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한국"(으)로 총 9,740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직 근육의 힘으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10여 분을 달리자, 멀리 불빛을 반짝이는 거대한 비행선이 눈에 띄었다. 대회가 열리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항공센터였다. 대회 13시간 전. 마지막으로 자신들의 항공기를 시험해 보려는 참가자들이 분주했다.아뿔사, 오른쪽 날개만 2개네기자가 도착했을 때, 한 팀이 시험 비행을 하려고 막 ... ...
- 전자책 부록_소문난 名品학과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떠오르는 곳이 드물기 때문으로 생각된다.교육의 소비자인 대학생들에게 먼저 물었다. 한국공학한림원 차세대 리더 및 차세대 지식재산리더로 선정된 학생 60명의 도움을 받아, 학부 교육에 필요한 요건 9가지를 추렸다.그리고 대학생 60명과 약 20명의 교수들에게 분야별로 학과를 추천해달라고 ... ...
- 전자오락을 열심히 하다가, IT 전문가가 됐어요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과정에 입학했습니다. 1년짜리 주말 과정이었는데, 전 과정이 영어로 진행됐습니다. 한국인 교수님이 반, 미국 교수님이 절반이었습니다.” 그는 대학원에 다니면서 경영학과 영어 두 마리 토기를 모두 잡았다. 그는 “영어로 수업을 하다보니 영어 실력이 늘게 됐고, 아주 깊은 지식은 아니지만 ... ...
- 과학기술자가 창업하는 나라를 위해 (천종식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 생명과학 벤처 ‘천랩’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게 많았고 세계적으로도 알려져 있었는데 전공을 바꾸려니 당연히 망설여지죠. 그 무렵 한국에 오는 비행기 안에서 미국의 생명과학자 크레이그 벤터의 자서전을 읽었는데, 크게 와닿는 부분이 있더군요. 벤터도 원래 인슐린을 연구하던 생화학자였는데 생명정보학으로 방향을 틀었어요. 그 때 ... ...
- 수리온 하늘에 띄웠다. 다음은 민간 항공기다 (이대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차세대중형항공기 사업단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투자해 개발하면 되겠지만, 마케팅 차원에서 꼭 협력이 필요하다고 했다. 지금까지 한국산 비행기를 만들어 본 적이 없는 ‘메이드 인 코리아’ 비행기의 판로 확보가 문제다. 또 비행기란 세계를 날아다니는 물건이다 보니 국가별로 서비스 망을 갖추는 것도 필요하다. 결국 초창기 사업은 외국과의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부인과 함께 ‘부부과학자’ 생활 시작이 센터장은 귀국과 동시에 지금은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으로 바뀐 ‘에너지기술연구소’에 취업했다. 이 센터장은 서울 출신으로 대전 역시 그에겐 타향이었다. 주변에 아무런 지인도 없는 상황이었다. 처음 1년에는 외롭게 혼자 연구소와 집을 오고가는 ... ...
- 금융 IT 산업, 새 시대를 열다! (유시완 하나은행 정보전략본부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되라!” 금융 보안 전문가, 융합형 인재의 시대를 논하다 1990년 하나은행 전신인 한국투자금융에 입사한 유 본부장은, 20여 년 동안 하나금융그룹에서 여러 자리를 거치며 주요 직책을 담당해왔다. 그중 지난 3년간은 하나은행의 계열사 하나아이앤에스에서 그룹 IT 서비스 업무를 총괄 담당하며, ... ...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동물의 행동과 초음파의 형태나 주파수 같은 정보를 기록하기도 한다. 박쥐 연구자인 한국교원대학교 생물교육과 박시룡 교수는 “초음파 탐지 기록 자료가 많아지면 초음파 정보만으로 당시 박쥐가 어떤 행동을 했는지 알 수 있다”라고 말한다.동물언어 응용기술동물언어, 미래 기술을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10개의 풍선 위치를 정확히 알아내는 데 성공했다. 도대체 MIT 팀은 어떻게 9시간 만에 한국보다 약 100배나 넓은 미국 구석구석에 숨겨진 10개의 풍선을 찾아낼 수 있었을까?MIT 팀이 밝힌 비결은 바로 간단한 고등학교 수준의 수학 계산과 소셜 네트워크를 활용한 ‘상금 가지치기’ 방법이었다. 이 ... ...
- 노화 정복 꿈을 실현한다 (박종화 테라젠이텍스 연구소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결과는 실패였다. 또 영국 케임브리지에서 박사 학위를 할 때 창업하고 실패했다. 한국에 와서도 창업한 경험이 있다. 모두 생명정보 관련 기업이었다. 하지만 번번이 실패했으며 현재 테라젠이텍스 게놈사업부도 상황이 그리 여의치는 않다. 과연 박 소장이 보는 창업 실패의 원인은 무엇일까.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