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협회
공학
연구실
대학
학회
사회정책연구소
사회
d라이브러리
"
연구소
"(으)로 총 6,837건 검색되었습니다.
에이버리의 유전물질 DNA 확인실험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연구에 깊은 인상을 받아 자신의
연구소
폐렴연구팀에 초청했다. 이후 록펠러의학
연구소
연구실에서 알폰스 도체스. 콜린 매클라우드, 매클린 매카티 등과 협력해 탁월한 연구 서와를 내놓았다. 미국면역혁합회, 미국병리학 및 세균학협회, 미국세균학회장을 역임했다. 미국과학아카데미와 런던 ... ...
오른발보다 왼발이 더 길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들어 발에 변형을 가져오고 관절에 고통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연세대 의류과학
연구소
의 조사에 따르면 20대는 아직도 신발을 살 때 편안함(43.3%)보다 디자인(54.2%)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 ...
입시 벗어나 논문 쓰는 고등학생들
과학동아
l
2005년 12호
이제 어엿한 과학도를 길러내며 주목받고 있다. ‘첨단 연구 장비를 갖춘 대학
연구소
같은 고등학교’의 독특한 영재교육 시스템을 소개한다. 오전 11시. 여느 학교라면 한창 수업 중이어야 할 시간에 교정 곳곳을 거니는 학생들이 눈에 띈다. 손에 노트를 들고 어디론가 걸어가는 학생과 외국인 ... ...
3. 거대한 별의 인큐베이터 옆에서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졸업한 노 박사는 미국 메릴랜드대에서 석ㆍ박사학위를 받은 뒤 프랑스 파리 원자에너지
연구소
에서 박사후 과정을 밟았다. 물론 처음부터 그녀가 적외선 연구에 관심을 가졌던 것은 아니다. 천문연구자라면 가질 법한 수준의 관심정도였다고 그녀는 말한다. 당시 그녀의 전공이자 관심은 초신성 ... ...
에너지 독립국가 건설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것을 못 참는 성격이다. ‘현역 활동’을 떠난 지금도 예전처럼 오전 7시 30분까지
연구소
에 출근한다. 불과 100년 전에는 인간의 행동반경이 기껏해야 100km 안팎이었지만 지금은 지구 전체가 일일생활권에 들어있다. 조금이라도 시간을 낭비하면 이 경쟁사회에서 낙오하고 만다는 생각 때문에 그는 ... ...
잃어버린 나를 다시 찾는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뇌 안에 운동보조 칩을 삽입하시겠습니까?” 담당의사가 그에게 물었다. 그는 지난 2025년 암벽을 등반하다가 추락해 목 아래가 마비됐다. 이런 경우 운동중추에 미세전극이 집적된 칩을 이식하는 수술이 이미 일반화돼 있다는 것을 그도 알고 있었다.“어떤 옵션을 택하시겠습니까?” 의사가 다시 ... ...
파푸아 언어의 비밀 풀렸다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계통도를 그리는 기존 방법으로는 각 언어의 기원을 밝힐 수 없었다.독일 막스 플랑크
연구소
의 마이클 던 박사팀은 남태평양의 15개 파푸아 뉴기니 언어를 대상으로 문법적 특징 125개를 모은 데이터베이스를 만들었다. DB는 명사나 동사의 철자, 단어가 문장으로 만들어지는 방식, 명사에 성(性)이 ... ...
문화재종합병원 개원 준비 중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추진해 문화재 보존 역량을 한층 더 강화할 계획이다. 이탈리아의 경우 시칠리아복원
연구소
(CRPR) 한 곳에도 60명의 인력이 상주하며 시칠리아섬의 문화재를 보존하고 있다 ... ...
INTRO X선에서 전파까지 합동수색작전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외계행성을 직접 촬영하려는 프로젝트의 책임자다.NASA 제트추진
연구소
의 노정희 박사는 적외선 우주망원경으로 궁수자리의 삼렬성운에서 ‘별들의 인큐베이터’를 발견해 올해 초 미국천문학회에서 세계 언론의 집중 조명을 받았다. 우주 초기의 은하들을 전파로 연구 중인 ... ...
1. 137억년 전 우주를 거슬러
과학동아
l
2005년 11호
눈에 띈 것은 또 다른 전파망원경 LMT. 1985년부터 매사추세츠대가 멕시코 천문광학전자
연구소
(INAOE)와 함께 계획 중이던 세계에서 가장 큰 밀리미터파 망원경이었다. 18개월 치를 열흘에 해결윤 교수는 “LMT를 이용하면 우주에서 제일 처음에 생긴 은하를 관측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현재 초기 ... ...
이전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4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