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뉴스
"
조절
"(으)로 총 4,464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치료·3D프린트·암新藥… 대학병원, 미래를 연다
동아일보
l
2014.12.17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기계다”라고 설명했다. 세브란스병원 암병원은 방사선의 세기를
조절
할 수 있는 로보틱 IMART를 4월 도입해 주목을 받고 있다. 치료 중 실시간으로 종양의 위치를 추적해 방사선을 집중적으로 쏘기 때문에 안전성과 수술 효과 모두 우수하다는 평가다. 3차원 프린트 기술 도입 ... ...
안방에서 스마트폰으로 농장일 척척
2014.12.17
농장에서는 온실 주변의 기상정보와 내부 환경정보를 확인해 온습도와 공기를 자동으로
조절
하는 시스템을 도입한 뒤 파프리카를 20%나 더 많이 수확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 하루에 3시간씩 걸리던 관리시간을 10분으로 줄일 수 있었으며 한달 관리비용도 27만 원에서 1만5000원으로 줄었다. 전남 ... ...
우리가 걸을 때 쓰는 근육 몇 개나 될까
2014.12.15
걷기, 뛰기 등 다양한 보행 동작을 시뮬레이션하는 데 성공했다. 각 근육의 특성 값을
조절
하면 근육이 이탈된 경우나 통증으로 불편한 경우를 재현할 수 있어 뇌성마비 장애인의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보행에 불편을 겪는 다양한 상황도 재현할 수 있다. 이 교수는 “이번에 개발된 제어 ... ...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박사와 미국 뉴욕대 로렌즈 디아-메택스 박사팀은 뉴런 사이에 흐르는 전기신호를
조절
하며 편도체(amygdala)에 기억이 얼마나 저장되는지 활성 정도를 알아봤다. 헤비안 가소성에 따르면 전기신호를 약화시켰을 때 편도체의 활성 역시 줄어야 한다. 하지만 연구팀이 전기 신호를 약화시켰을 때도 ... ...
미래에너지 직업 현장을 찾아서
동아사이언스
l
2014.12.09
할 뿐만 아니라, 지열을 이용해 난방을 하고 창문으로 들어오는 일사량을 자동으로
조절
해 냉난방 에너지를 절감하는 등 많은 기술들이 녹아있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개발한 ‘배터리 없이 가는 온라인 전기자동차’는 도로를 달리면서 무선 충전을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다. 기존의 충전식 ... ...
아빠가 ‘슈거홀릭’이면 자녀가 비만?
2014.12.08
생물에게서 비슷하기 때문이다. 특히 쥐와 사람 같은 포유류도 초파리와 유사한 비만
조절
시스템을 갖고 있다. 포스피실릭 박사는 “부모세대의 생활환경이 자손의 유전자 발현에 어떤 방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지에 대한 연구는 아직 초기 단계”라면서도 “영향을 받는다는 사실만으로도 의학 ... ...
줄기세포 치료제 부작용 없앤다
2014.12.08
이대엽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모든 줄기세포 연구에 적용되는 기본적인 성장
조절
원리를 밝힌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며 “줄기세포 치료제의 안전성을 높여 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생명과학분야 국제학술지 ‘셀 스템 셀(Cell Stem Cell)’ 4일자 표지논문으로 ... ...
유전 정보 전달하는 전령RNA, 이렇게 사라진다
2014.12.05
제공 국내 연구진이 몸속에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하는 '전령RNA(mRNA)'의 운명을
조절
하는 과정을 밝혀냈다. 김빛내리 기초과학연구원(IBS) RNA 연구단장(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 연구팀은 전령RNA가 분해되는 과정에 관여하는 새로운 효소를 찾고 그 메커니즘을 규명했다고 4일 밝혔다. ... ...
뉴욕시 거리 쓰레기 처리 일등공신은 개미?
2014.12.02
도로 위에 떨어진 빵을 먹는 개미들. - (주)동아사이언스 제공 곤충이 미국 뉴욕시 거리에 버려진 음식물 쓰레기 처리에 도움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엘사 ... 거리에 버려진 음식쓰레기를 처리해 줄 뿐 아니라 비둘기와 쥐 같은 동물의 개체수를
조절
하는 역할도 한다”고 말했다. ... ...
뇌는 정말 신체적 고통과 정신적 고통을 구별하지 못할까?
2014.12.01
사실이 밝혀졌다. 즉 신체적 고통을 느낄 때는 통각을 처리하는 영역과 통증을
조절
하는 영역이 더 활성이 높았다. 반면 심리적 고통의 경우 타인의 마음을 추측하거나 부정적인 정서에 관여하는 영역이 더 활발했다. 신체적 고통을 처리하는 뇌회로의 핵심 영역인 배측(등쪽)전대상피질(dACC)의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