 처음으로 동진화를 시작한 바이러스 질병으로 간주하고 있다. 실제로 중앙 아프리카의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