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생각하기"(으)로 총 14,49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테이블에 반듯이 누워있는 시체. 서랍에서 족히 10cm는 돼 보이는 주사 바늘을 꺼내 주사기에 연결한 뒤 손가락으로 시체의 쇄골 사이를 꾹꾹 눌러본다. 주사 바늘이 뼈에 걸리지 않고 심장 위쪽에 있는 대동맥까지 닿을 수 있는 길을 가늠하기 위해서다. 대동맥에서 채취한 피는 DNA 검사를 위해 일부 ... ...
- [Knowledge] ‘DHL’ 이노베이션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눈보라로 고립된 산간 마을에서 긴급 의약품 지원 요청이 들어왔다. 구조대는 곧바로 의약품을 실은 드론을 띄운다. 드론은 수직 상승해 고도를 높인 뒤, 로터(프로펠러)의 각도를 바꿔 고속으로 전진 비행한다. 8분 뒤, 드론은 해발 1200m에 있는 우편함에 도달한다. 우편함의 지붕이 자동으로 열리고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 과학 집단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앗! 얘들아! 이것 좀 봐!”오로라가 크게 소리를 지르며 친구들을 불렀어요. 헉! 이게 어떻게 된 일일까요? 교실 바닥에는 콩, 팥, 소금, 철가루, 후추 등이 마구뒤섞여 있었어요. 시원이와 오로라, 파부르가 힘들게 준비한 과학축제 준비물들이었죠. 엉망이 된 준비물들을 보고 울상을 짓던 파부르 ... ...
- PART 1. 초기우주의 문을 보다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우주는 어떻게 태어났고, 어떻게 변해왔을까? 과학자들은 지금으로부터 138억 년 전, 아주 작은 한 점에서 대폭발이 일어나며 우주가 탄생했고 지금까지도 계속 팽창하고 있다고 말한다. 바로 ‘빅뱅 이론’이다.빅뱅 이론의 ‘빅뱅’은 사실은 ‘뻥!’이다. 그 이름도 유명한 빅뱅 이론이 뻥이라니 ... ...
- [지식] 수학 잘하는 방법이 궁금한 수학자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어떻게 하면 수학을 더 잘할 수 있을까요?”권순식 KAIST 교수의 고민 중 하나다. 수학과 교수님도 우리랑 같은 고민을 한다는 사실이 재밌다.겸손한 성격으로 인터뷰 내내 본인을 낮췄지만, 권 교수는 대한수학회에서 업적이 뛰어난 젊은 수학자에게 주는 상인 ‘상산 젊은 수학자상’을 받은 유 ... ...
- [포커스 뉴스] 갤럭시노트7 폭발 사고, 정말 배터리 때문?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지난 8월 24일, 한 유명 커뮤니티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이 충전 중에 폭발했다는 글이 올라왔다. 그로부터 6일 뒤 두 번째, 세 번째 폭발 사고가 이어졌고, 현재(9월 21일 기준)까지 국내외 서비스 센터에 접수된 사고만 100건이 넘는다. 이전에도 스마트폰이나 노트북 등의 배터리 발화 문제는 있었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머리 큰 사람과 짱구처럼 뒷머리만 큰 사람 중 누가 더 똑똑할까. 이건 우문이다. 지능은 머리 크기나 모양보다는 뇌 주름과 관련 있다. 그렇다면 뇌 주름이 많을수록 똑똑할까? 놀랍게도 그것도 아니다. 오히려 조현병 환자가 정상인보다 뇌 주름이 훨씬 많다. 지나치게 많은 주름은 병과 관련이 있 ... ...
- PART 4. 커피와 자유, 그리고 협업과학동아 l2016년 10호
- 그룹이 돌아가면서 자신들의 연구 현황을 발표한다. 남의 연구에 얼마나 관심을 가질까 생각하기 쉽지만, 마치 유명 가수가 콘서트라도 하는 것처럼 강당에 들어가지 못하는 사람들이 태반이다. 못 들어간 사람들을 위해서 모든 발표는 동영상으로 실시간 중계된다.연구소 내부 구조는 연구원들의 ... ...
- [Tech & Fun] 초인적인 벼락치기, 성공 비법은…?과학동아 l2016년 10호
- 똑, 똑, 똑, 똑…. 시계소리에 맞춰 A기자는 침을 꼴깍 넘긴다. 이렇게 긴장하는 건 원고 마감이 코앞이기 때문이다! 이번 달은 추석 연휴도 있어 편집실이 ‘초긴장모드’다. 발등에 불이 떨어져서일까. 지난주까지 그렇게 생각이 안 떠오르던 원고 첫 부분이 이렇게 잘 떠오르니 말이다. 그런데 옆 ... ...
- PART 2. 힘을 합쳐 난제를 풀어라!수학동아 l2016년 10호
- 수학자에 대해 궁금해진다면? 기자는 가장 먼저 위키백과에 적힌 내용을 살펴본다. 누가 썼는지 알지 못하지만 그 정보를 어느 정도 믿는다. 누군가 잘못된 정보를 올려도 곧바로 이 분야에 대해 잘 아는사람이 보고 내용을 옳게 고치기 때문이다. 이처럼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지식을 ... ...
이전40540640740840941041141241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