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예술
아트
장식미술
장식
데코레이션
데코레이숀
회화
d라이브러리
"
미술
"(으)로 총 587건 검색되었습니다.
세계 최고 볍씨 발굴 이융조
과학동아
l
200402
가장 오래된 볍씨를 발견했다”고 인터넷판에 보도했다. 이 특종의 주인공은 충북대 고고
미술
사학과의 이융조 교수(62). 이융조 교수는 세계적인 구석기 전문 고고학자다. 그가 발굴한 유물은 우리나라는 물론 아시아와 세계를 놀라게 한 굵직굵직한 것들이다 1976-1983년 충북 청원 두루봉의 ... ...
자크루즈리의 해양건축 세계
과학동아
l
200312
자신만의 독특한 건축 세계를 구축해 왔다. 1969년 파리고등
미술
학교를 나온 그는 전문
미술
학교와 제8대학, 국립해양연구소를 거치면서 해양건축에 기초가 되는 전 과정들을 두루 섭렵했다.1977년 첫작품인 6인승 해중 탐사선 갈라떼를 시작으로 아쿠아스코프, 히포깜프 등 교육과 놀이, 거주가 가능한 ... ...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볍씨, 충북에서 발견
과학동아
l
200312
때문이다. 1997년 충북 청원군 소로리의 후기구석기 유적을 발굴하던 충북대 고고
미술
사학과 이융조 교수팀은 토탄층에 박혀있는 탄화된 볍씨 12개를 찾아냈다. 발굴이 끝나고 연대측정 전문기관인 미국의 지오크론랩에 측정을 의뢰했던 이 교수는 놀라운 결과를 받았다. 이들이 1만5천여년전에 묻힌 ... ...
2 진품 그림 한장으로 가짜 두장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10
오차가 발생해도 연대 측정에 별 문제가 없지만 2백년이 채 되지 않은 근현대 문화재나
미술
품은 오차 범위 안에 있어 의미가 없다.설령 오차 범위를 벗어나 어느 문화재의 연대를 확인할 수 있다고 해도 그것을 진짜라고 단정지을 수도 없다. 재료가 옛날 것이라고 해서 그 유물 자체가 옛날에 ... ...
태양빛 이용해 나서는 달 탐사
과학동아
l
200309
귀국하여 초상화가가 되었다내셔널 디자인 아카데미의 초대 교장과 뉴욕 대학의
미술
교수를 역임했다 사문암지대에 한해서 생육하는 식물 사문암의 화학적·물리적 특성을 반영하는 사문암지대에는 특수한 식물이 생육하며 여기서 말하는 사문암이란 변질된 초염기성암 외에 감람암 등의 ... ...
주인 바뀐 렘브란트 작품 속 얼굴
과학동아
l
200309
작품들이 국내에 선을 보였습니다. 개막 첫 주말 1만6천여명의 인파가 몰려 덕수궁
미술
관 개장 사상 첫3일 최고 관람객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거장의 그림을 맨눈으로 직접 볼 드문 기회이니 당연한 결과겠지요.사실 이번에는 렘브란트의 작품들이 그리 많이 오지는 못했다고 합니다. 개인적으로는 ... ...
저작권 지키는 숨은 파수꾼 워터마킹
과학동아
l
200309
사장 때문에 정말로 화가 났다. 며칠 전 사장이 그에게 컴퓨터 디스켓을 건네면서,
미술
품 느낌이 나는 새로운 스타일의 디지털 캘린더를 디자인하는데 디스켓에 있는 사진들을 사용하라고 말했다.디스켓 내용을 확인한 마크씨는 경악하지 않을 수 없었다. 파일 안에 담겨 있는 사진들은 평소 그가 ... ...
머리카락 한올로 범인 나이 알아낸다
과학동아
l
200307
1백년이 지난 지금 점점 더 날렵하고 용의주도한 도둑들이 튼튼한 보안망을 뚫고 값비싼
미술
품이나 보석, 현금 등을 훔치러 오늘도 담을 넘고 있지만, 그들이 떨어뜨리는 한올의 머리카락이나 발자국 하나, 지문 하나는 형사들에게 결정적인 단서가 된다. 한올의 모발도 남기지 않겠다고 자신하지 ... ...
빛 속에 숨은 여러가지 색깔 찾기
과학동아
l
200307
색깔로 분산되는 스펙트럼을 볼 수 있는 분광기를 만들어보자.슬기 : 나한테 오늘
미술
시간에 썼던 도구들이 좀 있긴 한데…. 정말 우리가 이 문을 열 수 있을까?어드벤처 1 휴지심 분광기■ 왜 그럴까?!▶▶▶ 빛이 왜 여러가지 색으로 나눠져 보일까?빛에는 여러가지 색깔이 혼합돼 있다. 빛은 각 ... ...
13일 밤 고흐의 보름달 떠오른다
과학동아
l
200307
작품에는 유달리 별과 달, 해가 자주 등장한다는 사실입니다. 그래서 고흐의 작품은
미술
애호가뿐만 아니라 천문학자들로부터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그런 천문학자 가운데 그림 속의 별과 달이 언제 떠오른 것인지 찾아나선 사람도 있습니다. 미국 사우스웨스트 텍사스 주립대의 도널드 올슨 ... ...
이전
36
37
38
39
40
41
42
43
4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