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걀
계란
난자
알맹이
난세포
알집
알찝
뉴스
"
알
"(으)로 총 4,300건 검색되었습니다.
3만 2000대 컴퓨터 동시 피해입힌 사상 최악의 해킹
동아사이언스
l
2013.12.30
다를 수 있어 실제 해킹 공격이 평양 류경동에서 실행됐는지 여부를 이것만으로는
알
수 없지만 가능성이 높은 것은 사실이다. 3월 사이버테러 당시 많은 사람들이 이같은 사건의 재발을 우려했는데, 6월 25일 또 다시 주요 정부기관의 전산시스템을 마비시킨 6·25 사이버테러 사건이 재발해 ‘소 ... ...
다들 진정 행복하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29
다시 정신과 의사로 활동하는 모습에서 끝을 맺는다. 그가 정말 행복한 의사가 됐는지는
알
수 없다. 그렇지만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통해서 다른 사람의 행복에 관심을 갖고 행복해질 수 있도록 돕는 모습은 분명 그가 행복해졌을 것이라는 생각을 갖게 해준다. 행복은 어린아이들처럼 자기가 ... ...
세상에서 가장 독특하고 재밌는 파티, 어린이과학동아 팬파티
어린이과학동아
l
2013.12.26
편집장은 "2014년에는 어린이과학동아 독자들을 위해 올해보다 더욱 푸짐한 선물과
알
찬 프로그램으로 팬파티를 준비할 예정이다"며 "다만 새해에는 1월 1일자부터 나오는 팬파티 응모권을 10장을 모아야 응모할 수 있으니 독자들의 더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란다"고 말했다. ... ...
생명 과학의 역사를 송두리째 바꾼 주인공
알
고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3.12.22
생태와 사냥 습성에 대한 기록과 사진을 묶어 펴낸 것이 바로 이 책이다. 그동안 잘못
알
려져 있었거나 우리가 미처 몰랐던 참매의 생태는 물론 이웃해 살아가는 새들의 모습까지 생생하고 귀한 사진을 통해 한반도 전역에서 번식을 하는 텃새로 천연기념물이자 멸종위기 야생조류인 참매를 ... ...
트럭보다 크던 질량분석기, 휴대전화 크기로 줄었네
동아사이언스
l
2013.12.20
달라’는 요청을 해오기도 했다. 핵연료 등을 일부 떼어내 조사하면 핵종 변경을 즉시
알
수 있어 핵무기 개발 통제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김현식 연구원은 “추가 연구를 통해 고체물질의 성분 분석도 가능한 기술을 개발 중”이라며 “세계에서 가장 작은 질량분석기라는 점에서 응용 ... ...
저개발국 맞춤형 질병 진단시트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12.17
있다. 스즈키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진단시트는 저렴하고 검사 결과를 바로
알
수 있다는 점 덕분에 잠비아 등 몇몇 국가에서 이미 사용하기 시작했다”며 “조기 진단이 원활해지면 사망률도 감소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그래비티, SF영화의 전설로 남나…
동아사이언스
l
2013.12.16
보상이 기다리고 있는 셈이다. 물론 놀라운 영화를 구상하고 각본을 쓰고 메가폰을 잡은
알
폰소 쿠아론 감독도 유력한 감독상 후보라고 한다. 사실 영화 ‘그래비티’에는 우주를 둘러싼 정치적 의미도 없지는 않은데, 미국과 함께 오늘날 우주개발의 주도권을 다투고 있는 러시아, 중국이 등장하기 ... ...
시간여행으로 바뀌는 미래 정말 행복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12.15
노골적으로 드러난다. 우석이 가져온 영상파일은 바이러스에 감염돼 있었기 때문에 당장
알
수 있던 사실은 연구소에 화재가 발생한다는 것뿐이다. 그러나 바이러스를 치료하고 CCTV 파일을 열어 연구원들이 죽는 모습을 목격할 때마다 그 광경은 예고된 미래가 아닌 실제가 됐다. 덴마크의 ... ...
세계 최고의 학술지는 어떻게 탄생했나 ④ PNAS
동아사이언스
l
2013.12.13
셀은 게재 1년 후 오픈액세스 전환인 것과 비교하면 PNAS가 좀 더 개방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이앤 슐렌버거 PNAS 편집주필은 “하이브리드 오픈액세스 방식이 저자와 독자 모두의 권리를 보장해 과학계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며 “오픈액세스 방식이 심사의 공정성과 신뢰성을 떨어뜨릴 수 ... ...
지난 13년간 한반도 10배 면적의 숲이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3.12.12
결과 13년 동안 세계에서 한반도 면적의 10배가 넘는 230만km2의 숲이 사라졌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새로 조성되는 숲은 그 3분의 1인 80만km2에 불과했다. 특히 ‘숲의 보고’로 꼽히는 열대지방 숲의 벌채가 심각했다. 인도네시아와 말레이시아 등 동남아시아에서 숲 손실이 매년 늘어나는 ... ...
이전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