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840건 검색되었습니다.
충전속도 100배 빠른 이차전지 나온다
2015.08.12
배터리의 전기전도도를 1만배 이상 높이는 데 성공했다. - 포항가속기연구소 제공 연구
팀
은 리튬망간인산에 전체질량의 1%에 해당하는 미량의 은 나노입자를 첨가한 형태의 소자를 개발했다. 전기전도도가 매우 낮은 리튬망간인산 결정들 사이에 전기전도도가 가장 높은 금속 중에 하나인 은 ... ...
이별 후 상처, 여성이 더 크지만 회복도 빨라
2015.08.12
지나 새로운 경쟁에 참여하려하면 옛 연애의 상실감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고 연구
팀
은 설명했다. 모리스 연구원은 “무기력증부터 심하면 자기 파괴적 행동까지 보이게 하는 이별후유증은 사람에 따라 짧게는 수주, 길게는 수개월까지 지속된다”며 “후유증의 양상을 추가로 연구한다면 심한 ... ...
난치성 신경질환치료 청신호… 뇌 세포 신경전달 과정 알아냈다
2015.08.11
이 연구결과는 화학분야 권위지인 ‘미국화학회지’ 7월 10일자에 게재됐다. 연구
팀
은 시냅스 소낭과 신경세포 막이 비눗방울 두개가 합쳐지듯 융합해 '막융합'을 형성하고, 이때 막융합이 빠르게 열리고 닫히며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조절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IBS 제공 ... ...
구글·페이스북이 탐낸 비행기, 국내 연구진이 개발
2015.08.11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김승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고정익기연구단장
팀
은 자체 개발한 ‘고고도무인기(高高度無人耭)’인 ‘EAV-3’이 전남 고흥 항공센터에서 이륙해 고도 14.12㎞에서 비행하는 데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국내에서 개발된 무인비행기가 성층권에 도달한 것은 이번이 ... ...
휘는 태양전지 값싸고 친환경적으로 제조하는 방법 찾았다
2015.08.11
써 왔는데 이번 기술에는 이를 쓰지 않고 보다 친환경적인 방법을 택한 것이다. 연구
팀
은 독성 유기물 분산제 대신 용기를 회전시켜 얻은 기계적 에너지만으로 나노입자를 균일하게 분산시켜 박막형태로 만들어냈다. 이 방법으로 프린팅한 나노잉크는 대기 중에서 한 달 이상 안정한 상태를 ... ...
24시간 전기 만드는 ‘염분차 발전’ 기술 확보했다
2015.08.11
발전 핵심 기술을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 정남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책임연구원
팀
은 킬로와트(kW)급 염분차발전 설비를 순수 국내 기술로 개발했다고 11일 밝혔다. 친환경 대체에너지로 부상하고 있는 태양광과 풍력발전은 햇빛이나 바람의 변화에 따라 발전 효율이 달라지고 하루 종일 ... ...
신경질환 극복 청신호… 피부세포→신경세포 바꿨다
2015.08.09
화학물질만을 이용해 신경세포를 만든 것은 바로 이 논란을 피하기 위해서다. 두 연구
팀
은 암유발 유전자를 비롯해 다른 외부 유전자를 사용하는 대신 여러 화학물질을 섞어 적절한 시기에 세포에 처리해주는 방법으로 피부세포를 신경세포로 만드는 데 성공했다. 지안 교수는 “화학물질을 ... ...
전기요금 10분의 1로 낮춘 신개념 3D TV 나온다
2015.08.09
있다. 두 상태는 특정 온도가 아니면 서로 섞이지 않으려는 특성이 있다. 하지만 연구
팀
이 액정을 자유자재로 조절함에 따라 두 가지 다른 상태가 공존할 수 있는 액정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표면이 매끈하고 균일한 네마틱 상태와 거칠고 다공성인 등방성 상태가 섞여있기 때문에 영역별로 ... ...
커피 찌꺼기로 전기 만든다
2015.08.06
에틸렌글리콜과 혼합하는 것만으로 간단히 연료를 제작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
팀
이 제작한 커피분말 연료를 탄소연료전지에 활용하자 현재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료인 ‘카본블랙’에 비해 성능이 88% 향상된 전력을 얻었다. 전력 생산에 사용된 후에도 소량의 회분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 ...
“계절이 바뀌면 색깔도 달라진다”
2015.08.05
전달된 이들 세 가지 원추세포의 반응 정도를 해석하는 과정으로 볼 수 있다. 연구
팀
은 실험참가자 67명을 대상으로 한겨울인 1월과 초여름인 6월, 두 차례 실험을 진행해 색을 어떻게 인지하는지 조사했다. 어두운 방 안에서 빛에 익숙해진 참가자들은 색도계를 통해 녹색과 노란색이라고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